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ing Children's Peer - relationship Strategies of Free Play in a Child-care Center

어린이집의 자유놀이에서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또래관계 전략들

  • 전가일 (장안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10.22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understanding the play features of the participants, explores early children's peer-relation strategies of maintaining and altering play frame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strategies. Free play of 5-year-old children's was observed. The child-care center was visited 1 or 2 days a week, from March to October, 2012. The data collected were based from field notes,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their workbooks and more. The participants used strategies such as 'refusing', 'incapacitating', 'interpreting in a way to sympathize', and 'changing the rules of play' to maintain the play, whilst 'tell-on', 'being on the same side', 'accepting 3rd party' features were used to alter play frame. Participants using these various play-frame strategies experienced life implications of 'dialectic of exclusion and selection' and 'quiver of boundary'. This study, specifying efforts of the children to maintain and alter the play frame, will provide an understanding of perception of "social exclusion" to children, which has been viewed negatively in the past. It will also benefit on-site teachers in helping them understand peer-relationship within children and provide a more in-depth intervention for peer-relationship issues.

이 연구는 놀이 참여자들의 놀이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또래관계 전략을 살피고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실증적 방식을 지양하고 유아의 생활세계인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자유놀이 시간을 참여관찰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2회에 걸쳐 현장을 방문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의 관찰기록, 참여자 면담, 참여자 기록물 등이다. 연구결과, 유아는 놀이 틀 유지를 위해 '거절하기', '무력화시키기', '동의적 해석해주기', '놀이의 규칙 바꾸기'와 같은 전략을, 놀이 틀 변화를 위해 '이르기', '내편으로 만들기', '제 3자 받아들이기'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놀이 틀 유지를 위한 유아의 전략들은 유아가 선택과 배제의 변증법과 경계의 떨림이라는 삶의 의미를 경험하는 존재임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는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구체적인 노력을 드러냄으로써 그동안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오던 '사회적 배척'에 대해 유아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관련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개입할 때 유아의 관점을 이해하고 보다 구체적인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설, 정계숙(2008). 만 3세 유아의 놀이에 나타난 관계적 공격성: 사회적 배척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1-50
  2. 김리한(2012). 학령기 아동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이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정신, 홍용희(2012). 유치원 만 3세반 유아들의 친구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유아교육연구,32(6), 329-355
  4. 김진영(2004). 유아들의 유머와 친구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4(6), 113-133.
  5. 박은미(2007). 교사개입전략을 통한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배재정, 정정희(2003). 유아기의 사회적 가상놀이와 상호주관성 발달에 관한 이론적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8(1), 155-175.
  7. 서근원(2008). 질적 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9(46), 133-160
  8. 손영수(2001). 유아 생활세계에서의 놀이와 사고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교육인류학 연구, 4(1), 103-132.
  9. 오문자(2011). 집단 즉흥공연으로서의 가상놀이 : 만 4세 남아들의 놀이 틀 협상과정 분석. 유아교육연구, 31(6), 255-283
  10. 오채선, 염지숙(2004). 유아들의 놀이에 나타나는 우정에 대한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9(2), 223-247
  11. 유혜령(1997).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아동교육, 6(1), 96-110.
  12. 유혜령(2004). 유아의 역할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유아교육 연구, 24(3), 277-302.
  13. 유혜령(2009). 인간교육을 위한 생명의 논리: 놀이중심 유아교육론에 대한 반성. 한국교육 인류학회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14. 이근호(2007).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15. 이대균, 임자영(2009). 자유선택활동 상황에서 발현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전략: 쌓기 영역과 역할영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409-438
  16. 이원영, 손은애(2006). 만 4세 여아의 또래놀이 참여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26(2), 237-262.
  17. 임부연, 오정희, 최남정 (2008).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 '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8(1), 185-209.
  18. 조광제(2004).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서울 : 이학사.
  19. 조광제(2012). 몸, 현존의 벡터적 기반. 2012 한국교육인류학회 초청강연회 자료집
  20. 조용환(1993). 체계적인 놀이 연구를 위한 '놀이'개념의 검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 연구, 2,303-313.
  21.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2. 조용환(2008). <교육문화기술법 연습>. 수업 강의 노트.
  23. 전가일(2010). 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3(2), 115-146.
  24. 전가일(2013).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관계맺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최 경(2011).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211-238
  26. 최윤미(2010).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황소영(2011). 또래관계 형성과정에서의 외톨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 변화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황인애, 배지희(2007). 또래관계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들의 요구전략과 반응양상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6(12), 43-67.
