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r scab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4초

An Alternative Method to Evaluate Resistance to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 Kyungho Won;Eu Ddeum Choi;Keumsun Kim;Hae Won Jung;Il Sheob Shin;Seongsig Hong;Cecile Segonzac;Young Jin Kim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228-233
    • /
    • 2023
  • Two pear cultivars with different degrees of resistance to Venturia nashicola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a disease severity rating for pear scab resistance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 Two inoculation techniques were tested: the procedure for inoculation by dropping conidia suspension of V. nashicola; the procedure by deposition of agar plug on the abaxial surface of pear leaves. All tested cultivars resulted in blight symptoms on the inoculated leaves and became spread to uninoculated region or other leaves. Although both methods provide satisfactory infection of V. nashicola on pear leaves, the mycelial plug method of inoculation was more reliable than the spray inoculation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pear scab disease resistance. The incubation period of V. nashicola in the resistant pear cultivar, Greensis was longer than that in the susceptible cultivar, Hwasan.

석회유황합제를 이용한 배나무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친환경 방제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Pear Scab and Rust Using Lime Sulfur)

  • 차주훈;김경희;최으뜸;송장훈;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52-58
    • /
    • 2018
  • 배를 유기재배하는 과원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프로그램을 도출하기 위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에 따른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관행재배와 비교 검정하였다. 석회유황합제와 석회보르도액을 10회 살포한 친환경방제구에서는 관행재배과원에 비해서 잎에 발생하는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에 대해 40% 이상의 방제효과를 증대시켰다. 석회유황합제만을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강우 전후에 8회 살포한 친환경방제구에서도 관행재배과원에 비해서 과실에 발생하는 검은별무늬병에 대해 30% 이상의 방제효과를 증대시켰다. 배 유기재배시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시기를 조절하는 친환경방제로 주요 병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리라 전망된다.

포장조건에서 주요 배 유전자원과 종간교배 집단의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Scab Resistance of Some Pear Genetic Resources and Inter Specific Hybrid Seedlings in Field Condition)

  • 김윤경;정해원;원경호;강삼석;이욱용;한태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6-302
    • /
    • 2019
  • 본 연구는 주요 배유전자원 43 accession을 대상으로 육종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배 유전자원 선발과 종내 또는 종간 5개 교배집단 609 seedling에서 배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발현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P. pyrifolia, P. bretschneideri, P. ussuriensis는 검은별무늬병 병든 과실률이 각각 59.5, 73.4, 63.0%, P. pyrifolia와 P. bretschneideri 종간 교잡으로 얻어진 품종은 77.7%로 병든 과실률이 비교적 높았으나 P. communis, P. pyrifolia ${\times}$ P. communis종간교잡에 속하는 품종들은 15% 미만의 병든 과실률을 보였다.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을 종별로 구분하여 Duncan 검정한 결과, P. bretschneideri, P. pyrifolia, P. ussuriensis, pyrifolia ${\times}$ P. bretschneideri 종이 P. communis, P. pyrifolia ${\times}$ P. communis두 개 종 그룹보다 검은별무늬병 병든 과실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이러한 경향은 교배집단에서도 동일하였다. P. pyrifolia 종내 교배집단은 80% 이상의 검은별무늬병 감염률을 보인 반면, P. pyrifolia ${\times}$ P. communis의종간교배 집단은 2% 수준의 낮은 배 검은별무늬병 감염률을 보였다. P. pyrifolia 와 P. communis를 종간교배 하면 서양배의 저항성 인자가 우성으로 작용하여 그 후대에서 배 검은별무늬병에 강한 개체들이 대부분 얻어지기 때문에 P. communis는 배 검은별무늬병저항성 품종 육종소재로 적합하다.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한 배 주요병해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f Environmental-friendly Organic Materials against Major Pear Diseases)

