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nut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31초

땅콩 요구르트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Peanut Yogurt)

  • 방병호;서정숙;정은자;김관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3-59
    • /
    • 2004
  • 영양학적 가치와 경제적 효과를 향상시킨 땅콩요구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본 실험에 사용한 땅콩박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수분 2.30%, 조단백31.39%, 조지방 38.84%, 회분 2.89% 그리고 탄수화물이 24.58%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지분유에 땅콩박을5%, 10% 및 15%를 첨가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그 품질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구 중 5%와 10% 땅콩박으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적정산도가 둘 다 1.58%로, 땅콩박 무첨가구의 적정산도 1.55%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젖산균의 생육은 첨가된 땅콩박으로 촉진되어 무침가구의 8.3 log cfu/ml보다 5% 땅콩박 첨가구가 8.9 log cfu/ml로 가장 높았다. 땅콩박 요구르트의 점도는 5%에서 3,800 cps로, 무첨가구의 3,500 cps보다 높았으나 15% 땅콩박 첨가구에서는 무첨가구의 점도보다 낮은 2,533 cps로 나타났다. 5$^{\circ}C$에서 15일간의 저장시 땅콩요구르트는 pH, 총산도 및 생균수에 거의 변화가 없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에서 명도의 L 값은 땅콩박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적색도 a값 은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그리고 황색도의 b 값은 땅콩박 5% 첨가시 증가하였다가 10% 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땅콩박 첨가구가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파종기(播種期)가 땅콩의 지방(脂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n Fa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According to Several Sowing Season)

  • 조규성;정예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82-186
    • /
    • 1985
  • 본실험은 중부지방(中部地方)의 땅콩 파종적기(播種適期)를 구명(究明)하고자 초형별(草型別)로 여주재래종, 수원15호 및 Wasedairu의 3품종을 5월 5일 부터 7월 4일 까지 10일 간격으로 파종하여 재배하였다. 땅콩의 조지방(粗脂肪)은 평균 46.05%로 가장 많고, 다음은 조단백질(粗蛋白)으로 평균 32.26%였다. 땅콩의 100입중(粒重)은 5월 5일부터 6월 4일 파종까지는 서로 비슷한 중량(重量)이였으며, 그중 5월 15일(평균 68.3g) 파종때가 가장 높았다. 또 품종간에는 Wasedairu, 수원15호, 여주재래종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땅콩의 조지방(粗脂肪)함량은 5월 15일 또는 5월 25일을 정점(頂點)으로 증가하다가 그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품종간에는 서로 비슷한 함량이었다. 땅콩의 지방산(脂肪酸)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80{\sim}8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palmitic acid는 $10{\sim}15%$, stearic 및 arachidic acid는 각각 $1{\sim}5%$를 함유하였다. 또 땅콩은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미성숙종실(未成熟種實)이 되어 지방산조성비(脂肪酸組成比)의 증감변화(增減變化)가 현저하였다.

  • PDF

땅콩 품종간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n Antioxidant Potential of Several Peanut Varieties)

  • 이승은;박장환;방진기;성낙술;정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41-945
    • /
    • 2004
  •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9가지 땅콩 품종의 종실, 종피 및 종실체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람의 저밀도지단백(LDL)의 산화에 대해 종실, 종실체 및 종피는 각각 85.3∼91.0%, 77.4∼85.8%, -1.7∼46.1%의 저해활성을, linoleic acid 산화에 대해 각각 94.0∼94.9%, 94.2∼95.0%, 69.4∼80.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품종별 LDL 산화저해능은 보원땅콩, 미광땅콩, 신대광땅콩 및 기풍땅콩이, linoleic acid 과산화 저해활성은 신대광, 미광, 대풍, 왕, 기풍 등의 품종이 비교적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분석한 결과 종피 (88.3∼98.7%), 종실체 (16.7∼56.3%) 및 종실(-28.0∼20.0%)의 순으로,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종피(89.9∼90.8%), 종실체(6.0∼12.0%) 및 종실(0.6∼2.1%)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대신땅콩, 대광땅콩, 기풍땅콩, 새들땅콩, 대풍땅콩 등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광땅콩, 대신땅콩, 새들땅콩 및 기풍땅콩 등이 비교적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에서는 종피, 종실체, 종실이 각각 12.7∼21.0 mg%, 2.46∼4.24mg%, 0.94∼l.16 m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대광, 대신, 보원, 새들, 기풍 등의 품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간의 차이는 LDL 산화저해에 대해 종피가,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종실이,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해 종실체가, 총페놀 함량에서는 종피가 비교적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항산화 활성 및 총페놀 함량을 종합할 때 대광, 대신, 기풍, 새들 등의 땅콩 품종이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고올레산 땅콩 섭취의 혈장 지질 개선 효과 (Effec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enriched Peanut Consumption on Serum Lipid in High Fat Diet-induced Mice)

  • 오은영;배석복;김성업;김정인;이명희;성정숙;하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47-75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igh-oleate and normal-oleate peanut consumption on adipose mass and serum lipids in obese-induced C57BL/6J mice. After four weeks of the high-fat diet,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control (NC) diet, high-fat control (HFC) diet, high-oleate peanut-seed (HOPS) diet, normal-oleate peanut-seed (NOPS) diet, high-oleate peanut-oil (HOPO) diet, and olive-oil (OO) diet. After four weeks, all four experimental diet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weight than HFC group. In four experimental diet groups, serum triglycerides (TG), total cholesterol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HFC group. T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OPS group (92.1±1.2 mg/dL) than NOPS group (101.7±5.3 mg/dL, p<0.05). Similarly, LDL-C was significantly lower in HOPS group (66.1±2.8 mg/dL) than NOPS (76.9±1.5 mg/dL, p<0.05), on the other hand, HDL-C indicated a significant elevation in HOPS (50.5±2.1 mg/dL) than NOPS group (45.2±1.6 mg/dL, p<0.05).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nsumption of high-oleate peanut has a favorable effect on the plasma lipid profile.

