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5초

아동 및 청소년의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에 관한 조사: 체계적 고찰 (A Study on the Lifestyle Assessment Too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 김아람;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7-24
    • /
    • 2022
  • 목적 : 아동 및 청소년의 다면적인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와 라이프스타일 구성요소별 평가도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기간은 2001년부터 2020년까지였으며, 검색엔진은 CINANL, NDSL, PubMed, RISS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lifestyle assessment' OR 'lifestyle profile' OR 'lifestyle test',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 'nutrition assessment' OR 'nutrition profile',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OR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을 사용하였다. 결과 : 5,883편의 연구에서 중복제거 후 제목, 초록, 전문을 검토한 결과, 총 24개의 평가도구가 선정되었다. 세부 결과로는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 5개, 신체활동 평가도구 7개, 식습관 평가도구 9개, 활동참여 평가도구 3개가 도출되었다. 결론 : 아동 및 청소년의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에 대하여 각 항목별 평가도구의 평가항목, 측정방법, 평가대상연령을 분석하였다. 향후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표준화된 다면적인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의 신체구성 및 신체활동 참여 실태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Body Composition in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Survivor)

  • 이미경;민지희;전용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465-472
    • /
    • 2016
  • 본 연구는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과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고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활동 참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4년 6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서울 시내 소재 Y대학병원 암예방센터에 방문한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지 4년이 지난 암경험자 354명(위암: 169명, 대장암: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활동량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의 한글판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추가로 주당 걷기운동량과 근력운동 횟수를 설문하였다. 연구 결과 대장암 경험자가 위암 경험자보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혈압 및 당뇨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강도 신체활동 150분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 75분 이상 참여하는 위암 경험자는 41.4%, 대장암 경험자는 26.5%로 위암 경험자의 신체활동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주일에 2회 이상 근력운동에 참여한 환자는 전체 평균 13.6%로 나타났다.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 중 남자가 여자보다 신체활동참여율이 높았고, 65세 미만이 65세 이상 그룹보다 신체활동량이 높게 나타나고 좌식생활은 낮게 나타났다. 대장암과 위암 경험자들의 신체활동 참여율을 증진시키지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특히 여성과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율의 증진에 힘써야 한다.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Health in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 Chu, Hyeon Sik;Tak, Young Ra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4-193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path model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capital, physical activ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the 2014 Seoul Survey, in the method of analyzing cross-sectional design and secondary data. Among 45,497 participants in total, the data of 4578 adults aged 65 or above was analyzed.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social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by regular exercise. Additionally, a numerical rating scale was used to assess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analysis. Results: Social participation and physical activity showed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in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while social trust and physical activ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ypothetical path model of community indwelling elderly's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proved correct.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health-promoting intervention for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should consider social trust and participation.

만성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에 활동과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tivity and Family Support on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 김원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6-8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based 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odel. Sixty-eight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participation restriction using the Korean version of London handicap scale (K-LHS), modified Barthel index (K-MBI) to measu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rg balance scale (K-BBS) to assess balance,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K-CES-D) to gauge depression. Also, 3 minutes walking test (3MWT), gait velocity, asymmetric posture, and family support were assesse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factors determining participation restri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K-LHS and K-MBI results by gender (p>.05). Correlations between the K-LHS and K-MBI (r=-.656), K-BBS (r=-.543), K-CES-D (r=.266), 3MWT (r=-.363), gait velocity (r=.348), and family support (r=-.389) were significant (p<.05). Also, the K-MBI and family support were the factors that determined participation restriction (p<.05) and that 40.2% of the variation in the K-LHS can be explain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patient's activity level and extent of family support is necessary to reduc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에 따른 체력과 인지기능, ADL, IADL, 및 심리적 변인의 차이 (Differences in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ADL, IAD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 최재원;김상범;강성구;유하나;이경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86-800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경기 소재 65세 이상 노인 463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참여에 따른 체력요인과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심리적 변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유무에 따라 체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심리적 변인인 우울과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참여빈도에 따라 체력, 인지기능, ADL, IADL, 우울 및 삶의 질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참여시간에 따라 체력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력과 인지기능, ADL, IADL, 우울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와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해 신체활동을 포함한 체계적인 중재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 요인 (Factors in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receiving the National Pension)

  • 임안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85-191
    • /
    • 2022
  • 본 연구는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8차 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대상자는 919명이었다.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거주지역,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가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제활동 참여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신체적 건강상태가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한 영향이 미쳤다.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 Kwon, Su Jin;Choi, Eun Kyoung;Lee, Kyung Hee;Im, Yu-M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262-272
    • /
    • 2019
  • Purpose: We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Methods: We recruited 92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from a tertiary medical center in Seoul, measured their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identifi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the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ification, congenital heart disease complexity, the Self-Efficacy Scale, and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scale.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Results: Total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t=4.46, p<.001).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engaged in more physical activity than those who did not (t=6.77, p<.001). Higher self-efficacy (${\beta}=.41$, p<.001), male gender (${\beta}=.37$, p<.001) and particip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ta}=.19$, p=.042)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hat enhance self-efficacy in order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Physical activity should also be promoted in an individualized manner, taking into account gender, disease severity, and parental attitude.

Commitment to Sport and Exercise: Re-examining the Literature for a Practical and Parsimonious Model

  • Williams, Lav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sup1호
    • /
    • pp.35-42
    • /
    • 2013
  • A commitment to physical activity is necessary for personal health, and is a primary goal of physical activity practitioners. Effective practitioners rely on theory and research as a guide to best practices. Thus, sound theory, which is both practical and parsimonious, is a key to effective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literature in search of such a theory - one that applies to and explains commitment to physical activity in the form of sport and exercise for youths and adults. The Sport Commitment Model has been commonly used to study commitment to sport and has more recently been applied to the exercise context. In this paper, research using the Sport Commitment Model is reviewed relative to its utility in both the sport and exercise contexts. Through this process, the relevance of the Investment Model for study of physical activity commitment emerged, and a more parsimonious framework for studying of commitment to physical activity is suggested. Lastly, links between the models of commitment and individuals' participation motives in physical activity are suggest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warded.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Func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45-54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거주 노인 144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일상생활활동은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참여는 한국형 활동분류카드, 삶의 질은 노인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인지기능은 참여의 사회활동과 삶의 질 3개 영역(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관계 및 경제수준)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일상생활활동은 참여(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여가활동)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참여의 하위영역들 중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여가활동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영역과 상관이 있었고, 참여의 사회활동은 신체적 건강을 제외한 삶의 질의 모든 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여러 변인들 중 삶의 질과 가장 상관이 큰 변인은 참여의 여가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참여,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의 순서로 삶의 질과 상관이 있었고, 참여의 하위영역 중 여가활동이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성공적인 노년기 삶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증진을 목표로 한 중재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Intervention Study to Improve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세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89-29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고찰을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향상을 목표로 한 중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위해 "뇌성마비, 아동, 참여, 중재"등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EBSCohost를 포함한 6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총 1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근거수준 I 단계는 6편(54.5%)이었으며, 신체구조와 기능에 초점을 둔 중재방법의 연구는 7편(63.7%), 활동과 참여에 초점을 둔 중재방법의 연구는 각각 2편(18.2%)이었다. 종속변인이 참여와 신체구조와 기능, 활동 모두인 경우는 2편(18.2%), 참여와 함께 신체구조와 기능인 연구는 4편(36.4%), 참여와 활동인 연구는 3편(27.3%), 참여만 종속변인인 연구는 2편(18.2%)이었다. 측정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된 도구는 COPM으로 5편(45.5%)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과 측정도구를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