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nt Observation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8초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에 기초한 초등수학과 수업 컨설팅 실천 사례 연구 (Case Studies for Consult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based on Flanders's Interaction Analysis Category System)

  • 김수미;김미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211-227
    • /
    • 2013
  • 이 연구는 수학수업을 운영함에 있어 발문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의 정도를 진단하고, 예비교사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여 그들의 수학수업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예비교사의 수업을 진단하고, 진단내용 및 진단에 기초한 처방을 제안하는 절차는 수업컨설팅 방식을 택하였으며, 차시별 수업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분석법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화한 AF(Advanced Flander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수업 컨설팅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들의 수업은 주로 비지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반응을 적절하게 이끌어 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발언기회를 독점하였으며,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에 매우 서투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들의 수업은 비지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중심의 수업으로 흘렀으나, 교사의 권위를 내세우지는 않았다. 컨설팅 효과 측면에서는 지시적 발언을 비지시적 발언으로 수정하는 것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교사의 발언 비중을 줄이거나 강의 대신 질문을 사용하는 것,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 등은 1회의 컨설팅으로는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설노인의 삶 (Life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이가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2-38
    • /
    • 2001
  • This study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the life of the elderly in the institution by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seven. who were 4 men and 3 women living in the elderly institution in Taegu.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from June 20. 1999 to January 10. 2000 and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by Giorgi.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were as follows: Unhappy life: irresponsibility. self-centered thought. hardness. Irresistible life: misfortune. unhealthiness. Reading their son's intention. Bitter life: unfair treatment from their sons and daughters, betrayed feeling for their being thrown away. Outside oriented life: a fear of others' attention, wrong information about institutionalized life, maladjustment. Self-consolation life: comfortableness, convenience, economic merit of low cost. Dissatisfied life: discomfort from communal living. unkindness of the institution staffs, depreciated tendency to the elder people, irrational social security system. economic distress, physical pain, restrained feeling. Tenacity to their sons and daughters longingness for their sons and daughters, regretableness, waiting, Regretable life: remorse for their past life. agony, guilty, loneliness, grief, self-abandonment, self-depreciation, other residents' death in common. Inharmonious life with other residents complaint, conflict, ignorance, selfishness. Yearning life for opposite sex: sexual interest. Preparing for their life: control over their body and mind, consideration for others. A life with hope: blessing death, forever healthfulness, affiliation to their fami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education and consultation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to remove the negative recognition of the institutional life to the facility residents. the family and the future consumers of elderly institution. To minimize the maladjustment to facility life of residents, a new program and interventions for the new comer's are needed. The thesis with above results will widen the understandings of institutional residents and an important guidance for a better nursing care in elderly institutions of korea.

  • PDF

The Extraction Process of Durative Persuasive System Design Characteristics for Healthcare-related Mobile Applications

  • Zhang, Chao;Wan, Lil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2호
    • /
    • pp.18-29
    • /
    • 2019
  • In the field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design, persuasive design has gradually been applied to the system development and design process, especially for mobile application design. However, most mobile applications have hitherto a very short using lifecycle. Especially, design features with long-term persuasive effectiveness remain to be further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study, we focused on investigating and identifying the durative persuasive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a data mining process and evaluating the durative effectiveness through a long-term observation process. Total five hundred healthcare-related mobile applications were selected from Apple iTunes Store and a mixed method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most common persuasive desig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extraction, a representative healthcare-related mobile application was selected as experimental subject. Total one hundred and twenty participants were observed during a six-months experiment and the monitoring data of app usage of all participants was collected once a week.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odel for behavior change identification process, participants with habit formation features were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long-term perception level for ten persuasive design characteristics. Further interview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long-term perceptions on those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durative persua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long-term durative effectiveness can be observed and healthcare-related apps designed with those characteristics could have durative effectivenes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uture mobile application designs in user experience and durative persuasion, as well as bringing future benefits for both mobile application developers and users.