  • 윤덕훈;박혜준;남기웅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1-406
    • /
    • 2010
  • 배 친환경재배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 재배에 있어서 경제적 손실이 가장 큰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포자비산 요인 및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한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점은별무늬병원균 및 배붉별무늬병원균에 있어서 포자의 최초 비산은 온도와 관련이 깊으며, 최대비산은 습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제재인 Trichoderma harzianum-YC459과 황제품(80%)을 대상으로 배검은별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발병율이 무처리 75.3%에 비해 화학농약인 hexaconazole 이 11.7%, 미생물제재가 29.3%와 황제품이 43.3%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관행 배 재배농가에서 농가관행 방제구와 비교하여 미생물제 및 황제품의 단독 및 교호로 추가 살포한 경우, 배검은별무늬병의 발병율은 다소 낮았으나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배 재배농가에서 배검은별무늬병은 농가 관행방제구 10.3% 대비 황제품 추가 처리구에서는 7.8%의 발병율은 보여 유의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배붉은별무늬병은 미생물제와 황 제품을 교호로 추가 살포한 처리구에서 4.3%의 낮은 발병율을 보여 농가 관행방제구 7.1% 대비 유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Genetic Diversity of the Pear Scab Fungus Venturia nashicola in Korea

  • Choi, Eu Ddeum;Kim, Gyoung Hee;Park, Sook-Young;Song, Jang Hoon;Lee, Young Sun;Jung, Jae Sung;Koh, Young Jin
    • Mycobiology
    • /
    • 제47권1호
    • /
    • pp.76-86
    • /
    • 2019
  • Scab disease caused by Venturia nashicola is of agroeconomic importance in cultivation of Asian pear.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degree of genetic diversity in the populations of this pathogen. In this study, we collected 55 isolates from pear scab lesions in 13 major cultivation areas in Korea and examined the diversity using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beta}$-tubulin (TUB2),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1{\alpha}$ ($TEF-1{\alpha}$) genes as molecular markers. Despite a low level of overall sequence variation, we found three distinctive subgroups from phylogenetic analysis of combined ITS, TUB2, and $TEF-1{\alpha}$ sequences. Among the three subgroups, subgroup 1 (60% of isolates collected) was predominant compared to subgroup 2 (23.6%) or subgroup 3 (16.4%) and was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To understand the genetic diversity among the subgroups, RAPD analysis was performed. The isolates yielded highly diverse amplicon patterns and none of the defined subgroups within the dendrogram were supported by bootstrap values greater than 30%. Moreover,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subgroups defined by molecular phylogeny. Our data suggest a low level of genetic diversification among the populations of V. nashicola in Korea.

Scab of Balsam Pear (Momordica charantia)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in Korea

  • Kwon, Jin-Hyeuk;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61-163
    • /
    • 2006
  • During winter season of 2004 to 2006, a scab disease on balsam pear (Momordica charantia)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was observed in Daesan-myon, Changwon-city, Gyeongnam province, Koyea. The disease symptom started with small dark brown speck on the fruits and leaves then the lesions expanded and spreaded irregularly. The aggregated mycelial mass and conidia of the fungus formed sooty scab. The colony of purely isolated fungus grew in greenish black to velvety on potato dextrose agar (PDA). Conidia were ellipsoidal, fusiform or subspherical, mostly one-celled but occasionally septated and $3{\sim}32{\times}2{\sim}6{\mu}m$ in size. The conidiophores were erected and had long branch, chains pale olivaceous brown in color and $6{\times}280{\mu}m$ in size. Ramoconidia were $10{\sim}34{\times}3{\sim}8{\mu}m$ in size.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Cladosporium cucumerinum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thogenicity of the fungus was confirmed according to Koch's postulate.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e isolate was about $20^{\circ}C$. This is the first report on scab of balsam pear caused by C. cucumerinum in Korea.

