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Dentistry

검색결과 2,520건 처리시간 0.039초

구순구개열의 비구순변형에서 3차원 입체 laser 스캐너를 이용한 계측분석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Computerized Anthropometric Analysis Model in Cleft Lip Nasal Deformity Using 3D Laser Scanned Facial Cast Model)

  • 김석화;박종림;김재찬;백승학;손우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303-30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ree-dimensional computerized anthropometry(3DCA) and to compare its reliability and accuracy 3DCA with manual anthropometry(MA) for measurement of lips and nasal deformities in unilateral cleft lips and palate(UCLP) patients. Methods: Samples were consisted of six UCLP patients whose facial plaster models were available immediately before and 3 months after the cleft lip surgery. MA of the facial plaster models was carried out using an electronic caliper. In 3DCA, three-dimensional auto-measuring program was used to digitize landmarks and to measure three-dimensional virtual facial models (3DVFM), which was generated with a laser scanner and 3D virtual modeling program.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ICC) were calculated to evaluat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variables in both methods, and Wilcoxon's signed rank test was don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values of the same variables of facial models of each patient between two methods. Results: All ICC values were higher than 0.8, so both methods could be considered reliable. Although most variable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methods(p<0.05), differences between mean values were very small and could be considered not significant in clinical situation. Conclusion: In clinical situation, 3DCA can be an objective, reliable and accurate tool for evaluation of lips and nasal deformities in the cleft patients.

Class II 부정교합환자의 Trainer for Kids(T4K)를 이용한 조기치료 : 증례보고 (Early Treatment of a Class II Malocclusion with the Trainer for Kids (T4K): A Case Report)

  • 안소연;김아현;심연수;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101-110
    • /
    • 2013
  • T4K는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되는 기능성, 가철성 교정장치이다. 기능성 교정장치의 경우 치열과 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구강안면부의 근육의 부조화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T4K에 포함된 lip bumper는 과도한 하순의 힘을 차단하여 주고, 하순 내측 전정을 자극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부적절한 혀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요소는 환자들이 장치를 장착하는 동안 부가적인 혀 운동을 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2급 부정교합 환자의 경우 하악 열성장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장치는 상악 치아를 고정원으로 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극하여 부족한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가적으로 Labial bow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는 상악 치열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 T4K는 기성품으로 작은 부피와 부드러운 질감으로 어린 환자들의 장착 동의율을 높이는 데 장점을 가진다.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요약 1. T4K를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하여 안모의 개선을 얻었다. 2. 과도한 수직, 수평 피개교합이 개선되었다. 3. 하악 열성장 환자에서 T4K를 장착하여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얻었다. 4. 구호흡 등과 같은 구강악습관의 개선을 얻었다.

불소함유 접착테잎의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 (PREVENTIVE EFFECT OF ADHESIVE TAPE SUPPLEMENTED WITH NaF ON ENAMEL EROSION IN VITRO)

  • 이상호;이난영;이인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2-90
    • /
    • 2010
  • 본 연구는 불소함유 접착테잎의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를 평가하기 위해건강한 소의 치아를 절단하여 아크릴 주형에 매몰하고 정중선에 홈을 형성하여 대조면과 불소 제제를 도포할 실혐면으로 나누었다. 시편을 무작위로 18개씩 4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APF gel를 도포하고, 2군은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였으며, 3군과 4군은 5% NaF를 각각 첨가한 methyl cellulose와 poly vinyl alcohol 테잎을 부착하였다. 시편을 콜라에 5분, 증류수에 10분씩 6회 번갈아 처리하며 5일 동안 반복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고 5일후 각 시편을 절단하여 침식병소의 깊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미세경도 값은 5일째만 제외하고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이 각각의 대조면에 비해 컸다 (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 역시 5일째만 제외하고 1군의 실험면에 비해 표면미세경도가 컸다 (p<0.05). 3군과 4군 사이에는 표면미세 경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1군의 실험면과 대조면은 표면미세경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침식병소의 깊이는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이 각각의 대조면에 비해 컸다(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은 1군의 실험면에 비해 침식병소의 깊이가 얕았다 (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 사이의 침식병소의 깊이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상기 결과로 보아 새로 개발된 불소함유 접착테잎은 기존의 불소 바니쉬와 같은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 법랑질 침식에 감수성이 높은 어린이 환자에게 임상적인 예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내용에 따른 실습방법 및 수행 정도 (Practice method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contents of dental hygiene student)