메이커 스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가이드 라인 (Service Design Guideline for Maker Space)

  • 곽소정;백윤철;권지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89-397
    • /
    • 2019
  • 본 연구는 메이커 운동의 확산으로 증가하고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의 효과적인 운영 및 내실화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메이커 스페이스의 정의 및 현황 등에 관해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를 조사한다. 둘째, 정성조사 방법으로 메이커 스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비디오 에스노그라피, 참여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을 분석하여 메이커 스페이스에 대한 퍼소나, 블루프린트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메이커 스페이스를 일반랩과 전문랩으로 분류하고,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4가지 형태의 퍼소나를 도출하고 체계화를 위한 블루프린트를 구축하여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 디자인의 퍼소나와 블루프린트는 기존 메이커 스페이스의 서비스 개선과 신규 메이커 스페이스의 설계, 콘텐츠 구성 및 운영의 내실화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유아 간 가십(Gossip)의 사회적 기능 (The Social Function of Gossip Among Young Children)

  • 장현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1-156
    • /
    • 2019
  • 본 연구는 부재한 제 3자에 관한 평가적 대화인 가십(Gossip)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고찰한 것으로, 유아간 가십의 대상과 사회적 기능에 대해 탐구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바람유치원 만 5세 소망반 유아들이다. 자료수집으로는 20회의 참여관찰과 2회의 교사와의 심층면담, 유아와의 비공식적 면담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또래, 교사, 가족을 대상으로 또래와 가십을 나누었다. 또한 유아 간 가십은 또래 관계 강화, 또래 선택, 규칙 확인, 즐거움이라는 사회적 기능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들이 자신의 주변에 대한 민감한 관찰자이며, 또래, 교사, 가족이 그들의 삶에 영향력을 지닌 중요한 존재임을 확인시켜준다. 그리고 유아 간 가십은 유아들이 또래관계를 구축하고, 규준을 학습하며, 즐거운 정서를 경험하는 사회적 대화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부정적 이미지로 그려졌던 가십을 새로운 관점으로 살펴보고, 유아의 사회화 과정에 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실시간 비대면 유아체육 수업의 효율적 운영방안 제시 (Efficient management strategy for untact real-tim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ECPE))

  • 전선혜;노장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15-22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 비대면 유아체육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방법 중 심층면담, 비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주제어를 도출하였고 Spradley의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통해 분류하였다. 범주화 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간 비대면 유아체육 수업에서 고려할 요인의 하위주제로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 '의사소통의 어려움', '비대면에 적합한 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중요성'이 나타났다. 둘째, 실시간 비대면 유아체육 수업의 효율적 운영방안의 하위주제로 '비대면 환경을 고려한 수업설계', '확실한 수업 준비', '원격 관리자의 역할',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지도자 역량강화'가 나타났다. 향후 비대면 유아체육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며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유아체육 수업의 효율적 운영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학습마을활동가의 잡 크래프팅을 통한 일의 의미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work through job crafting by Learning Village Activists)

  • 송성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51-60
    • /
    • 2021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을 중심으로 학습마을활동가의 일의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마을활동가 4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3일부터 2021년 03월 05일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과업 크래프팅은 '자신이 가진 강점과 자원을 활용한 과업수행', '정해진 과업 이외의 추가적 업무수행', ' 효율적 과업수행을 위한 업무방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인지 크래프팅은 '일의 중요성과 소명의식 인지', '일의 행복과 즐거움 인지', '일의 전문성 확장을 위한 역할 인지'가 나타났다. 관계 크래프팅은 '동료와 실천학습공동체 구축', '마을주민의 성장과 변화의 매개자', '업무관계자와 갈등과 협력의 공존'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습마을활동가들은 잡 크래프팅을 통해 능동적으로 일을 변화시키고 있었으며, 이는 일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추후 타지역 학습마을활동가 대상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경험적 분위사상법을 이용한 지역기후모형 기반 미국 강수 및 가뭄의 계절 예측 성능 개선 (Improvement in Seasonal Prediction of Precipitation and Drought over the United States Based on Regional Climate Model Using Empirical Quantile Mapping)

