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enger Safety

검색결과 711건 처리시간 0.032초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차량 검출 및 선박복원성 계산 (Vehicle Detection and Ship Stability Calculation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 김득봉;허준혁;김가람;서창범;이우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1044-1050
    • /
    • 2021
  • 우리나라는 여러 건의 여객선 사고를 겪으면서, 여객선 안전관리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연안을 운항하는 여객선 162척 중, 차량갑판이 개방된 형태의 차도선이 105척(65 %)을 차지하고 있다. 차도선은 2~4개의 섬을 경유하는 운항 패턴을 가지고 있다. 출항지(모항)에서 안전점검은 선원과 운항관리실의 운항감독관, 해사안전감독관에 의해 실시된다. 경유지에서의 안전점검은 자체점검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여느 제도와 마찬가지로 제도적, 현실적 한계 등이 있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하여 차량을 검출하고 이를 선박 복원성 계산과 연동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차량 검출을 위해 차영상을 이용하는 방법과 기계학습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검출된 데이터를 선박 복원성 계산에 활용하였다. 기계학습을 통해 차량을 검출하는 경우, 차영상에 의한 차량 검출 방법보다 차량 식별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카메라가 일몰과 같은 상황에서 역광을 받는 경우와 야간과 같은 상황에서 부두와 선박 내부의 강한 조명에 의해 차량이 식별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안정적인 영상처리를 위해 충분한 영상 데이터 확보와 프로그램 고도화가 필요해 보인다.

U-turn 설치를 위한 적정 폭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ropriate Breadth for U-turn Setup)

  • 이진욱;김기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47
    • /
    • 2009
  • 교통안전시설 실무편람에 의하면 현재 U-Turn 설치 가능한 지점으로 최소폭원을 '편도 폭 9m 이상'의 지점으로 하고 있으며, U-Turn 허용차량은 승용차로 제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대형화된 승용차와 보편화된 SUV(sports utility vehicle)차량이 한번에 U-Turn을 완료하지 못하면서 교통소통과 교통안전에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차량을 이용한 U-turn 회전반경의 실차 조사치와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인 PC-Crash에 의한 예측치를 비교 검정한 후 PC-Crash를 이용하여 국내 승용차에 대해 U-turn 회전반경에 대해서 예측하고 U-Turn 설치를 위한 적정 폭원으로 제시하였다.

승용 자동차 조종장치 스테레오타입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와 실물 시뮬레이션 방법 비교 (Comparison of Paper-Pencil and Hardware Tests for Investigating Stereotypes for Controls of Passenger Cars)

  • 기도형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3-69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stereotypes of control-display relationships for seven principal controls in passenger cars using the paper-pencil and hardware tests, and to examine stereotype strength of the paper-pencil test through comparing the stereotypes for the controls derived by the two methods. Ninety two and 60 college-ag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aper-pencil test and the real car simulation of the hardware test, respectively. There are dominant motion-directions for all controls in the paper-pencil test, while in the hardware test, there are dominant motion-directions for six controls including head light, high beam, door window, ignition key, door key and door lock controls. The stereotypes of motion-directions for six controls obtained by the paper-pencil test we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by the hardware test. It was inferred from this that the congruence of the stereotypes by the two methods might be attributed to two simple motion-direction principles of 'clockwise for increase' and 'upward for increase.' Although it is known that the hardware test would be best for obtaining accurate stereotypes between controls and displays, this study implies that if the paper-pencil test is well designed, the paper-pencil test can produce the same results as the hardware test at low cost and without consuming time.

조수석 에어백 성능 개선을 위한 형상 설계연구 (A Study on Shape Design of the Passenger Airbag for Efficiency Improvement)

  • 양성훈;임종현;김승기;채수원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242-249
    • /
    • 2017
  •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a passenger airbag and the possibility of injury is analyzed using the Taguchi method. The optimal shape combination is proposed for a design guideline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injury to the dummy. The airbag FE model for analysis is obtained using a CAD system that can change the shape through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The widths of the left / right, top / bottom, and back / forth direction of the airbag shape are set as the design factors, and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injury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shape is analyzed. The minimum geometric combinations are obtained using the orthogonal array method. The signal to noise ratio is calculated and the optimal shape combination is obtained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The obtained optimal shape combination is compared with the possibility of injury of the initial airbag shape to confirm improved airbag performance.

