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ks design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3초

An Introduction of Park-Based Mixed Use District around Urban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to Mixed-Use Development -

  • Cho, Se-Hwan;Lee, Jeung-Eu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35-143
    • /
    • 2010
  • The 21st century is currently undergoing an era of urban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cure and expand the green infrastructure with zoning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This objective also seeks a way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use of existing large parks by employing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around the periphery of larg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limits, problems of existing single- and mixed-use zoning districts for securing of green infrastructure by book review. This research finally advocates introducing a another type of urban mixed-use districts, namely park-based mixed use distric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by using landscape ecology and landscape urbanism as a theoretical ba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patch in landscape ecology. This research also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as patches have ecotones with greater biodiversity in the peripheral areas of it, the green infrastructure can be constructed around the periphery of large urban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by introducing cultural ecotone of nature's convergence with the city. As a result, the green infrastructure and high density of land use and using behaviour can be increased.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encourage the convergence of parks and the city, with the park being used as the main function; residential, commercial, business and cultural uses etc. are partial functions. In order for the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to be designated, the size of larg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s well as location, city function and condition of the peripheral areas all need to be considered.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designated width of the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and the form of the peripheral area was also discussed. This research, which is based on investigative research results, suggests that further in-depth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large parks and peripheral areas needs to be completed. Specialist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related plans and designs are also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practice.

강동구 도시 녹지축 기능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원의 생태적 리뉴얼 방안 연구 (Ecological Renewal Plan of Urban Parks for the Revitalization of Urban Green Axis in Gangdong-Gu)

  • 박정아;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27
    • /
    • 2023
  • 본 연구는 강동구의 조성형공원 중 도시 녹지축에 입지한 환경생태적인 가치가 높은 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생태적 리뉴얼 조성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적용한 설계를 제안하였다. 강동구의 개황과 도시공원 개황을 분석하고 강동구의 토지이용 및 녹지율, 공원녹지,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여 리뉴얼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강동구의 조성형 공원은 근린공원 2개소, 어린이공원 52개소로 총 54개소였으며 현황검토 1단계에서는 공원이 자연축, 녹지축상에 입지 및 인접 여부 등 입지적 가치 분석을 통해 17개소를 추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각 공원 서비스권역 내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비율을 바탕으로 1단계 추출 공원 중 8개소를 선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공원면적의 법적 기준 충족 여부를 통해 2단계 추출공원 중 2개소를 선정하였으며, 4단계에서는 공원의 노후화 조사를 통해 3단계 추출 공원 중 1개소를 선정하였다. 리뉴얼 대상지의 도시생태적 현황은 엔트로피 저감 측면의 토지이용현황, 물순환 측면의 토양피복현황, 생물다양성 측면의 식재구조현황을 조사하였다. 리뉴얼 대상지 3곳의 현황분석 결과는 녹지면적은 18.3-45.3%로 부족하였고 시설지 면적은 54.7%-81.7%로 높아 도시온도 저감효과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불투수포장 면적이 공원 면적의 34.5%-48.9%로 시설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물순환 기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구조는 단층과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교목층은 양호하였으나 하부식생이 빈약하였고 식이식물이나 대경목 식재지는 없어 생물다양성이 낮은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 리뉴얼 대상지로 선정한 선린어린이공원, 당말어린이공원, 샘물어린이공원을 생태적으로 리뉴얼 설계한 후 공원별 생태면적률은 리뉴얼 전보다 1.4-3배 이상 증가하였다. 도시 녹지축에 입지한 도시공원을 도시생태계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이를 생태적으로 리뉴얼하면 도시생태계 측면에서 엔트로피 저감, 물순환 건강성 향상, 생물다양성 기반조성에 기대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 설치를 위한 정책방향 - 국립공원 공원시설의 자연친화성 평가를 근거로 - (Policy Directions to Build on Nature-Friendly Park Facilities - Based on an Evaluation on the Nature-Friendliness of Park Facilities in National Parks -)