식품 시설 또는 조리도구 표면에서 땅콩 알레르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세척 방법 (Cleaning Methods to Effectively Remove Peanut Allergens from Food Facilities or Utensil Surfaces)

  • 김솔아;이정은;신재민;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28-23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식품 제조시설 및 조리도구의 표면을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겐인 땅콩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습식세척법을 평가하였다. 습식세척은 식품알레르겐 또는 잔류물질을 세척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식품 시설 또는 접촉 표면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나무, 플라스틱에 대해 온수로 5분간 불림 후 세척솔과 세척용제를 이용한 세척효과는 스테인리스> 유리> 플라스틱> 나무 순으로 확인되었다. 접촉 표면이 거친 나무는 끼임 등에 의해 세척효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표면의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해 온수(50℃±2)로 5분간 불림 후 세척솔과 차아염소산 나트륨으로 세척하였을 때 나무표면으로부터 땅콩 알레르겐 제거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품 제조시설 및 조리도구의 표면에 따라 땅콩 알레르겐 세척효과는 달리 확인되어 본 연구에 사용된 재질과 세척용제 이외에 대해서도 추가의 연구는 필요하다. 식품안전현대화법에서 식품알레르기 표시 제도 및 식품알레르기 교차오염 예방 등에 관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식품 제조시설 및 조리도구 표면에 존재하는 식품알레르겐에 의한 교차오염의 예방과 관리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적인 세척 후에도 제조시설 및 도구의 표면에 땅콩 알레르겐의 잔류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식품제조시설에서 취급하고 있는 땅콩 알레르겐의 세척 및 저감과 적절한 재질의 시설 및 도구 선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땅콩껍질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지닌 pratensein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atensein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the Peanut Shells)

  • 위지향;문제학;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3-647
    • /
    • 2004
  • 땅콩껍질에 함유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의 탐색을 위해 땅콩껍질을 MeOH로 추출하고 이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EtOAc 중성획분을 얻었다. 이 획분에 함유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을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다음 HPLC를 이용하여 1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1H-NMR$, MS 및 NOESY 분석에 의해 땅콩껍질로부터 분리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은 pratensein으로 동정되었다.

호남지방에 발병되는 땅콩바이러스의 분리, 동정 및 종자전염 (Identification and Seed Transmission of Peanut Viruses Occurenced in Honam Area)

  • 소인영;정성수;전길형
    • Applied Microscopy
    • /
    • 제22권1호
    • /
    • pp.55-69
    • /
    • 1992
  • Viral disease incidence in the peanut fields at Iri, Kochang, Iksan and Puan in Chonbuk province was 0.93% on July and 8.46% on August in 1991. The causal pathogen was identified as peanut stripe virus (PStV) by the results of host plant reaction, immunological assay and observation of virus particles. Seed transmission rates of collected seeds from diseased plants ranged from 12.9 to 14.8% at peanut fields. PStV transmission was higher in small than in large seeds. Seed transmission of PStV was correlated with the age of the plant when inoculated; infection of young plants resulted in more seed transmission than did infection of old plants. Seed transmission of PStV was correlated with pod formation stages when inoculated at the 45th day after sowing; formed seeds for 2 weeks after inoculation resulted in more seed transmission than did formed seeds after 4 weeks. In seed transmission, this causal virus was moved to embryo and cotyledon through gynophore, pod, and funicle from leaves.

  • PDF

자가탁주와 땅콩버터에 대한 Aflatoxins 오염도의 검색 (The Detection of Aflatoxin in Home-made Takju and Peanut butter)

  • 오유진;윤여표;여신구;홍진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71-176
    • /
    • 1986
  • 충청북도 청원군 9개면에서 수집한 자가탁주 시료와 청주지역 시장에서 수집한 국내산 땅콩버터중의 aflatoxins 검색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자가탁주 시료에서는 78% 이상의 지역 시료에서 aflatoxin B1이 검출되었으며 평균 0.36 ppb, 최고 1.2 ppb까지 검출되었다. 2. 국내산 땅콩버터 시료에서는 aflatoxin류가 검출되지 않았다. 3. Sep-Pak silica cartridge에 의한 정제법은 기존의 column chromatography 정제법보다 회수율, 시간, 시약 등에서 훨씬 더 효율적이었다.

  • PDF

Laxative effect of peanut sprout extract

  • Seo, Ji Yeon;Kim, Seong Soon;Kim, Hyo Jung;Liu, Kwang-Hyeon;Lee, Hak-Yong;Kim, Jong-S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4호
    • /
    • pp.262-266
    • /
    • 2013
  • Certain phenolic compounds are known to exhibit laxative properties. Seed sprouts, such as those of peanut, are known to promote de novo biosynthesis of phenolic compou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tential laxative properties of 80% (v/v) ethanolic extract of peanut sprout (PSE), which contains a high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such as resveratrol. For this, SD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PSE while a control group was incubated with saline. Laxative effects were examined in both groups of rats. Constipation induced by loperamide in SD rats was improved by administration of PSE. Constipated rats showed increased intestinal movement of $BaSO_4$ upon administration of PSE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groups administered 100 or 1,000 mg PSE/kg bw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ransit time of the indicator. However, colon length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although it was longer in the group incubated with 1 g PSE/kg bw compared to other groups. Fur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ol number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how that PSE has a laxative effect in a rat model of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