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attitude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격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 차남현;김윤경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83-29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persona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97 subjects aged between 18 and 28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March 2 to 25, 201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Win 15.0. Results: Differences in parental 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In parental rearing attitudes, 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record of their children. In maternal rearing attitudes, accept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and patern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accept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al education level. All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denia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parental economic status, blood type, two income fami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acceptance and personality of their children except paternal rearing attitude perceived denial. 26.3% of variance in personality was explained by maternal rearing attitude perceived acceptance onl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developing more specific personality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s programs.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김유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96-607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자료 중 초등학교 1학년 패널 7차년도 자료(중학교 1학년생, 2,002명)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양육태도의 돌봄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돌봄 양육태도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그 영향력은 돌봄 양육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할 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자아탄력성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취업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ing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 오선영;최정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9-121
    • /
    • 2004
  • This study is about the working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This investigation also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whether there was a percieved affective nurturing attitude and monitoring of the mother. To study such differences, 437 second and third grade children with both parents working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percentage, averages,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lpha, t-test, one way ANOVA, and Duncan's mutiple comparison.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anxiety with respect to children's genders, maternal educational levels and maternal occupations. In the area of loneliness, the differences came only from the differences in the grade level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neliness and self-perceived competenc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subjects' perception of an affective nurturing attitude and monitoring of mothers. In other words, it revealed that the group of children that strongly perceived an affective nurturing attitude and monitoring by their parents showed a lower level of loneliness and a higher level of self-perceived competence.

  • PDF

부모양육태도와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ttitude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chool Adjustment)

  • 최은희;조택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2-162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여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을 완화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충북의 청소년 중 자기기입식 조사에 응한 544명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고,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다른 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이었으며, 우울과 자살생각의 수준이 더 낮았고 학교생활적응수준이 더 높았다. 종교에 따라서는 종교가 있는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수준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남녀 모두의 우울과 자살생각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학교생활적응은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교한 개입을 위해 전문인력 확충, '학부모와 함께' 하는 예방프로그램 실시, 위센터, 위클래스 및 학교사회복지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이 아동의 게임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 이경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99-118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As individual variables, game user' motivati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family variables, communications with mothers, parental control of children's computer use and parental internet use were examined, as school variables, school adjustment and teacher's supervision of children's computer use, and as peer variables, peer group's attitude toward computer games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994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age, two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boys were addicted more than girl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ddiction tendency between the 5th graders and the 6th graders. Second, game users' motivation, that is, their interest-amusement motive, avoidance motive and aggressive motiv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game addiction tendency. However, self-control and self-esteem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Third, problematic communications with mothers and parental control of children's computer u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Open communications with mot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Fourth, school adjusa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And peer group's attitude towards computer gam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Fifth, low self-control, peer group's attitude towards computer games, children's interest-amusement motive, avoidance motive, aggressive motive, school lesson adjustment, parental control of children's computer use and school nile adjustment were important predicting variables of boy's game addiction tendency. Avoidance motive, low self-control, interest-amusement motive, peer group's attitude towards computer games, and parental control of children's computer use were important predicting variables of girl's game addiction tendency.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The Ecological Variabl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이경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211-224
    • /
    • 2008
  • The Ecological variables studied in relation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organisms(grade, sex, perceived competence, aggression and withdrawal), microsystems(parental support, marital conflict and supervision, peer victimization and perceived teacher attitude), mesosystems(family-peer relationships, family-school relationships) and the exosystem(neighborhood environment). The sample consisted of 565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Instruments were the School Adjustment Scale and Index of organisms, microsystems, mesosystems, and exosystem variables.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competence, parental support and supervision, perceived teacher attitude, family/peer and family/school relationship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b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grade, aggression, withdrawal and parental marital conflict and peer victimiza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hild's relationship with teacher, his/her academic adjustment and satisfaction in schoolwas perceived teacher attitude.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in school was perceived social competence.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 특성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attitude toward volunteer activities)

  • 김보현;권희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1-118
    • /
    • 2014
  • 이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 가족, 학교 특성에 따라 봉사활동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 특성을 규명하고자 경남지역 중 고등학교 재학생 450명으로부터 설문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는 개인 특성 중 성별, 종교, 학교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는 가족 특성 중 부모의 관심과 지지, 가족의 봉사활동 참여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는 학교 특성 중 교사의 관심과 지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 특성 중에서 성별, 종교, 성적, 도덕성, 가족 특성 중에서 부모의 관심과 지지, 학교 특성 중에서 교사의 관심과 지지였다. 청소년의 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은 부모의 관심과 지지, 도덕성, 성적, 성별, 교사의 관심과 지지, 종교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해 가족과 학교 등 청소년의 환경 체계가 관심을 갖고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부모역할, 자녀양육과 양육태도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al Roles and Childrearing attitude)

  • 박화윤;최재숙;마지순
    • 아동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76
    • /
    • 2002
  • In this study, 354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parental roles, and their parents' and their own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Data were analyzed by SPSS. Findings were that most college students perceived instrumental reasons for becoming a parent, and the parental role as consultant and provision of financial support. Most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mothers and fathers gave equal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that information on childrearing is to be found among friends and other adults, and that pre-parenthood education is important. They perceived their own parents to be satisfied with their parental roles, and they perceived both their patents and themselves to hold favorable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Students'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 PDF

자녀에 대한 부모의 통제와 청소년 음주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s' Drinking)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103-127
    • /
    • 1999
  • 이 논문은 청소년의 음주수준과 부모의 통제 간의 관계와 학년에 따른 두 변수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소년의 음주수준은 음주빈도에 따라 금주, 호기심 수준, 실험적 수준, 습관적 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부모의 통제에는 부모의 감독, 자녀의 행동에 대한부모의 규칙 유무, 청소년의 음주에 대한부모의 태도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학년 변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고등학생의 음주 수준과 부모의 통제와의 관계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부모의 감독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청소년 자녀의 음주를 허용하지 않는 태도를 가지고 있는 부모를 둔 학생일수록 금주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년 변수의 영향을 고려했을 때 고등학생의 음주수준과 부모의 감독수준 간의 관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점차 약화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규칙과 음주수준 간의 관계는 2학년에서 그리고 고등학생 자녀의 음주에 대한 부모의 허용여부와 음주수준 간의 관계는 2학년과 3학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가면서 부모의 감독수준은 낮아지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부모가 규칙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부모가 자신의 음주를 허용하거나 부모의 태도가 불분명한 정도가 높아진다고 응답하였다. 이 논문의 장점 중의 하나는 예방프로그램의 핵심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예방프로그램은 수정이 가능한 요인들에 초점을 두고 요인들의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부모-자녀 간의 관계 증진을 목표로 하는 개입은 사회복지사들에게 매우 익숙하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청소년 음주 및 약물남용 예방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부모가 미성년 자녀의 음주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를 자녀에게 전달하고 자녀의 행동에 대한 규칙을 세우며 부모와 자녀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양육방식과 관련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원조해야 할 것이다.

  • PDF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ental Bring-up Attitude on Child Abuse Awareness among College Students)

  • 박미정;오두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52-462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이들의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4월 16일부터 30일까지 대학에 재학 중인 2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 수용-거부 양육태도 도구, 아동학대인식 및 아동학대지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아동학대 인식은 성별,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무시/무관심 양육태도가 아동학대 인식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성별,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 및 부모의 양육태도의 설명력은 14.3%였으며,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과 무시/무관심 양육태도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이해를 통해 이들의 아동학대 인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