  • 박창석;배민기;김태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 내에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의 설계와 설치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 외 친환경건물 인증제도와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입지, 설계와 설치, 운영과 관리부분별로 자연친화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개 국립공원의 26개 공원사무소에서 실제 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공원관리자 7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연친화성 평가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분석, 집단간 평균의 차이분석, 다차원척도법,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1) 자연친화성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한 결과, 시설의 입지 관련지표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공원시설의 자연친화성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입지 관련 지표들의 자연친화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시설의 설계 및 설치 관련 지표들의 수준이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에너지 효율화와 관련된 지표들의 평가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시설별로 보면, 대피소의 자연친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휴게소의 자연친화성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전반적으로 볼 때, 설악산, 오대산,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공원시설에 대한 자연친화성 수준이 높게 나타난 반면, 경주와 속리산 국립공원의 자연친화성 수준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원절약 및 자연생태계와 공원자원을 보존하고 탐방객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 설치를 위한 권고기준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숭고의 개념에 기초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학적 해석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Post-industrial Parks with a Perspective of the Sublime)

  • 이명준;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8-89
    • /
    • 2012
  • 이 연구는 숭고의 개념에 기초하여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적 특질을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조경사적 맥락에서 숭고의 미학적 역할을 밝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논점들을 바탕으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적 특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조경사에서 숭고의 미학은 관례에 대항하는 미학적 범주로 작동하여 미적 향유의 대상을 확장해 왔으며, 동시에 황야나 오염된 부지의 공포심을 순치시켜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조경 본연의 역할과 연관되어 면면히 존재해 왔다.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에서 숭고의 계기는 노화된 산업 구조물과 야생의 식물상의 관계로부터 발견된다. 유기된 산업 구조물을 뚫고 피어나는 녹색 식물은 독특한 감각적, 시간적, 감동적 체험을 누리게 한다. 첫째, 산업 구조물의 감각과 식물의 감각은 변증법적 충돌을 일으켜 독특한 감각적 체험의 장을 조직한다. 둘째, 산업 구조물과 식물이 맺는 관계는 시간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방문객들에게 불확실한 시간성을 체험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은 오염으로 얼룩진 부지가 끊임없이 본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자연의 치유력을 형상화하여 방문객들에게 숭고한 감동을 준다.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조성 과정과 실태 분석 - 여의도공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Urban Park Nightscape based on the Design-Construction Process and Current Status - Focused on Yeouido Park -)

  • 김현근;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26
    • /
    • 2018
  • 빛은 인간 생활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인류가 인공적으로 빛을 다룰 수 있게 된 이래 조명은 도시의 야간문화와 경관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야간 경관은 도시의 정체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시민들의 야간 활동이 늘어나면서 조명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정작 경관을 다루는 조경 분야의 계획 설계과정에서 조명계획은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야간경관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공원의 계획 및 조성 과정과 제도적 측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여의도공원을 대상으로 도면 분석과 현장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현재 도시공원의 야간경관과 관련한 실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의 계획 설계 과정에서 조명계획은 설비 분야에 포함되어 개략적인 수준으로만 다루어져왔고, 이는 실제 공원의 단조로운 야간경관을 초래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원의 분석-계획-설계-시공-관리 과정에서 야간경관의 연출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둘째, 현재 도시공원에 적용 가능한 기준은 한국산업규격(KS A 3011)의 수평조도 규정에 그치고 있어 야간경관 평가와 계획의 세부 기준 항목을 다양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성장하는 수목과 복합적인 자연생태계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야간경관 설계 및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공원의 공간별 특성에 맞는 세부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관련 기준이 필요하다.

The Green Mode of Parks and Green Space Construction -a Study on the Exemplary Type of Ecological Landscape-

  • Le Y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32-38
    • /
    • 2004
  • As for the green space construction of the modern parks, landscape design is not only for the aesthetics but its also to promote the spiritual connotation. The appearing of the exemplary type of ecological landscape reflects landscape architects have developed realization and wishes to improve the deteriorating environment and put them into practice. This paper introduces the basic intension of the exemplary type of ecological landscape, and discusses the relative background and ecological aesthetic foundation of the exemplary ecological landscape which appeared under the crisis of urban environment; lists the modern landscape designers practices of the exemplary ecological landscape; studies the developing trend of this practice which becomes multifold along with the reformation of city.