  • 송찬영;김소희;안중배
    • 대기
    • /
    • 제31권5호
    • /
    • pp.637-656
    • /
    • 2021
  • The United States has been known as the world's major producer of crops such as wheat, corn, and soybeans. Therefore, using meteorological long-term forecast data to project reliable crop yields in the United States is important for planning domestic food policies. The current study is part of an effort to improve the seasonal predictability of regional-scale precipitation across the United States for estimating crop production in the country. For the purpose, a dynamic downscaling method using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is utilized. The WRF simulation covers the crop-growing period (March to October) during 2000-2020. The initial and lateral boundary conditions of WRF are derived from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 (PNU CGCM), a participant model of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Climate Center (APCC) Long-Term Multi-Model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bias correction of downscaled daily precipitation, empirical quantile mapping (EQM) is applied. The downscaled data set without and with correction are called WRF_UC and WRF_C, respectively. In terms of mean precipitation, the EQM effectively reduces the wet biases over most of the United States and improves the spatial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observation. The daily precipitation of WRF_C shows the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frequency and extreme precipitation intensity compared to WRF_UC. In addition, WRF_C shows a more reasonable performance in predicting drought frequency according to intensity than WRF_UC.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10년-2020년의 논문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 A Focus on the 2010-2020 Studies -)

  • 강유림;김문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9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MZ generation's lifestyle-related research from 2010 to 2020. As a result of searching keywords such as MZ generation's and lifestyle using academic database search sites, a total of 218 cas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to conduct frequency and content analysis. First, research type was 74 dissertations(34.6%), 144 journals(65.4%). The study of MZ generation was relatively active in journals.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field was 85(39.7%) in the social field, followed by 66(30.8%) in the arts/physical education, 21(9.8%) in the complex studies, 16(7.5%) in education, 15(7.0%) in nature, 6(2.8%) in engineering, 4(1.9%) in humanities, 1(0.5%) in agriculture/marine. Third, the current status of MZ generation research topics is 54 social participations(25.3%), 35 fashion/beauty(16.3%), 31 social/organizational adaptations(14.5%), 25 cultural/leisure activities(11.7%), 24 design/development projects(11.2%), 21 economic/employment/job projects(9.8%), 11 educational/career/experiences(5.1%), 9 self-concepts(4.2%), 4 welfare services(1.9%). Fourth, the current status of MZ generation research methods was quantitative research(survey/experiment) 125(58.4%), qualitative research(depth interview/participant observation) 42(19.6%), theory/literature research 35(16.4%) and mixed research 12(5.6%). Fifth, the study on the lifestyle of the MZ generation was conducted in four cases, one in 2016, one in 2019, two in 2020.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overall flow of data of information exchange that can shar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Z generation and suggested th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individual tendency, behavior,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G투어 참여 골프 선수들의 재미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fun experience of G-Golf Tour players)

  • 한지훈;이철원;서광봉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4호
    • /
    • pp.343-350
    • /
    • 2016
  • 본 연구는 G투어 참여 골프 선수들의 재미경험에 관하여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6년 현재 G투어에 참여하는 남, 여 프로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남자프로 3명, 여자프로 3명으로 총 6명을 눈덩이 표집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 하였으며,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얻은 내용을 1차적으로 코딩 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으며, 2차적으로 주요 주제들이나 현상들을 중심으로 영역을 분류하여 범주화 작업을 진행 하여 의미 있는 해석과 연구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진실성과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질적 연구 전문가 교수 1명과 박사 2명을 통한 동료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G투어의 참여 동기, G투어의 인식변화, G투어의 중독, 그리고 G투어의 재미경험으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G투어의 재미경험에 대한 하위요인으로 미디어 노출, 대인관계와 실력향상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