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rental relationship

검색결과 549건 처리시간 0.023초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 Hope as a mediator)

  • 오연경;임정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강원지역의 중 고등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t검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희망 수준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학교적응 중 학교교사 요인에서 남학생 집단의 평균이 여학생 집단의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고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청소년들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희망 수준이 낮았고, 희망 수준이 낮을수록 학교적응력도 낮았다. 이러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희망 및 학교적응의 관계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적응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감소시키고 청소년의 희망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혼불안정성의 세대간의 직, 간접전이에 관한연구 (The Examination of Direct and Indirect Transmission Processes of Intergenerational Marital Instability)

  • Peter Martin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1호
    • /
    • pp.191-20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a model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instability. An important aspect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direct and indiect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es of marital instability. This study revealed four very important findings. First the effects of parental divorce on children's marital instability were both direct and indirect through mate selection risk factors marital quality and marital commitment. Second premarital background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relative heterogeneity between spouse before marriage were important to explain one's marital relationship. Third the higher the barriers the higher the marital commitment. Fourth marital quality and marital commitment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marital instability. Taken together this study supports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perspective that exposure to conflict marriage in one's own childhood would forecast lower marital sat sfaction higher conflict and higher marital instability in the marital relationship.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lso underline the importance of predisposing marital characteristics such as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relative heterogeneity in explaining marital relationship.

  • PDF

학령기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 문제행동과 적응유연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Behavior Problems and Resilience of School Age Children)

  • 윤현정;유일영;오의금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74-18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behavior problems and resilience of school age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were 131 children enrolled in the 4th to 6th grade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6, 2010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Korean version of Youth Self-Report, and Resili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relationship with peer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bonding attitud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in the childre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interventions focusing on parenting attitude to enhance resilience should be developed to help school age children.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불안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State-Trait Anxiety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 주원;박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80-590
    • /
    • 2017
  •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253명으로 모집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 학력,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 그리고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이 불안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애착 중의 하위변인 신뢰감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응과 개인-정서적응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한 중국 유학생의 불안정서를 감소하기 위하여 안정적 부모애착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Screen Time on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 Iyeon Kim;Sangha Lee;Su-Jin Yang;Donghee Kim;Hyojin Kim;Yunmi Sh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3호
    • /
    • pp.175-180
    • /
    • 2023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led to a decrease in face-to-face classes worldwide,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global pandemic has increased children's overall use of electronic media.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hildren's screen time on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A total of 186 parents from Suwon, South Korea,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an online survey. The mean age of the children was 10.14 years old, and 44.1% were female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children's screen time, problematic behaviors, and parental stress.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ere evaluated using the Behavior Problem Index, whereas the Parental Stress Scale was used to estimate parental stress. Results: The mean smartphone usage frequency of the children was 5.35 days per week, and the mean smartphone screen time was 3.52 hours per day. Smartphone screen time (Z=4.49, p<0.001) and usage frequency (Z=2.75, p=0.006)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scores.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stress on this relationship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49, p=0.045,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smartphone screen time has affected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parental stress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creen time and problematic behaviors.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ental-adolescent Communication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 김유정;이은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6-33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Method: A total of 154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high school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 to 18, 2015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r=.35, p<.001), and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r=.22, p=.006).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cademic stress (r=-.23, p=.004), and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cademic stress(r=-.17, p=.039).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rograms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is required.

청소년의 부모통제지각과 내·외현문제의 관계 : 자존감의 매개효과 (Associations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Internalized/Externalized Problems : Self-esteem as a Mediator)

  • 장경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20-452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심리 및 행동통제와 청소년의 자존감 및 내 외현문제 간에 어떤 상관이 있는지, 그리고 청소년 개인의 자존감이 부모통제와 이들의 내 외현문제 간을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 심리 및 행동통제, 자존감, 그리고 내현 및 외현문제를 측정하였다. 총 355명(남: 171명, 여:184명; 중학생: 170명, 고등학생: 18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부모심리통제는 낮을수록, 행동통제는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존감이 높고 내 외현문제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이 높을수록 내 외현문제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은 부모심리통제와 내현문제 간을 부분매개, 부모행동통제와 내현 및 외현문제 간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가족주의 문화나 입시위주의 경쟁적 교육환경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바람직한 부모양육행동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대학생(4년제) 및 전문대학생(2-3년제) 간의 다집단 분석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achment and Job 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Focus on Multi Group Analysis between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 한혜림;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97-20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job seeking stress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We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job seeking stress. We selected 292 university students and 285 junior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from Daegu and Gyeongsangbuk-do. All participants completed surveys on the measurement of parental attachment,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job seeking stres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and Sobel test with SPSS software ver. 18.0 and Amos software ver. 18.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parental attach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eeking stress. Second,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mediated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job seeking stres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job seeking stress. Junior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that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to addres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re important to resolve college students' job seeking stress; in addition, school type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job seeking stress.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시간적·물질적 투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time and material investment-)

  • 노지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5호
    • /
    • pp.1-29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부모의 시간적 물질적 투자가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구의 소득은 아동의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소득과 아동 학업성취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매개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부모의 시간적 투자와 물질적 투자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물질적 투자를 나타내는 변수들(인지적 자극물 제공, 교과 외 활동 투자)을 통해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매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모의 시간적 투자를 나타내는 변수들(부모와의 외부활동, 부모의 학교생활 관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불평등에 대한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부모통찰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 자녀의 어머니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al Insight on Parenting Behavior -focusing on the mother of middle school students)

  • 강상현;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433-4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양육행동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밝혀진 주요한 변인들 외에 부모통찰의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양육행동과 부모통찰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부모통찰 외에 과거 아동기 경험(지각된 부모양육행동, 원가족 건강성), 현재 삶에서의 양육 관련 경험(결혼만족도, 부모 역할만족도)의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았다.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02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투입된 변인들 모두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부모통찰은 양육행동 하위요인들 중 과보호를 제외한 애정, 거부 통제, 독립성 지향 행동에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