  • PDF

도시공원 내 기존 건축물 제도의 변천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Existing Building-related System in Urban Parks)

  • 오창송;심지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0호
    • /
    • pp.115-126
    • /
    • 2019
  • Existing buildings in urban parks are a kind of thing that has been settled and occupied on the site of an unexecuted park.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ature by analyzing the causality and path-dependency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relevant system.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t up as a system for the occupancy of urban parks from 1934 when the building restriction system was established to 2000 when purchase claim (매수청구권) was introduced. The method of study was to get correlation by harmoniz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mechanisms affecting the relevant institution. The related system showed a modest change in the fourth stage, polymerizing the initial system. In the 1950s and 1960s, the existing buildings in urban parks were 'disguised' by government and the 'regulation' principle was applied since 1967. In the 1980s, the principle of 'protection' and 'support' for parks was added, but in the 1990s, the principle of regulation began to be lifted as the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problem continued for more than 60 years. Although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토지공개념) has worked strongly for nearly 30 years since 1960, the system has developed into a form of deregulation since 1980. The nature of the relevant institution is first, dependent on the higher-level system and vertical. Second, it implies a conflict of restrictions and acceptance. Third, it is a temporary measure of the park problem. Therefore, the relevant system has long been enhancing the encroachment requirements on urban parks, so fundamental readjustment is needed in the future.

전통적 놀이 공간 개념을 적용한 테마파크에 관한 연구 - 국내.국외 테마파크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Traditional Leisure Space to Korean Theme Park - Placing Emphasis on the Comparis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Theme Parks -)

  • 이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18-125
    • /
    • 2005
  • A leisure culture in the modern society is the measure of a value in one's life and has a symbolic meaning which reflects the aspect of a society where an individual belongs to. Therefore, the leisure is not a simple pleasure but has an critical meaning of expressing the culture of a country. In particular, the theme park leads the public amusement in the modern society using the cutting-edge equipments on a large scale in the postmodernism society being lead by the public. Nonetheless, Korea imports the theme parks of the same type as the Disney land of the Western Europe so that Korea depends on the foreign country in the leisur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sic property of the theme park is investigated and the issues of Korean theme park will be revealed through the comparison of Korean theme park to foreign theme parks. In order to solve these issues, it points out that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leisure space has inclusive and upgraded characteristics with many meanings,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leisure space of foreign countries. . Based on this, the new concept of Korean theme park's space will be proposed. Specially, it is empathized that Korean own originality and credit should be preserved and Korean traditions should be succeeded.

都市公園 利用者의 動線類型 및 그 發生要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Visitor's Use Route Patterns in Urban Parks)

  • 김동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155-169
    • /
    • 1990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ndamental materials and a guideline for design through grouping of the users' use route patterns and analyzing determinants to choose those route patterns in urban parks. Study sites were Jungang, Dlseong, and Beomeo park, where located Taegu city-Key results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 When Users come in and out urban parks, most orientations of their use routes were counterclockwise, and not in such cases, greatly affected by facilities arrangement.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users in the main route placed the principal facilities. Users' use route patterns were grouped by their characteristics, which were circulation, semi-circulation, irregular, and piston type. And all the types except piston type can be subdivided into spoon and loope type. Factors analysis to the types produced five meaningful patterns of variables. Five factors were named as dimension of characteristics : Park composition factor, facilities use factor, users' personal factor, park use behavioral factor, routes choice factor.

  • PDF

Roles of Park and Green Space Planning for Establishing Livable Communities in the Environmental Age through Encouraging Linkage of Academic and Practical Approaches

  • Yoritaka Tashir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74-80
    • /
    • 2004
  • The significance and means of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have been changed dramatically in this century in Japan. The first priority must be given to define the means and purposes of planning., especially the role of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management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environmental concern, and the method to estimate values of park and green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regenerative society development. The role of planning parks and green space is review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as tools for land use control (master plan), as tools for finding appropriate lands for purchasing land (development plan) and tools for application of individual development technique of green space and landscapes(site plan and design). It is a serious issue that the existence of parks in urban setting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a top priority, is now being challenged in terms of econom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In such processes,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o define what makes parks and green spaces attractive and ecological to obtain social support to be develop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