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Post-industrial Parks with a Perspective of the Sublime

숭고의 개념에 기초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학적 해석

  • Lee, Myeong-Ju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명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2.07.03
  • Accepted : 2012.08.09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aesthetic properties of post-industrial parks with a perspective of the sublime. It examined the roles of the sublime related to landscape architectural history and trace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ost-industrial parks based on aesthetic issues of the sublime.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sublime had expanded the scope of aesthetic enjoyment. It had operated as an alternative aesthetic category against conventional landscape design. At the same time, it had been associated with the original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which created artworks by taming wild and terrible qualities of wilderness or brown field. This study discovered sublime characteristics of post-industrial parks, inquir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d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wild plants. First, the sens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sense of plants have conflict dialectically, constructing an aesthetic field of unique sensory experiences. Second,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produced an uncertainty in time so that people can experience the complexity of time. Third, post-industrial parks proposed an alternative view of nature. Post-industrial parks presented healing power to restore contaminated land through ecological design strategy so that people can find the quality of wilderness in the brown field of urban landscape. As a result, an aesthetic experience of post-industrial parks produced a sublime impression.

이 연구는 숭고의 개념에 기초하여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적 특질을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조경사적 맥락에서 숭고의 미학적 역할을 밝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논점들을 바탕으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적 특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조경사에서 숭고의 미학은 관례에 대항하는 미학적 범주로 작동하여 미적 향유의 대상을 확장해 왔으며, 동시에 황야나 오염된 부지의 공포심을 순치시켜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조경 본연의 역할과 연관되어 면면히 존재해 왔다.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에서 숭고의 계기는 노화된 산업 구조물과 야생의 식물상의 관계로부터 발견된다. 유기된 산업 구조물을 뚫고 피어나는 녹색 식물은 독특한 감각적, 시간적, 감동적 체험을 누리게 한다. 첫째, 산업 구조물의 감각과 식물의 감각은 변증법적 충돌을 일으켜 독특한 감각적 체험의 장을 조직한다. 둘째, 산업 구조물과 식물이 맺는 관계는 시간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방문객들에게 불확실한 시간성을 체험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은 오염으로 얼룩진 부지가 끊임없이 본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자연의 치유력을 형상화하여 방문객들에게 숭고한 감동을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예령(2005) 숭고, 또는 바깥에 대한 사유. 숭고에 대하여: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문학과 지성사. pp. 339-344.
  2. 김진희(1995) 영국 풍경식 정원의 미 '픽춰레스크'에 관한 연구: 미적 개념과 정원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마순자(1997) 18세기말 영국에서의 '픽쳐레스크'취미. 예술문화연구 7: 103-128.
  4. 박찬구(2010) 죽음의 문명: 원자폭탄의 발명에서 침묵의 봄까지. 미국의 자연관 변천과 생태의식. 신문수(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p. 159-192.
  5. 배정한(1998) 조경이론으로서의 환경미학. 한국조경학회지 25(4): 89-104.
  6. 배정한(1999) 조경 설계와 회화적 자연관의 문제. 한국조경학회지 27(3): 80-87.
  7. 배정한(2006a) 숭고, 조경미학과 설계의 새로운 접점. 조정송 외. LAnD: 조경․미학․디자인. 도서출판 조경. pp. 142-153.
  8. 배정한(2006b) 황야에 대한 인식과 미적 경험의 변화: 조경의 이중적 자연관과 그 모순. 한국조경학회지 34(1): 59-68.
  9. 배정한(2007) 시간의 정원, 발견의 디자인.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배정한 조경비평집 1. 도서출판 조경. pp. 56-73.
  10. 신두호(2010) 갈색 풍경의 생태학: 도시자연문학의 등장. 미국의 자연관 변천과 생태의식. 신문수(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p. 229-266.
  11. 이우형(2008) 산업경관에서 나타나는 숭고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재은(2009) 로버트 스미슨의 '개간 프로젝트'개념에 대한 연구: <깨진 원/나선형 언덕>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 169-175.
  13. 조경진(2000) 패러노이아: 의미과잉 속의 한국 현대 조경. 조경과 비평: Locus 2. 조경문화. pp. 131-147.
  14. 조경진(2003)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의 도시공원관에 대한 재해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26-37.
  15. 최경원(1998) 대지예술의 자연관과 조형원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황주영(2006) ut pictura hortus: 18세기 영국 풍경식 정원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보 26: 181-204.
  17. Beardsley, J.(1984) Earthworks and Beyond. New York: Abbeville Press.
  18. Burke, E.(1757)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김동훈(역).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도서출판 마티. 2009.
  19. Cole, T.(1965) Essay on American Scenery. In J. W. McCoubrey ed., American Art 1700-1960: Sources and Documents.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pp. 98-109.
