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autonomy suppor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1초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지지, 성장신념, 그릿, 회피적 도움추구행동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d Study of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Growth Mindset, Grit, and Help-Seeking Behaviors Of High-School Students)

  • 하정혜;한천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61-171
    • /
    • 2021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 성장신념, 그릿이 회피적 도움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Mplus 8.2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기초분석, Pearson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성장신념과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신념은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회피적 도움추구행동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행동을 증진하기 위하여 부모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적 성장신념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이론 및 실천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 부모의 행복감이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Parents' Happiness on Children's Autonomy)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95-10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 부모의 행복감, 아동의 자율성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이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2019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의 자율성에 관해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 아동의 자율성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애착의 하위 변인 중에서는 모 신뢰감, 부 신뢰감, 모 의사소통이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고, 부모 행복감에서는 모 행복감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 애착이 부모 행복감보다 더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아동이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선택과 결정을 통해 삶의 만족감을 얻을 수 있도록 부모와 더욱 친밀하고 안정적인 관계 속에서 아동을 지지해 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는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itude,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 박은희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1호
    • /
    • pp.1-1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3학년 341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성취적 양육태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율적 양육태도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성취 지향적, 애정적, 자율적인 것으로 지각할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교사가 통제행동을 하는 것 보다 자율성 지지 행동을 할 때,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중학생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 배정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54-46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familial factors (parental acceptance, autonomy, and family satisfaction), social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school achievement,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a path model of school adjustment and its related variables. Methods: Two thousand six hundred and twenty nin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a visit-survey with an organized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by the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Self-concept showed a significantly direct influence to school adjustment while both family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Parental acceptance, autonomy,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first, family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are essential to solve the problems of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friend'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school achievement should help improve the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a variety of programs are available for schools to employ in an effort to provid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ho demonstrate school maladjustment. Finally, it is necessary for family, school and society members to comprehensively cooperate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A Study on the Effects of Cyber Bullying on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and the Emotional State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Parents

  • Yituo Feng;Sundong Kwon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1호
    • /
    • pp.167-187
    • /
    • 2020
  • College students experience more cyber bullying than youth and cyber bullying on college students may be more harmful than youth. But many studies of cyber bullying have been conducted in youth, but little has been studied for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gativ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yber bullying experience on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and emotional states.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has a buffering effect that prevents stress and reduces the influence on external damage in stressful situations. But the impact of parental social support is controversial. Traditionally,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has been claimed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external damage.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parental social support, without considering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needs of college students, does not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parents moderate the negative impact of cyber bully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college students experience cyber bullying, the lower their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and emotional states. And,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the lower the harmful impacts of cyber bullying on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and emotional states. Bu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the higher the harmful impacts of cyber bullying on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and emotional states.

중·노년기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일본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Parental, Occupational Role Reconstru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nd Old Aged Japanese Married Men and Women)

  • 장수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1호
    • /
    • pp.8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1) 자녀의 독립과 은퇴에 직면하는 중·노년기에 부모 및 직업역할의 비중축소를 통한 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2)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역할 재구조화는 부모 및 직업역할에 대한 집착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일본의 기혼남녀 378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회수율 48.3%). 그 결과, 부모 및 직업역할에 집착할수록 그 역할에 대한 상실불안감이 증대되어 심리적 안녕감이 저하되는 경로가 여성에게서 확인되었다. 역할집착의 개인차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자율성이 높고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며 사회적 지지망이 협소할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여성의 경우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고 사회적 지지망이 좁을수록 부모역할에 집착하였으며, 성역할태도가 비전통적일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노년기의 역할 재구조화의 중요성 및 성별 사회화 과정에 따른 역할 재구조화의 성차와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 PDF

유아기 부모의 심리적 통제 양육과 공감능력, 유머감각,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The Correlations among Psychological Control in Parents with a child, and Empathy, Humor Sense, Parenting self-efficacy)

  • 김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31-842
    • /
    • 2022
  • 본 연구는 유아기 부모의 심리적 통제 양육과 부모의 공감능력, 유머감각, 양육효능감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이하 유아의 부모들에게서 수집한 203부의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낮게, 심리적 통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모의 공감능력 및 유머감각과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지지', '죄책감유발'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공감능력의 '인지적공감'은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통제'와, 유머감각의 '유머에 대한 선호도'는 심리적 통제의 '동일체적양육'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지지', '죄책감유발', '자율성통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은 심리적 통제의 '동일체적양육'이외의 요인들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중학생의 내부통제성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동기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Internal Control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Roles of Autonomous Motivation an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 서승희;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29-44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internal control, autonomous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erceive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while verifying the moderating roles of autonomous motivation an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371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internal control, autonomous motivation, an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were measured using the Procrastination Inventory (Aitken, 1982) revised by Jeon and Park (2014),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Ko, 2014), the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Ryan & Connell, 1989) revised by Kim (2002), and the Scale of Kang (2003),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 Process Macro Model 2 (multiple additional modul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l control, autonomous motivation, and perceive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directly affected the students's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role of autonomous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academic procrastinat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internal control by helping middle school students become confident enough to believe that they have the ability to change their behavior and achieve their aims. At the same time, parents need to be interested in the process rather than only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and support their autonomy.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열의와 학업 무기력 (Parenting Attitudes Profile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Influence of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the Adolescents Associated with the Profiles)

  • 기쁘다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2호
    • /
    • pp.215-231
    • /
    • 2021
  • The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number of types of parental attitude profi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predictor variables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fluence parenting attitude profiles and whether these profiles, in turn, influence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sample consisted of data on 2,590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s Panel Survey (KCYPS). The adolescents were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Mplus, the author appli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the parenting attitude profiles and predictor and outcom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se profiles. Three profiles were identified based on major features: (1) coercion-inconsistency (8.3%), (2) general (47.3%), and (3) warmth-autonomy support (44.4%).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predicted the classification of the profiles. Also, the parental profiles identified the level of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ies and practices given the significance of parent psychological status, particularly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ir adolescent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Family Relationship Predictors of Parent-Adolescent Conflict: Cross-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Bush, Kevin R.;Peterson, Gary W.;Chung, Grace H.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3권1호
    • /
    • pp.49-68
    • /
    • 201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how dimensions of socialization practice and relationship quality may function to manage or increase parent-adolescent conflict. Of particular concern was to examine the comparative efficacy of potential predictors of parent-adolescent conflict across three cultural groups consisting of samples from Mainland China, Russia, and the U.S. as well as across gender-of-parent/gender-of-adolescent dyads from each culture. Findings from a sample of 1,365 adolescents indicated that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al influences on parent-adolescent conflict differ across cultural groups and gender-of-adolescent. The use of punitive behavior by parents was the strongest and most consistent predictor of parent-adolescent conflict across all cultural groups and gender dyads, suggesting that a general pattern exists for punitiveness to increase parent-adolescent conflict cross-culturally. Perceptions of support, monitoring, conformity to parents, and autonomy from parents influenced parent-adolescent conflict within some of the cultures and selectively for adolescent boys and gi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