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motrem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The Lichen Genus Parmotrema in South Korea

  • Jayalal, Udeni;Divakar, Pradeep K.;Joshi, Santosh;Oh, Soon-Ok;Koh, Young J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1권1호
    • /
    • pp.25-36
    • /
    • 2013
  • Parmotrema A. Massal. is a common lichen genus scatter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no detailed taxonomic or revisionary study of this genus has been conducted for nearly two decades. Therefore, this study revised the taxonomy of this genus based on specimens deposited in the lichen herbarium at the 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 and samples wereidentified using recent literature. In this revisionary study, a total of eighteen species of Parmotrema including eight new records [Parmotrema cetratum (Ach.) Hale, Parmotrema cristiferum (Taylor) Hale, Parmotrema grayanum (Hue) Hale, Parmotrema defectum (Hale) Hale, Parmotrema dilatatum (Vain.) Hale, Parmotrema margaritatum (Hue) Hale, Parmotrema pseudocrinitum (Abbayes) Hale, and Parmotrema subsumptum (Nyl.) Hale] are documented.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species with their morphological, anatom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re also given and a key to the known Parmotrema species of the Korean Peninsula is presented.

덕유산 일대의 지의식물 분류 (The additional lichens in Mt. Deogyu)

  • 문광희;박승태;민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26
    • /
    • 1991
  • 1986년 8월의 1개월간 덕유산 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한국산 지의식물 21종을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Anzia colpota, Cladonia bacillaris, Flavoparmelia caperata, Hypotrachyna physcioides, Nephromopsis asahinae, Parmelia fertilis, P. marmaiza, Parmotrema austrosinense, P. chinense, Xanthopamelia mexicana, X. scabrosa, Anaptychia palmulata, Heterodermia hypoleuca, 및 Physconia grumosa 로 분류되었다 그 중에서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것은 Hypotrachyna physcioides 이고 , Hale (1974)에 의해 속명이 개명된 것은 Parmotrema austrosinense 와 Xanthoparmelia scabrosa 였다.

  • PDF

Parmotrema clavuliferum and P. reticulatum are independent species

  • Ahn, Chorong;Moon, Kwang He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254-260
    • /
    • 2016
  • Parmotrema clavuliferum ($R{\ddot{a}}s{\ddot{a}}nen$) Streimann and P. reticulatum (Taylor) M. Choisy (Parmeliaceae, lichenized Ascomycotina) have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wide lobes with soralia, reticulate-maculate on upper surface of lobes, and marginal cilia. In addition, they both produce salazinic acid and atranorin as major chemical substances. These similar properties found in both species have led to confusion in recognizing them as distinct species; however, P. clavuliferum is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by capitate soralia on short laciniae which are always mottled white and by the production of fatty acid and gyrophoric acid together with salazinic acid. In addition, the most likely phylogenetic tree of these species shows that they are nested in well-supported monophyletic group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cognize them as two separate species, P. clavuliferum and P. reticulatum.

항진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지의류 내생 곰팡이의 탐색 (Detection of Endolichenic Fungi Producing Antifungal Compound)

  • 김은성;최갑성;최상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29
    • /
    • 2012
  • 순천대학교 지의류생물 소재은행(KOLABIC)에서 100종의 지의류 내생 곰팡이를 분양 받아 C.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고체배지 및 액체배지에 배양시 Usnea rigidula, Parmotrema pseudotinctorum 그리고 Myelochroa sp.가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3종 지의류 내생 곰팡이의 배양액을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순으로 추출하고 disc 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C.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모두 chloroform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ethyl acetate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항진균성 물질이 기존에 알려진 물질인지에 대한 정보를 알기위해 6 일 동안 배양한 Usnea rigidula와 4일 동안 배양한 Parmotrema pseudotinctorum의 chloroform 추출액에 대하여 HPLC, $C_{18}$ column으로 분리하여 Usnea rigidula (2326)의 6일과 Parmotrema pseudotinctorum (2202)의 4일 배양액에서 각각 2 개의 peak 분획물을 얻었다. 각 분획물을 농축한 후 96 well plate를 이용하여 C. albicans와 C. glabrat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Parmotrema pseudotinctorum의 주요peak는 control에 비해 항진균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활성물질은 usnic acid계열의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백운산(白雲山) 서식(棲息) 지의류(地衣類)를 이용(利用)한 오존 민감성(敏感性) 지표종(地表種) 선발(選拔) (Investigation of Lichen Species as a Biomonitor of Atmospheric Ozone in 'Backwoon' Mountain, Korea)

