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ch

검색결과 609건 처리시간 0.045초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추출액이 선천성 고혈압 흰쥐의 지질성분 및 혈압 저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Lipid Compositions and Blood Pressure Level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김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071-1079
    • /
    • 2006
  •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생리활성 추출물질이 선천성 고혈압 흰쥐(SHR)의 지질대사 이상 및 고혈압 예방과 개선효과 등에 생리생화학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Wistar 계 수컷 SHR을 사용하여, 기본식이와 물만을 급여한 대조군인 Control군과 SHR에 돌복숭아 5.0g% 추출액을 급여한 군(5g% Ex.군) 및 SHR에 돌복숭아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킨 10g% Ex.군을 33일간 실험 사육하여 혈청 지질성분 및 혈압 저하 효과를 생리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 등에서 돌복숭아 생리활성물질 5.0g%,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킴으로서 유의적인 농도 등의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H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는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장 및 뇌 중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는 돌복숭아 5.0g%,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킨 군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청 apolipoprotein(Apo) A-I, Apo A-II 농도 등은 돌복숭아 5.0g%,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킨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po C-II, Apo C-III, Apo E 및 Apo A-I에 대한 Apo B의 농도 비는 감소되었으며, 혈압의 변화는 SHR에 돌복숭아 5.0g% 및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킴으로서 혈압이 저하됨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돌복숭아 5.0g% 농도(5g% Ex.군)와 10.0g% 농도(10g% Ex.군)의 추출액 섭취에 따른 두 군간에 각종 지질성분과 apolipoprotein 분획 농도 및 혈압 변화의 비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야생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 추출액 섭취가 선천성 고혈압 흰쥐에 대한 혈청 지질개선 및 심장순환기계 질환,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복숭아주 발효 최적화 (Optimization of Peach Wine Ferment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86-591
    • /
    • 2015
  • 복숭아를 이용하여 향미가 우수한 고품질의 복숭아주를 제조하고자 중심합성계획에 따른 실험조건으로 복숭아 과즙을 발효시켜 발효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최적 발효조건을 설정하였다. 복숭아주 발효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범위가 3.4~9.2%이고 $R^2$가 0.9229(P<0.01)였으며, 초기 당도 $18.73^{\circ}Brix$, 발효온도 $16.81^{\circ}C$, 발효시간 12.99 day일 때 8.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도의 범위는 0.30~0.74%이고 $R^2$는 0.8634(P<0.05)였으며, 초기 당도 $15.11^{\circ}Brix$, 발효온도 $17.09^{\circ}C$, 발효시간 13.61 day일 때 0.2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발효 후 잔당 함량은 초기 당도 $17.79^{\circ}Brix$, 발효온도 $20.63^{\circ}C$, 발효시간 3.37 day일 때 $6.67^{\circ}Brix$로 가장 많이 잔존하였다. 그리고 복숭아주의 황색도(b값)는 초기 당도 $13.19^{\circ}Brix$, 발효온도 $20.81^{\circ}C$, 발효시간 12.81 day일 때 18.9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숭아주의 최적 발효조건을 설정해 본 결과, 발효조건은 $19^{\circ}Brix$ 정도의 복숭아 과즙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20^{\circ}C$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9일 정도 발효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복숭아 바이러스병 (Occurrence of Stone Fruit Viruses on Peach Trees (Prunus persica L. Batsch) in Korea)

  • 조인숙;조점덕;최승국;최국선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91-395
    • /
    • 2012
  • 국내에서 재배되는 복숭아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북 영천 등 복숭아 주산단지 6개 지역에서 전체 시료 515점을 채집하여 5종(ACLSV, ApMV, PDV, PNRSV, PPV)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검정을 실시하였다. RT-PCR 검정 결과 전체 시료 515점 중 335점의 시료에서 ACLSV와 PNRSV가 검출되어 검정한 시료의 65.0%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을 확인하였다. ACLSV가 검출된 복숭아나무는 잎에 모자이크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PNRSV가 검출된 복숭아나무는 별다른 이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검출된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ACLSV 4개와 PNRSV 3개의 분리주들을 확인하였으며 ACLSV 분리주들 간에는 95% 이상, PNRSV는 8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나타냈다. 기존에 보고된 ACLSV 및 PNRSV 분리주들과의 아미노산 서열 비교에서는 ACLSV 분리주들의 경우 70-99%, PNRSV 분리주들의 경우 88-99%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들 바이러스 분리주들의 계통학적 분석에서 ACLSV 분리주들은 A, B 그룹 중 A그룹에, PNRSV 분리주들은 I (PV32), II (PV96), III (PE5) 그룹에 각각 하나씩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재배 복숭아 과원의 관리현황 및 병해충 발생 실태 (Survey on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isease and Pests in Organic Peach Orchards)

