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예령(2005) 숭고, 또는 바깥에 대한 사유. 숭고에 대하여: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문학과 지성사. pp. 339-344.
- 김진희(1995) 영국 풍경식 정원의 미 '픽춰레스크'에 관한 연구: 미적 개념과 정원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마순자(1997) 18세기말 영국에서의 '픽쳐레스크'취미. 예술문화연구 7: 103-128.
- 박찬구(2010) 죽음의 문명: 원자폭탄의 발명에서 침묵의 봄까지. 미국의 자연관 변천과 생태의식. 신문수(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p. 159-192.
- 배정한(1998) 조경이론으로서의 환경미학. 한국조경학회지 25(4): 89-104.
- 배정한(1999) 조경 설계와 회화적 자연관의 문제. 한국조경학회지 27(3): 80-87.
- 배정한(2006a) 숭고, 조경미학과 설계의 새로운 접점. 조정송 외. LAnD: 조경․미학․디자인. 도서출판 조경. pp. 142-153.
- 배정한(2006b) 황야에 대한 인식과 미적 경험의 변화: 조경의 이중적 자연관과 그 모순. 한국조경학회지 34(1): 59-68.
- 배정한(2007) 시간의 정원, 발견의 디자인.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배정한 조경비평집 1. 도서출판 조경. pp. 56-73.
- 신두호(2010) 갈색 풍경의 생태학: 도시자연문학의 등장. 미국의 자연관 변천과 생태의식. 신문수(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p. 229-266.
- 이우형(2008) 산업경관에서 나타나는 숭고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은(2009) 로버트 스미슨의 '개간 프로젝트'개념에 대한 연구: <깨진 원/나선형 언덕>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 169-175.
- 조경진(2000) 패러노이아: 의미과잉 속의 한국 현대 조경. 조경과 비평: Locus 2. 조경문화. pp. 131-147.
- 조경진(2003)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의 도시공원관에 대한 재해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26-37.
- 최경원(1998) 대지예술의 자연관과 조형원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주영(2006) ut pictura hortus: 18세기 영국 풍경식 정원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보 26: 181-204.
- Beardsley, J.(1984) Earthworks and Beyond. New York: Abbeville Press.
- Burke, E.(1757)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김동훈(역).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도서출판 마티. 2009.
- Cole, T.(1965) Essay on American Scenery. In J. W. McCoubrey ed., American Art 1700-1960: Sources and Documents.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pp. 98-109.
- Couturier, L.(2005) The Hopes of Snakes & Other Tales from the Urban Landscape. Boston: Beacon Press.
- Crandell, G.(1993) Nature Pictorialized: "The View" in Landscape History.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Crawford, D.(1983) Nature and art: Some dialectical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42(1): 49-58. https://doi.org/10.2307/429946
- Cronon, W.(1983) Change in the 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Ecology of New England. New York: Hill and Wang.
- Emerson, R. W.(1998) Nature. 신문수(역). 자연. 문학과 지성사. 1998.
- Hardy, H.(2005) The romance of abandonment: Industrial parks. Places 17(3): 32-37.
- Hemmings, S. and M. Kagel(2010) Memory gardens: Aesthetic education and political emancipation in the landschaftspark duisburg-nord. German Studies Review 33(2): 242-261.
- Herrington, S.(2006) Framed again: The picturesque aesthetics of contemporary Landscapes. Landscape Journal 25(1): 22-37. https://doi.org/10.3368/lj.25.1.22
- Hunt, J. D.(1992) Ut Pictura Poesis, Ut Pictura Hortus, and the Picturesque. In Garden and the Picturesque: Studies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Cambridge, MA: The MIT Press. pp. 105-136.
- Hussey, C.(1927) The Picturesque: Studies in a Point of View. London: Frank Cass & Co. Ltd.
- Jorgensen, A. and M. Tylecote(2007) Ambivalent landscapes-wilderness in the urban interstices. Landscape Research 32(4): 443-462. https://doi.org/10.1080/01426390701449802
- Kant, I.(2009) Kritik der Urteilskraft. 백종현(역).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 Leviseur, E.(1991) Landart. Architectural Review 189(1130): 44-51.
- Longinus(1964) On the Sublime D. A. Russell ed. 천병희(역). 숭고에 관하여. 시학. 문예출판사. 2010, pp. 255-395.
- Lubow, A.(2004) The Anti-Olmsted. The New York Times Magazine 16 May: 46-53.
- Lyotard, J-F.(1989) The Sublime and the Avant-Garde. In A. Benjamin ed., Lyotard Reader. 유정완․이삼출․민승기(역), 숭엄과 아방가르드. 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1992. pp. 203-228.
- Marin, L.(1988) Sur une Tour de Babel dans un tableau de poussin. In J-L. Nancy et al., Du Sublime. Paris: Editions Belin. 김예령(역). 푸생의 그림 속 바벨탑에 관하여. 숭고에 대하여: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문학과 지성사. 2005. pp. 312-338.
- Meyer, E. K.(1998) Seized by Sublime Sentiments: Between Terra Firma and Terra Incognita. In W. S. Saunders. ed., Richard Haag: Bloedel Reserve and Gas Works Park.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5-28.
- Meyer, E. K.(2007) Uncertain Parks: Disturbed Sites, Citizens, and Risk Society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배정한+idla(역). 불확실한 공원들: 교란된 부지, 시민, 그리고 위험 사회. 라지 파크: 공원 디자인의 새로운 경향과 쟁점. 도서출판 조경. 2010. pp. 64-95.
- Meyer, E. K.(2008) Sustaining beauty. The performance of appearance. A manifesto in three part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spring 2008: 6-23.
- Nancy, J-L.(1988) L'offrande sublime. In J-L. Nancy et al., Du Sublime. Paris: Editions Belin, 김예령(역). 숭고한 봉헌. 숭고에 대하여: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문학과 지성사. 2005. pp. 49-102.
- Novak, B.(1972) American landscape: Changing concepts of the sublime. American Art Journal 4(1): 36-42. https://doi.org/10.2307/1593919
- Olmsted, F.L.(1995) The Yosemite Valley and the Mariposa Grove of Big Trees: A Preliminary Report, 1865. Yosemite Association.
- Pollak, L.(2007) Matrix Landscape: Construction of Identity in the Large Park.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배정한+idla(역). 매트릭스 경관: 대형 공원에서 정체성의 구축. 라지 파크: 공원 디자인의 새로운 경향과 쟁점. 도서출판 조경. 2010. pp. 96-133.
- Reed, P.(2005) Beyond Before and After: Designing Contemporary Landscape. Groundswell: Constructing the Contemporary Landscape.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 pp. 14-32.
- Reimer, M. H.(2010) Unsettling eco-scapes: Aesthetic performances for sustainable futur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spring 2010: 24-37.
- Rockland, M. A.(1994) Snowshoeing through Sewers: Adventures in New York City, New Jersey, and Philadelphia. New Brunswick: Rutgers University Press.
- Smithson, R.(1996a) A Provisional Theory of Non-sites. In J. Farm ed., Robert Smithson: The Collected Writ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364.
- Smithson, R.(1996b) A Tour of the Monuments of Passaic, New Jersey. In J. Farm ed., Robert Smithson: The Collected Writ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68-74.
- Smithson, R.(1996c) Frederick Law Olmsted and the Dialectical Landscape. In J. Farm ed., Robert Smithson: The Collected Writ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57-171.
- Thoreau, H. D.(1997) Walden. 강승영 (역). 월든. 도서출판 이레.
- Weilacher, U.(1999) The Syntax of Landscape: Peter Latz. In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Land Art. Basel: Birkhauser. pp. 12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