  • 허재선;김판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65-76
    • /
    • 2000
  •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분포 지의류(地衣類)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분포하는 엽상체(foliose) 및 수지상(fructicose) 지의류(地衣類)의 종(種)과 피도(被度)를 조사하고, 오존에 대한 생체반응을 조사하였다. 백운산에 서식하고 있는 지의류(地衣類)는 총 9과 20종 34속의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로 대기오염에 내성인 종(Lecanora sp.)부터 예민한 종(Ramalina sp.)까지 매우 다양한 지의류(地衣類)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주요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는 Leptogium sp., Parmelia sp., Parmotrema sp., Phaeophyscia sp., Cladonia sp. 등이었다. 백운산 분포 지의류(地衣類) 중에서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면서 동정이 용이한 엽상체 지의류(地衣類) 3종(種)(P. tinctorum, P. austrosinense, Certrelia braunsiana)과 수지상 지의류(地衣類) 1종(種)(Ramaliana yasudae)을 0.2ppm에서 1일(日) 8시간씩 2주간 오존에 노출시킨 결과 오존에 노출된 지의류(地衣類)는 MDA와 HPCD가 증가하고 엽록소가 감소되었으나,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MDA, HPCD, 엽록소 파괴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존에 대한 민감 정도는 P. austrosinense > P. ticctorum > C. braunsiana > R. yasudae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지의류 복합체에 의한 매실나무 지의류병 (Lichen Diseases on Prunus mume Caused by Colonization of Consortium of Several Crustose Lichens Including Parmotrema autrosinense)

  • 고영진;김경희;정인호;임명택;박현수;이규산;조경연;허재선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23-227
    • /
    • 2007
  • 지의류는 곰팡이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 또는 남조류의 공생체로서 토양, 바위, 나무 등에 아주 널리 분포하는 진핵생명체다. 지의류형성곰팡이는 흔히 죽은 나무나 죽어가는 나무 위에서 부착하여 증식하지만 나무를 직접적으로 죽이지는 않는다. 전남 순천시 매실나무 과수원 포장에 있는 매실나무 수피에 엽상체 지의류 Parmotrema autrosinense를 포함한 몇 가지 가상체 지의류가 심하게 증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지의류 조합의 증식으로 매실나무는 회색으로 흉하게 보이고 정상적인 생장이 억제되었으며, 심각하게 영향을 받은 매실나무 가지의 수피에서 지의체를 제거하지 않으면 낙엽이 지고 가지가 말라 죽었다. 매실나무 수피에 있는 지의체를 제거해주면 매실나무 가지들은 수세를 회복하였으며, 지의체를 제거한 후에 $Twin^{(R)}$ 20 또는 톱신페스트를 발라주면 더욱 수세가 왕성해졌다. 따라서 매실나무에 몇 가지 지의류 조합의 정착 및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낙엽과 가지마름 증상을 '매실나무 지의류병(lichen disease)'이라고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Endolichenic Fungal Community Analysis by Pure Culture Isolation and Metabarcoding: A Case Study of Parmotrema tinctorum

  • Yang, Ji Ho;Oh, Seung-Yoon;Kim, Wonyong;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50권1호
    • /
    • pp.55-65
    • /
    • 2022
  • Lichen is a symbiotic mutualism of mycobiont and photobiont that harbors diverse organisms including endolichenic fungi (ELF). Despite the taxonomic and ecological significance of ELF, no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an ELF community involving isolation of a pure culture and high-throughput sequencing has been conducted. Thus, we analyzed the ELF community in Parmotrema tinctorum by culture and metabarcoding. Alpha diversity of the ELF community was notably greater in metabarcoding than in culture-based analysis. Taxonomic proportions of the ELF community estimated by metabarcoding and by culture analyse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Sordariomycetes was the most dominant fungal class in culture-based analysis, while Dothideomycetes was the most abundant in metabarcoding analysis. Thirty-seven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were commonly observed by culture-and metabarcoding-based analyses but relative abundances differed: most of common OTUs were underrepresented in metabarcoding. The ELF community differed in lichen segments and thalli in metabarcoding analysis. Dissimilarity of ELF community intra lichen thallus increased with thallus segment distance; inter-thallus ELF community dissimilar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tra-thallus ELF community dissimilarity. Finally, we tested how many fungal sequence reads would be needed to ELF diversity with relationship assays between numbers of lichen segments and saturation patterns of OTU richness and sample coverage. At least 6000 sequence reads per lichen thallus were sufficient for prediction of overall ELF community diversity and 50,000 reads per thallus were enough to observe rare taxa of ELF.