  • 김민기;안민실;박종호;이초롱;이상범;박광래;홍승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03-6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친환경 인증 복숭아 재배현황, 유기농산물인증 복숭아 과원의 관리현황 및 병해충 발생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복숭아 유기인증 농가는 65.5%, 무농약인증 농가는 31.7% 증가하여 매우 높은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복숭아 유기농산물인증 농가 중 대표적인 6 농가를 선발하여 재배현황을 살펴보았다. 조사한 모든 농가에서 녹비작물을 재배하거나 초생재배를 실시하고 예초를 최소한(평균 2.5회)으로 실시하였다. 토양 양분관리를 위해 가축분퇴비, 유박 및 자가제조 액비를 사용하는 농가가 많았으며, 병해충 방제를 위해 보르도액, 석회유황합제, 교미교란제 및 자가제조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해충 피해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충해로 인한 피해는 31.6%, 병해로 인한 피해는 24.1%로 충해로 인한 피해가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 발생 병해충으로는 복숭아순나방이 13.5%로 가장 많은 피해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잿빛무늬병(13.0%), 복숭아심식나방(7.3%) 및 세균성구멍병(7.3%)이 문제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xyfluorfen 처리(處理)에 따른 과수종(果樹種) 및 품종간(品種間)의 약해반응(藥害反應) (Phytotoxic Response of Some Fruit Trees to Oxyfluorfen)

  • 조용수;변재균;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37-347
    • /
    • 1987
  • Oxyfluorfen 살포(撒布)에 따른 과수종류(果樹種類) 및 품종간(品種間)의 표류비수(漂流飛數) 및 휘산해(揮散害) plastic house에서 조사(調査)하였고, 또한 사과에 대한 살포시기별(撒布時期別) 약해반응(藥害反應)을 포장(圃場)에서 비교(比較)하였다. 가. 수종(數種) 및 품종별(品種別) 약해반응(藥害反應) (1) 발아율감소(發芽率減少)에 미치는 oxyfluorfen의 해(害)를 보면 표류비산해(漂流飛散害) 및 휘산해(煇散害)가 비슷한 정도(程度)로 영향을 주었고 과수종류별(果樹種類別)로는 배와 복숭아가 사과보다 심하였다. (2) 신초당(新梢當) 엽수감소율(葉數減少率)은 사과와 복숭아가 배보다 컸으며 잎의 피해증상(被害症狀)은 배에서 가장 빨리 그러고 심하게 발현되었고 복숭아에서는 가장 경미하고 완만하였다. 피해요인별(被害要因別)로 보면 사과와 배에서는 표류비산해(漂流飛散害)와 휘산해(煇散害)를, 복숭아는 주로 휘산해(煇散害)를 받는 경향이었다. (3) 신초생장억제정도(新梢生長抑制程度)는 복숭아에 비하여 사과와 배에서 컷고, 배는 억제(抑制)가 급진적(急進的)이었으나 사과는 비교적 완만하게 진행(進行)되었다. 약해요인별(藥害要因別)로는 표류비산해(漂流飛散害)와 휘산해(煇散害)가 비슷한 정도(程度)로 나타났다. 나. 약제처리시기별(藥劑處理時期別) 약해반응(藥害反應) (1) Oxyfluorfen은 사과유목(幼木)의 발아(發芽)를 지연시켰는데 지연정도(程度)는 발아기(發芽期) 이전(以前)의 살포(撒布)가 발아기(發芽期)에서 발아완료기(發芽完了期) 사이에 살포(撒布)한 것보다 적었으나 최종 발아(發芽)된 수(數)는 oxyfluorfen 살포(撒布)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피해엽수(被害葉數)는 처리시기간(處理時期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피해정도(被害程度)는 발아전(發芽前) 살포(撒布)가 가벼웠다. (2) 신초당(新梢當) 엽수(葉數)와 묘목당(苗木當) 총신초생장량(總新梢生長量) oxyfluorfen의 어느 시기처리(時期處理)에서나 발아후(發芽後) 약 40일까지는 감소(減少)가 인정되었으나 신초생장(新梢生長)이 왕성한 5월 중순 이후에는 처리간(處理間)의 차이(差異)가 거의 없어졌다.

