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time and material investment-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시간적·물질적 투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노지영 (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 ;
  • Received : 2015.12.31
  • Accepted : 2016.06.22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time and material inve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e utilized the third-wave data of the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Surveys(SPSC, 2006)".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household incom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parental material investment fully mediates the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variables representing parental material invest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purchasing of cognitively stimulating materials" and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two variables representing parental time investment ("parent activities with child out of home" and "parent involvement in school") do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can be better explained by parental material investment rather than parental time investment.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서울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부모의 시간적 물질적 투자가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구의 소득은 아동의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소득과 아동 학업성취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매개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부모의 시간적 투자와 물질적 투자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물질적 투자를 나타내는 변수들(인지적 자극물 제공, 교과 외 활동 투자)을 통해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매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모의 시간적 투자를 나타내는 변수들(부모와의 외부활동, 부모의 학교생활 관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불평등에 대한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