배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Fluxapyroxad/Pyraclostrobin 합제의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the Mixture of Fluxapyroxad Plus Pyraclostrobin against Pear Scab Caused by Venturia nashicola)

  • 민광현;유정필;김주미;김선화;임순희;최장전;조백호;양광열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4-438
    • /
    • 2014
  • Fluxapyroxad/pyraclostrobin 합제와 살균제를 9회 처리하는 처리체계의 검은별무늬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살균제가 처리되지 않은 무처리구의 이병엽률은 58.4%, 그리고 이병과율은 100%로 살균제 효과를 평가하기에 충분하였다. Fluxapyroxad/pyraclostrobin 합제만을 7회 처리한 처리구의 이병엽률은 평균 6.3%로 나타났고 방제가는 89.2%로 조사되었으며, 이병과율은 평균 16.7%, 방제가는 83.3%로 조사되었다. 서로 다른 계통의 살균제를 9회 처리한 검은별무늬병 처리체계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병엽률은 5.0%, 이병과율은 13.3%로, 각각의 방제가가 91.4%와 86.7%로 조사되었다. Fluxapyroxad/pyraclostrobin 합제 처리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살균제를 9회 처리하는 처리체계에서 잎과 과실 모두에서 검은별무늬병의 발병률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출전업농가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살균제의 선발을 통한 효율적인 방제가 이루어 진다면 검은별무늬병 방제체계를 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韓國) 배 흑성병(黑星病) 병원균(病原菌) 연구(硏究) (The Causal Organism of Pear Scab in Korea)

  • 조의규;조원대;이은종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3-265
    • /
    • 1985
  • 한국에 발생하는 배나무 검은별 무늬병 병원균의 특성과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 분리된 검은별 무늬병균의 분생자의 길이와 폭은 평균 $14.6-6.4\;{\mu}m$이었으며 분생자경의 길이와 폭은 평균 $13.5-4.6\;{\mu}m$이었다. 병원성 경정은 Flemish Beauty, Beurre Delicious, Winter Nelis (서양배), 신고(일본배)에 인공상처 접종한 결과 신고의 잎에서만 전형적인 검은별 무늬병의 병징이 재현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배 검은별 무늬병균은 V. nashicola에 가까운 것으로 판정 되었다.

  • PDF

Genome Research on Peach and Pear

  • Hayashi, Tateki;Yamamoto, Toshiy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45-52
    • /
    • 2002
  • A lot of SSRs (simple sequence repeats) in peach and pear from enriched genomic libraries and in peach from a cDNA library were developed. These SSRs were applied to other related species, giving phenograms of 52 Prunes and 60 pear accessions. Apple SSRs could also be successfully used in Pyrus spp. Thirteen morphological traits were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linkage map obtained from an $F_2$ population of peach. This map was compiled with those morphological markers and 83 DNA markers, including SSR markers used as anchor loci, to compare different peach maps. Molecular markers tightly linked to new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genes were also found. A linkage map including disease related genes, pear scab resistance and black spot susceptibility, in the Japanese pear Kinchaku were constructed using 118 RAPD markers. Another linkage map, of the European pear Bartlett, was also constructed with 226 markers, including 49 SSRs from pear, apple, peach and cherry. Maps of other Japanese pear cultivars, i.e., Kousui and Housui, were also constructed. These maps were the first results of pear species.

배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nashicola) 감염특성과 방제기술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A Review)

  • 최으뜸;송장훈;서호진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01-107
    • /
    • 2023
  • 배 검은별무늬병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균은 Venturia nashicola는 국내를 포함한 일본, 중국, 대만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병이다. 이 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관리가 되고 있었다. 하지만 지속인 화학적방제는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병원균의 저항성 출현을 야기하여 보다 지속 가능한 관리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V. nashicola의 생환 및 감염 특성을 이해하고 과거부터 이어져온 달력형 방제나 특정 계통의 살균제 연용에서보다 기상환경조건에 따라 능동적인 방제시기 설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배 검은별무늬병인 V. nashicola의 병환, 감염특성 그리고 방제체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보다 효과적인 방제관리체계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리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