  • PDF

경북 지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자두과원의 잡초 발생 분포 및 우점도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rchards of Apple, Grape, Peach, Pear, and Plum of Gyeongbuk Province)

  • 김상국;신종희;김세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51-59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2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12개 시군에서 경북 지역의 주요 과수인 사과, 포도, 복숭아, 포도, 자두 과원에 발생되는 잡초종을 동계잡초와 하계잡초로 나누어 우점도를 조사하였다. 사과 과원에서는 36과 105종, 포도 과원 34과 126종, 복숭아 과원 34과 126종, 배 과원 33과 98종, 자두 과원 36과 111종이었다. 과원별 우점도는 사과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6.09%, 포도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7.32%, 복숭아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4.74%, 배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6.57%, 자두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5.38%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89종, 포도 과원 28과 71종, 복숭아 과원 32과 111종, 배 과원 27과 68종, 자두 과원 33과 83종이었고 하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101종, 포도 과원 27과 69종, 복숭아 과원 29과 91종, 배 과원 31과 94종, 자두 과원 31과 97종이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 우점잡초는 사과 과원(냉이), 배 과원(별꽃), 복숭아 과원(냉이), 포도 과원(냉이), 자두 과원(망초)이었고, 하계우점잡초는 사과 과원(깨풀), 배 과원(쑥), 복숭아 과원(강아지풀), 포도 과원(강아지풀), 자두 과원(강아지풀)이었다.

복숭아 수확후 오존수 침지처리가 품질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the Quality of Peach after Postharvest)

  • 조재욱;김임수;최충돈;김일두;장상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54-458
    • /
    • 2003
  • 경북지방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생과용 복숭아를 이용하여 수확후 오존수 침지처리가 복숭아 품질신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가용성고형물은 처리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후 15일째는 무처리구와 오존수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도의 변화에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오존수 침지처리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오존수처리후 10일째와 15일깨 모두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고, 경도는 각 처리별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는데 저장 15일째는 무처리구와 오존수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색상의 변화는 각 처리별로 과육의 색이 처리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조금 어두워졌고 채도(b)는 연한 황색에 가까운 경향이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처리구와 무처리구 사이의 L, a, b값 모두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았었는데 부패율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상온저장 10일경에는 무처리구 26.3%에 비해 오존수처리는 19.0∼21.6%로 조금 낮았고, 저장 15일째 역시 무처리구에 비해 오존수처리구의 경우 10.7∼16.0% 낮은 부패율을 나타났다.

개복숭아 당절임액 및 곰취 추출물이 우리맛닭 고추장 양념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al Peach Sugar Extracts and Gomchwi Extrac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helf-Life of Woorimatdag Chicken Marinated with Red Pepper Sauce)

  • 정유성;신동진;김혜진;정효진;이희정;김동욱;장애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1-61
    • /
    • 2023
  • 토종닭인 우리맛닭 1호를 원료육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고추장 양념육에 개복숭아 당절임액과 곰취 추출물 처리는 우리맛닭 고추장 양념육의 연도 개선에 유의적인 효과는 없었다. 개복숭아 당절임액 30% 처리군은 저장 10일차에 타처리군 대비 낮은 총 미생물 수를 보였으며(P<0.05), 개복숭아 당절임액 처리군은 풍미와 종합적 기호도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곰취 추출물 처리군 대비 관능적 선호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반면, 곰취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관능적 특성은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닭고기 양념육 제품 개발을 위해 곰취보다는 개복숭아 당절임액의 첨가가 우리맛닭 고추장 양념육제품의 저장 안전성과 관능적 특성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 (SCB) Liquid Manure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ies of Peach (Prunus persica 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rchard

  • Park, Jin Myeon;Lee, Seong Eun;Lim, Tae Jun;Noh, Jae Se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30-535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SCB) liquid manure application on shoot growth, fruit qualiti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each orchard. SCB liquid manure was fertigated ten times from April to October in SCB plot, whereas chemical fertilizer was treated two times as basal and additional fertilizers in control plot. The shoot growth, leaf nitrogen and potassium content, soil exchangeable K, fruit weight and yield were higher in SCB plot than in control. Soluble solid content and acidity, soil organic matter, soil available phosphate and soil exchangeable M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and the leaf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were lower in SCB plot than in control. In conclusion, fertigating SCB liquid manure in peach orchard has positive effects on fruit weight and yield, and it is suggested that periodical soil testing is need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K accumulation in SCB liquid manure treated soil when the orchard is fertigated based on the soil nitrogen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