딥러닝 기반 소형선박 승선자 조난 인지 시스템 (Deep Learning based Distress Awareness System for Small Boat)

  • 전해명;노재규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81-288
    • /
    • 2022
  • According to statistics conducted by the Korea Coast Guard, the number of accidents on small boats under 5 tons is increasing every year. This is because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are on board. The previously developed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s are not well distributed because passengers must be equipped with additional remote equi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stress awareness system that recognizes man over-board situations in real tim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art of the passenger tracking system among the small ship's distress awareness situational system that can generate passenger's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deep learning based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technologies. The system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eps. 1) the passenger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form of Bounding box using its detection model (YOLOv3). 2) Based on the Bounding box data, Deep SORT predicts the Bounding box's position in the next frame of the image with Kalman filter. 3) When the actual Bounding Box is created within the range predicted by Kalman-filter, Deep SORT repeats the process of recognizing it as the same object. 4) If the Bounding box deviates the ship's area or an error occurs in the number of tracking occupant, the system is decided the distress situation and issues an aler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existing technologies and ensure the safety of individuals aboard small boats.

승객 휴대 전자기기 사용에 대한 위해요인 식별 및 리스크 평가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for the Use of Passeng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임인규;김무근;강자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88-294
    • /
    • 2018
  • 항공기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고정된 모니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승객 개인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형태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이로 인해 기내 설비는 간소해진 반면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전기 충전으로 안전에 대한 리스크는 증가되었다. 송신 기능이 없는 개인 휴대전자기기와 달리 와이파이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T-PED)의 사용이 허용되고 기내에서 배터리의 충전도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내 무선 환경과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NASA 항공안전보고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내 전자기기 사용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항공기 안전관리 관점에서 비행 중에 발생된 객실 전자장비나 승객 휴대용 전자기기(특히 스마트폰)로 인한 이벤트 발생 사례를 공유하여 개인용 전자기기의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잠재적 위해요인의 식별과 리스크 평가 작업이 수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리스크 완화 전략이 제시되었다.

Skeleton Keypoints를 활용한 CNN3D 기반의 버스 승객 승하차 예측모델 (CNN3D-Based Bus Passenger Prediction Model Using Skeleton Keypoints)

  • 장진;김수형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3호
    • /
    • pp.90-101
    • /
    • 2022
  • 버스는 대중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교통수단이다. 그만큼 승객의 안전관리를 위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하지만 2018년 승차하기 위해 접근하는 노인을 인지하지 못하고 버스가 출발하면서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안전 시스템이 미흡한 상황이다. 기존에 뒷문 계단 쪽 센서를 통해 끼임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 시스템은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위 사고처럼 승하차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진 못한다. 버스 승객의 승하차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면, 위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 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승객의 승하차 의도를 예측하는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버스에 부착된 카메라 영상에서 UDP-Pose를 통해 승객의 skeleton keypoints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1×1 CNN3D 기반의 버스 승객 승하차 의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승객의 승하차 의도를 예측하는 부분에서 RNN, LSTM 모델보다 약 1~2% 높은 정확도를 보여준다.

Tailor Welded Blanks를 이용한 자동차용 부품개발 (Development of Automotive Part using Tailor Welded Blanks)

  • 이승희;전병희;김헌영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44
    • /
    • 1998
  • In this study, the subframe of passenger car is developed by typical analysis and carsh simulations. According this results, energy absorption and barrier froce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passenger safety and deformation shape. For that purpose, it is most effective to absorb energy more tailor welded blanks(TWB) subframe than non-TWB. The subframe with TWB is simulated, in which reduced stamping parts, weight reduction and cost down.

  • PDF

국가철도안전목표 설정방안 연구 (A Study on Setting Up National Railway Safety Target)

  • 곽상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95-299
    • /
    • 2011
  • 철도안전법을 중심으로한 체계적인 안전관리와 연간 1조원의 철도안전분야에 대한 투자를 통해 최근 6년간 철도사고 발생율의 50%를 저감하였다. 철도사고율이 크게 감소하여 일부 지표는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거나 선진국 보다 안전성이 높게 개선되었다. 2005년 이후 국가철도안전 목표는 철도사망자수, 열차사고발생율 및 10억인km당 여객사망자수 등으로 설정되어 운영중이다. 열차의 충돌, 탈선, 화재와 같은 열차사고 발생 및 관련 인명피해가 크게 감소한 반면, 안전사고 및 자살 관련 사고가 급증하고 있어 과거의 국가철도안전목표를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철도운영기관의 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노력과 국내의 취약점 도출에 활용할 수 있는 목표로의 변경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1~2012년 사이에 새로이 수립되는 국가차원의 다양한 철도 안전분야 계획들의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철도사고율 분석, 추세분석, 목표 설정 방법론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