  • 신명숙;김창희;안은숙;황지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23-138
    • /
    • 2019
  • 본 연구는 임상실습내용에 따른 실습방법 및 수행정도를 파악하고자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감염관리에서는 '진료실 장비 감염 방지하기', '치과진료기구 소독 및 멸균하기'를 가장 많이'수행'하고 있었으며, 예방치과에서는 대부분 '교육하기' 항목에서 '관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존과에서는 '협조하기' 항목에서 '수행'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철과에서는 '관찰'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기본진료, 구강악안면방사선과, 예방치과, 보존과, 치주과, 구강외과, 교정과, 구강내과에서 실제적으로 실습생들의 수행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대부분의 임상실습내용에서 수행하기보다는 관찰하기가 높게 나타나, 실습내용에 대한 학년별 또는 임상실습 경험 횟수별로 명확한 임상실습 내용의 목표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특별시장애인치과병원 이동검진기관 장애인들의 구강건강조사 (THE MOBILE ORAL HEALTH SURVEY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 이효설;김혜정;남선회;김민선;유혜선;백승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2012
  • Mobile oral exam at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Seoul is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disabled who can hardly approach dental clinic. We analyzed 1609 oral exam records at 24 facilities (11 special-education schools, 10 living facilities, 2 mental hospitals, 1 health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oral health state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and to compare with the non-disabled in National Survey 2010 and 2008. 1. Special-education school : DMFT index of age 15 is 5.4 which is higher than 3.6 (DMFT index of age 15) of National Survey in 2010. 2. Living facility : DMFT index of ages 35~44 is 8.4 which is higher than 5.2 (DMFT index of ages 35 ~44) of National Survey in 2008. DT rate is higher (31.3% vs 19.2%) and MT rate is lower (7.6% vs 15.5%). 3. Mental hospital : DMFT index of ages 35~44 is 11.3 which is higher than 5.2 (DMFT indext of age 35~44) of National Survey in 2008. DT rate is significantly higher (50.7% vs 19.2%) and FT rate is lower (35.1% vs 65.3%). 4. Health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 DMFT index of ages 65~74 is 7.1 which is slightly lower than 8.7 (DMFT index of ages 65~74) of National Survey in 2008. The number of existing natural teeth is similar (16 vs 18).

Glutaraldehyde 및 Formocresol이 유견유치 치수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 (A Histopathological Study of Pulp Tissue Reactions to Glutaraldehyde and Formocresol in Puppy's Primary Teeth)

  • 허노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6
    • /
    • 198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ulpal responses to the pulp-capping materials such as glutaraldehyde and formocresol in pulpotomy technique, especially in the primary dentition. Mandibular primary canines and molars of 5 dogs (aged about 8-9 weeks)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intervals of observation for histologic study of pulpotomized primary teeth with 2% glutaraldehyde, formocresol and calcium hydroxide in the usual manner ranged from 2 hours, 1 week, 2 weeks, 3 weeks and 5 weeks after experiments respectively. Each specimens were fixed with 10% formalin and decalcified in 5% nitric acid. All slides were stained with Hematorylin-Eosin and examined histopatholog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lcium hydroxide groups, formation of dentin bridge was initiated in 1 week after experiments and completed in 5 weeks after experiments. 2. Formation of dentin bridge was not seen, whereas necrosis of pulp tissue was noted, in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3. Duration of tissue reactions and tissue changes were similar, in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4. In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amputation surfaces of the pulp were covered with blood clots, beneath which coagulation necrois was noted, but inflammatory cells were not prominent, in 2 hours and 1 week after experiments. But coagulation necrosis was proceeded to the apical portion, accompanied by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since 2 weeks after experiments. And suppuration or gangrene of the pulp tissue were noted in 3 weeks and 5 weeks groups. 5. Suppuration or gangrene of pulp seemed to provoke the resorption of dentin wall, and inflammatory changes and resorption of roots were noted in the periodontal membrane near the periapical region. 6. As compared with calcium hydroxide groups, resorption of the root was pronounced in form or 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Effects of medicaments to the succedaneous tooth germ were not seen.

  • PDF

정신(精神) 박약아(薄弱兒)의 구강(口腔) 상태(狀態)에 관(關)한 고찰(考察) (A STUDY OF ORAL STATUS OF MENTAL RETARDED CHILDREN)