  20. Couturier, L.(2005) The Hopes of Snakes & Other Tales from the Urban Landscape. Boston: Beacon Press.
  21. Crandell, G.(1993) Nature Pictorialized: "The View" in Landscape History.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2. Crawford, D.(1983) Nature and art: Some dialectical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42(1): 49-58. https://doi.org/10.2307/429946
  23. Cronon, W.(1983) Change in the 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Ecology of New England. New York: Hill and Wang.
  24. Emerson, R. W.(1998) Nature. 신문수(역). 자연. 문학과 지성사. 1998.
  25. Hardy, H.(2005) The romance of abandonment: Industrial parks. Places 17(3): 32-37.
  26. Hemmings, S. and M. Kagel(2010) Memory gardens: Aesthetic education and political emancipation in the landschaftspark duisburg-nord. German Studies Review 33(2): 242-261.
  27. Herrington, S.(2006) Framed again: The picturesque aesthetics of contemporary Landscapes. Landscape Journal 25(1): 22-37. https://doi.org/10.3368/lj.25.1.22
  28. Hunt, J. D.(1992) Ut Pictura Poesis, Ut Pictura Hortus, and the Picturesque. In Garden and the Picturesque: Studies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Cambridge, MA: The MIT Press. pp. 105-136.
  29. Hussey, C.(1927) The Picturesque: Studies in a Point of View. London: Frank Cass & Co. Ltd.
  30. Jorgensen, A. and M. Tylecote(2007) Ambivalent landscapes-wilderness in the urban interstices. Landscape Research 32(4): 443-462. https://doi.org/10.1080/01426390701449802
  31. Kant, I.(2009) Kritik der Urteilskraft. 백종현(역).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32. Leviseur, E.(1991) Landart. Architectural Review 189(1130): 44-51.
  33. Longinus(1964) On the Sublime D. A. Russell ed. 천병희(역). 숭고에 관하여. 시학. 문예출판사. 2010, pp. 255-395.
  34. Lubow, A.(2004) The Anti-Olmsted. The New York Times Magazine 16 May: 46-53.
  35. Lyotard, J-F.(1989) The Sublime and the Avant-Garde. In A. Benjamin ed., Lyotard Reader. 유정완․이삼출․민승기(역), 숭엄과 아방가르드. 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1992. pp. 203-228.
  36. Marin, L.(1988) Sur une Tour de Babel dans un tableau de poussin. In J-L. Nancy et al., Du Sublime. Paris: Editions Belin. 김예령(역). 푸생의 그림 속 바벨탑에 관하여. 숭고에 대하여: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문학과 지성사. 2005. pp. 312-338.
  37. Meyer, E. K.(1998) Seized by Sublime Sentiments: Between Terra Firma and Terra Incognita. In W. S. Saunders. ed., Richard Haag: Bloedel Reserve and Gas Works Park.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5-28.
  38. Meyer, E. K.(2007) Uncertain Parks: Disturbed Sites, Citizens, and Risk Society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배정한+idla(역). 불확실한 공원들: 교란된 부지, 시민, 그리고 위험 사회. 라지 파크: 공원 디자인의 새로운 경향과 쟁점. 도서출판 조경. 2010. pp. 64-95.
  39. Meyer, E. K.(2008) Sustaining beauty. The performance of appearance. A manifesto in three part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spring 2008: 6-23.
  40. Nancy, J-L.(1988) L'offrande sublime. In J-L. Nancy et al., Du Sublime. Paris: Editions Belin, 김예령(역). 숭고한 봉헌. 숭고에 대하여: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문학과 지성사. 2005. pp. 49-102.
  41. Novak, B.(1972) American landscape: Changing concepts of the sublime. American Art Journal 4(1): 36-42. https://doi.org/10.2307/1593919
  42. Olmsted, F.L.(1995) The Yosemite Valley and the Mariposa Grove of Big Trees: A Preliminary Report, 1865. Yosemite Association.
  43. Pollak, L.(2007) Matrix Landscape: Construction of Identity in the Large Park.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배정한+idla(역). 매트릭스 경관: 대형 공원에서 정체성의 구축. 라지 파크: 공원 디자인의 새로운 경향과 쟁점. 도서출판 조경. 2010. pp. 96-133.
  44. Reed, P.(2005) Beyond Before and After: Designing Contemporary Landscape. Groundswell: Constructing the Contemporary Landscape.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 pp. 14-32.
  45. Reimer, M. H.(2010) Unsettling eco-scapes: Aesthetic performances for sustainable futur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spring 2010: 24-37.
  46. Rockland, M. A.(1994) Snowshoeing through Sewers: Adventures in New York City, New Jersey, and Philadelphia. New Brunswick: Rutgers University Press.
  47. Smithson, R.(1996a) A Provisional Theory of Non-sites. In J. Farm ed., Robert Smithson: The Collected Writ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364.
  48. Smithson, R.(1996b) A Tour of the Monuments of Passaic, New Jersey. In J. Farm ed., Robert Smithson: The Collected Writ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68-74.
  49. Smithson, R.(1996c) Frederick Law Olmsted and the Dialectical Landscape. In J. Farm ed., Robert Smithson: The Collected Writ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57-171.
  50. Thoreau, H. D.(1997) Walden. 강승영 (역). 월든. 도서출판 이레.
  51. Weilacher, U.(1999) The Syntax of Landscape: Peter Latz. In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Land Art. Basel: Birkhauser. pp. 12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