  29. Ashiabi, G.(2007). Play in the Preschool Classroom: Is Socioemotional Significance and the Teacher's Role in Play.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5(2), 199-207. https://doi.org/10.1007/s10643-007-0165-8
  30. Bateson, G.(1972). A theory of play and fantasy. In G. Bateson(Ed), Step to an ecology of mind. London: SAGE.
  31. Cannella, G. S.(2002).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유혜령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1997).
  32. Coyne, S.M., Archer, J., & Eslea, M.(2006). "We're not friends anymore! Unless..."; The frequency and harmfulness of indirect, relational, and social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32(4), 294-307. https://doi.org/10.1002/ab.20126
  33. Foucault, M.(1998). (L')ordre du discours.(이정우 옮김). 담론의 질서.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원판 1971).
  34. Gadamer, H. G.(2000). Wahrheit und methode, 진리와 방법(이길우 외 옮김). 서울: 문학동네(원판 1960).
  35. Harrist, A. W., & Bradley, K.D.(2003). You can's say you can't paly :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socail exclusion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Early Childhood Research Quaterly, 18(2), 185-205. https://doi.org/10.1016/S0885-2006(03)00024-3
  36. Heidegger, M.(1998). SEIN UND ZEIT, 존재와 시간(이기상 옮김). 서울: 까치글방(원판 1927).
  37. Howes, C.(1987).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 sequences. Developmental Review, 7(3), 252-272. https://doi.org/10.1016/0273-2297(87)90014-1
  38. Jo, Y. H.(1989). Understanding the boundaries of make-believe: An ethnographic case study of pretend play among Korean children in U.S.A. community.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39. King, N. R.(1979). Play: The kindergartner's perspectiv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0(2), 80-87 https://doi.org/10.1086/461176
  40. Langeveld, M.J.(1984). How Does the Child Experience the World of Thing? Phenomenology + Pedagogy, 2(3), 215-223
  41. Leavitt, R. L.(1994).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2. Lloyd, B., & Howe, N.(2003). Solitary play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1), 22-41. https://doi.org/10.1016/S0885-2006(03)00004-8
  43. Lobman, C. L.(2006). Improvisation: An analytic tool for examining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455-470.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9.004
  44. Lofdahl, A., & Hagglund, S.(2006). Power and participation: social representation among children in pre-school.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9(2), 178-194.
  45. Parten, M. B.(1932).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27(3), 243-269. https://doi.org/10.1037/h0074524
  46. Piaget, J.(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Y: W.W. Norton & Co.
  47. Rubin, K.(1982). Nonsocial play in preschoolers: Necessarily evil? Child development, 53(3), 651-657. https://doi.org/10.2307/1129376
  48. Saldana, J.(2009).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London: SAGE.
  49. Samuelsson, I. P., & Johansson, E.(2009). Why do children involve teschers in their play and leaning?.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17(1), 77-94. https://doi.org/10.1080/13502930802689053
  50. Savin-Baden, M., & Major, C. H.(2010). New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wisdom and uncertainty. NY: Routledge.
  51. Smith, D. G. (1983). The meaning of children: A hermeneutic study. Doctoral dissertation, Dept. of Secondary Education, University of Alberta.
  52. Spradley, J.(2006). Participant Observation. 참여관찰법(신재영 옮김). 서울 : 시그마프레스(원판 1980).
  53. Stanton-Chapman, T., & Hadden, D. S.(2011). Encouraging peer interactions in preschool classrooms: The role of the teacher. Young Exceptional Children, 14(1), 17-28. https://doi.org/10.1177/1096250610395458
  54. Trawick-Smith, J.(2009). Interaction an the classroom, 놀이지도 : 아이들을 사로잡는 상호작용 (송혜린, 신혜영, 신혜원, 조혜진, 수정 옮김). 서울: 다음세대(원판 2009).
  55. Van Hoorn, J.(2007).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NJ: Pearson.
  56. Van Manen, M.(1994).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체험연구(신경림 옮김). 서울: 동녘(원판 1990).
  57. Vygotsky, L. S. (1967). Play and its role in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Soviet Psychology, 5(3), 16-18.
  58. Wing, L. A.(1995). Play is not the work of the child: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work and play. Early child Research Quarterly, 10(2), 223-247.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05-5
  59. Wolcott, H.(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London: Sage.
  60. Young, E. L., Boye, A.E., & Nelson, D.A.(2006). Relational aggression: Understanding, identifying, and responding in school. Psychology in the Schools, 43(3), 297-312. https://doi.org/10.1002/pits.20148

Cited by

  1. 유아의 수줍음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vol.12, pp.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6.001
  2. The Ethnography of an Integrated Play Group vol.12, pp.2, 2013, https://doi.org/10.26592/ksie.2017.12.2.137
  3.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Peer Play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vol.41, pp.6, 2013, https://doi.org/10.5723/kjcs.2020.41.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