  • 지인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7-88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rehensive study & evaluation of the oral status of mental retarded children. The auther examined intraorally 486 (male; 311, female;175) mental retarded children. The result was as follows; (General mental retarded children means the children who live in their parent's home, & orphan mental retarded children means the children who live in orphanage.) 1. The dft rate was 31.6% in general mental retarded children (G.m.r.c.) & 20.7% in orphan mental retarded children (O. m. r. c.). The dft index was 3.73 in G.m.r.c. & 2.15 in O.m.r.c. 2. The DMFT rate was 24.6% in female G.m.r.c., 16.7% in male G.m.r.c., 12.7% in female O.m.r.c., 8.4% in male O.m.r.c. The DMFT index was 4.94 in female G.m.r.c., 4.01 in male G.m.r.c., 1.40 in male O.m.r.c., 2.75 in female O.m.r.c. 3. The malocclusion prevalence was 57.3%. the class I malocclusion was 14.2% Class II malocclusion 19.3%, Class III malocclusion 23.5%. The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had 60.0% of class III malocclusion prevalence. 4. The dental calculus index was 1.97 in male O.m.r.c., 1.81 in female O.m.r.c., 1.30 in male G.m.r.e., 1.13 in female G.m.r.c. 5. The dental plaque index was 3.06 in female G.m.r.c., 3.00 in male Gm.r.e. 2.70 in male O.m.r,c., 2.32 in female O.m.r.c.

  • PDF

Verific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ntal Fear Survey

  • Kim, Ah-Hyeon;Ahn, Eun-Suk;An, So-You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6호
    • /
    • pp.361-367
    • /
    • 2019
  • Background: Although studies on dental fear in relation to sex and age have been conducted, there have been few nationwide studies particularly on the youth sector. In addition, no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s have been implemented for new research groups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Dental Fear Survey (K-DF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pply the K-DFS developed in a previous study on Korean youth to draw conclusions on dental fear among the youth.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DFS, a Korean translation of Kleinknecht's Dental Fear Survey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selected 2,161 young people of various ages as participants and increased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by expanding nationwide the scope of the study area. Results: Differences in fear levels according to sex were higher in boys fear behavior scores than in girls' regarding dental treatment (P < 0.05). Students with dental fear had higher scores on items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and fear of dental stimuli compared with students without dental fear (P < 0.05).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P < 0.05). However,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dental visits based on sex, grade, and other subcomponents (P > 0.05). Conclusion: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K-DFS, this research confirmed its utility as a dental fear questionnaire. Therefore, there can be no objection that the grounds for criticism have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conventional wisdom. In the future, however, developing and studying the limits of K-DFS that overcome the factors of dental fear, especially pain, will help reduce dental fear in adolescents.

섭식연하장애와 치과적 관리 (Dental management of the patient difficulty in swallowing)

  • 현홍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11호
    • /
    • pp.789-794
    • /
    • 2015
  • 섭식 연하장애는 수술이나 치료로 인한 기질적 원인, 뇌혈관장애나 뇌성마비, 근육이나 신경장애 등으로 인한 기능적 원인, 그리고 거식증이나 폭식증과 같은 심리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치과의원급에서는 주로 음식물의 인식장애 단계부터 인두로의 전달장애 단계까지의 환자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 방법으로는 치의학적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환자의 섭식, 저작과정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여 각 단계에 적절한 기초 훈련과 섭식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며, 또한 필요시 혀 접촉 보조장치와 같은 장치를 제작하여 환자에게 장착시키고 섭식, 연하 훈련을 시행하여 환자의 연하능력을 개선시켜줄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가 식전과 식후에 엄격한 구강관리를 시행할 수 있도록 잘 지도하고, 치과의 정기적 방문과 전문적 관리를 통해 구강내 저작기관의 해부학적, 기능적 문제점을 해결해 주도록 하며, 이 때 마다 심리적으로도 환자가 섭식, 연하에 문제가 없도록 세심하게 설명하고 상담해 주는 것으로, 이는 모두 치과의사의 책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의 치과진료 현황과 치과의사의 교육 및 훈련 정도에 대한 조사연구 (DENTAL CARE AND THE STAT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DENTISTS FOR THE HANDICAPPED)

  • 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94
    • /
    • 2001
  • 장애인에 대한 치과의사의 치과진료 현황과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치과의사 교육 및 임상훈련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와 경인지역의 치과의원 각각 300곳과 600곳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한달 평균 한 명 이상을 치료하는 치과의원은 44%이었다. 장애유형은 지체장애자, 정신장애, 감각장애, 자폐증 순이었다. 63%의 치과의사가 친절히 대했으며 51%가 치료 후 만족스러웠다고 응답했다. 치료시의 문제점으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시간의 지연이 가장 많았다.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교육과 임상 실습에 대한 경험은 각각 49%, 19%이었다. 치과의사의 93%가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훈련과정이 필요하며, 81%가 장애인을 위한 전문의료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효율적인 장애인의 치과치료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치과대학 학과과정과 졸업 후 보수교육에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교육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내 국가 차원의 장애인 전문의료기관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