Parmotrema austrosinence(지의류)를 이용한 직물염색과 키토산 처리에 의한 염색성 향상 (Fabric Dyeing with Lichen Parmotrema austrosinence and Improvement of Dyeability by Chitosan Treatment)

  • 유혜자;이혜자;이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82-889
    • /
    • 2008
  • 국내에서 자라는 지의류의 한 종류인 Parmotrema austrosinence를 채취하여 염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염액을 사용하여 견직물, 나일론직물과 면직물을 염색하였다. Parmotrema austrosinence를 암모니아수에 넣고 발효시켜 얻은 염액을 사용하여 pH를 4, 7, 10으로, 염색온도를 $30^{\circ}C$, 50^{\circ}C$, $80^{\circ}C$로 각각 조절한 후 염색을 하였다. 면직물은 견직물과 나일론직물에 비해 염색성이 낮게 나타났다. 면직물의 염색성 향상을 위해 키토산 액으로 처리하고 염색성과 염색견뢰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염색된 시료들의 염색성은 K/S값, ${\Delta}E$와 Munsell값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염색된 시료들의 K/S값은 견직물의 경우에는 520nm에서, 나일론직물과 면직물은 480nm에서 최대 흡광파장을 나타냈다. 견직물 염색포의 K/S값은 $4.6{\sim}9.3$으로 $1.0{\sim}2.7$인 나일론직물이나 $0.8{\sim}1.6$인 면직물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견직물이 Parmotrema austrosinence 염액에 대해 우수한 염색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염색온도가 높아질수록 먼셀 색상값이 red나 yellow red에서 yellow쪽으로 이동하는 색상변화가 나타났다.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가 $50^{\circ}C$$80^{\circ}C$일 때의 염색성이 비슷하였으며, 다른 직물의 경우에는 염색온도 상승에 따라 K/S값도 높아졌다. 따라서 지의류를 사용한 적정 염색온도는 견직물의 경우 $50^{\circ}C$, 다른 직물의 경우 $80^{\circ}C$임을 확인하였다. 염색된 시료의 먼셀 색상은 견직물에서는 R(red) 영역에서, 나일론 직물에서는 YR(yellow red)-R 영역에서, 면직물은 YR 영역으로 나타났다. 면직물과 나일론직물은 중성 또는 산성염액에서 염색이 잘 되었고, 견직물의 경우는 중성 염액에서의 염색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염색성이 낮게 나타난 면직물은 키토산 가공에 의해 염색성과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염색된 시료들의 일광견뢰도와 세탁견뢰도는 대체로 낮게 나타났으나 드라이크리닝 견뢰도는 4-5급 또는 5급으로 모두 우수하였다.

Notes on Some New Records of Macro- and Micro-lichens from Korea

  • Joshi, Yogesh;Wang, Xin Yu;Lee, You-Mi;Byun, Bong-Kyu;Koh, Young-J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37권3호
    • /
    • pp.197-202
    • /
    • 2009
  • The paper describes nine new records of macro- and micro-lichens from Korea. A brief taxonomic description and comments are presented for all the studied taxa (Catapyrenium squamellum, Chrysothrix candelaris, Endocarpon pallidulum, Endocarpon petrolepideum, Lecanora oreinoides, Leprocaulon albicans, Parmotrema saccatilobum, Verrucaria glaucina and Xanthoria parietina). The lichen genera Catapyrenium, Chrysothrix and Verrucaria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country.

Isolation of Lichen-forming Fungi from Hungarian Lichen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ungal Pathogens of Hot Pepper Anthracnose

  • Jeon, Hae-Sook;Lokos, Laszlo;Han, Keon-Seon;Ryu, Jung-Ae;Kim, Jung-A;Koh, Young-Jin;Hur, Jae-Seo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38-46
    • /
    • 2009
  • Lichen-forming fungi (LEF) were isolated from 67 Hungarian lichen species from ascospores or thallus fragments. LFF were successfully isolated from 26 species with isolation rate of 38.8%. Of the total number of isolation from ascospores (27 species) and thallus fragments (40 species), 48% and 32.5% of the species were successfully isolated, respectively. Comparison of rDNA sequences of ITS regions between the isolated LFF and the original thallus confirmed that all the isolates originated from the thallus fragments were LEF. The following 14 species of LEF were newly isolated in this study; Acarospora cervina, Bacidia rubella, Cladonia pyxidata, Lasallia pustulata, Lecania hyaline, Lecanora argentata, Parmelina tiliacea, Parmotrema chinense, Physconia distorta, Protoparmeliopsis muralis, Ramalina pollinaria, Sarcogyne regularis, Umbilicaria hirsuta, Xanthoparmelia conspersa and X. stenophylla. Antifungal activity of the Hungarian LFF was evaluated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of Colletotrichum acutatum, C. coccodes and C. gloeosporioides, causal agent of anthracnose on hot pepper. Among the 26 isolates, 11 LFF showed more than 50% of inhibition rates of mycelial growth of at least one target pathogen. Especially, LFF of Evernia prunastri, Lecania hyalina and Lecanora argentata were remarkably effective in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all the tested pathogens with antibiotic mode of action. On the other hands, five isolates of Cladonia furcata, Hypogymnia physodes, Lasallia pustulata, Ramalina fastigiata and Ramalina pollinaria exhibited fungal lytic activity against all the three pathogens. Among the tested fungal pathogens, C. coccodes seemed to be most sensitive to the LFF. The Hungarian LFF firstly isolated in this study can be served as novel bioresources to develop new biofungicides alternative to current fungicides to control hot pepper anthracnose pathogenic fun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