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Panton-Valentine Leukocidin Positive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A Case Report of Two Pediatric Patients with Thrombotic Complications

  • Ng, David Chun Ern;Anand, L. Alexis;Khiu, Fu Lung;Tan, Kah Ke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1호
    • /
    • pp.50-53
    • /
    • 2018
  • Staphylococcus aureus is a well-recognized human pathogen that causes a wide range of infections as a result of its extensive virulence factors. One of these factors is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a potent pore-forming cytotoxin that has been linked to invasive S. aureus infections. PVL is one of the important virulence factors for S. aureus and has been largely recognized as one of the markers for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However, the presence of PVL in methicillin-susceptible S. aureus infections is not wide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rombotic sequelae of S. aureus infections associated with PVL expression are uncommon in children. We hereby report two children with thromboti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PVL-producing methicillin-susceptible S. aureus. Both patients responded well to antibiotic and anticoagulant therapies, and survived without any long-term sequelae.

Recurrent Familial Furunculosis Associated with Panton-Valentine Leukocidin-Positive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ST1

  • Lee, Jin Young;Park, Ji Young;Bae, Il Kwon;Jeong, Seri;Park, Ji Hyun;Jin, Sol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2호
    • /
    • pp.107-112
    • /
    • 2018
  • 포도알균은 피부 및 연조직 감염과 관련된 병원체로 재발 감염의 위험이 높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양성 메티실린 감수성 포도알균 ST1에 의한 가족 내 재발성 종기를 경험하였으며, 16개월의 남자 환아와 아버지, 어머니의 종기에서 획득한 검체는 모두 동일한 항생제 감수성을 보였다. 세 환자의 균주 모두 agr 그룹으로 확인되었고,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검사에서 sec, seh가 확인되었으며 PVL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었다. 가족 내 신체 접촉으로 인한 포도알균의 전파 가능성 및 예방에 대한 고려를 해 볼 필요가 있다.

The First Neonatal Case of Panton-Valentine Leukocidin-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Causing Severe Soft Tissue Infection in Korea

  • You Hoon Kim;Seung Hyun Shin;Hyeri Seok;Dae Won Park;Young Hwan Park;Yoonsun Yoon;Yun-Kyung Kim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3호
    • /
    • pp.152-158
    • /
    • 2023
  • 황색 포도알균은 흔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의 원인이며,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toxin 생산 황색 포도알균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L 양성 황색 포도알균으로 인한 신생아 감염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생후 7일 신생아에서 발견된 PVL 양성 황색 포도알균 감염으로 인한 심한 피부, 연조직 감염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당일 발생한 발열, 2일 전 시작된 둔부 열감, 부종, 압통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일, 발열, 빈맥, 전신 컨디션 저하, 둔부의 열감과 압통 진행이 확인되었다.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피부 및 연조직, 일부 근육을 침범한 괴사성 근막염이 확인되었다. 둔부 병변에서 배농한 검체에서 PVL 양성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MRSA)이 배양되었고, 균혈증은 없었다. 환자는 한달 간의 정맥 항생제 투여와 외과적 배액 수술 후 회복되었다. 퇴원 한달 후, 환자는 외이도염으로 재입원, 피부에서 동일한 MRSA가 확인되었다. 병변은 정맥 항생제 투여 및 소독만으로 호전되었다. 환자는 0.5% 클로르헥시딘 목욕을 통해 탈집락화(decolonization)를 시행하였고, 회복 후 재감염은 없었다. 본 사례는 PVL 생산 황색 포도알균 감염에 대해 적극적인 배액 수술 및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며, 재발 및 지역사회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탈집락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독소 및 항생제 내성 (Toxin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백근식;기광서;최한나;박성찬;고은초;김형락;성치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7-264
    • /
    • 2011
  • 2009년 7월부터 12월까지 순천 소재 한 병원에 내원한 환자의 검체로부터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 (MRSA) 75균주와 methicillin 감수성 S. aureus (MSSA) 24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항생제 감수성 조사는 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리균의 독소 유전자 보유는 multiplex PCR을 이용하여 장독소(enterotoxin; SE), 독성 쇼크 증상 독소 1(toxic shock syndrome toxin-1; TSST-1), 피부박탈성 독소(exfoliative toxin; ET) 및 백혈구 용해 독소(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유전자를 검출하였다. 분리된 MRSA 60개 균주는 1개 혹은 2개의 독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22.7%의 균주가 seb, sec, seg, sei와 tst 유전자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었으며 18.7%는 sec, seg, sei와 tst 유전자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었다. 백혈구 용해독소를 암호하는 pvl 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MRSA는 sec, seg, sei와 tst 유전자 보유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MRSA 균주들은 erythromycin (분리균의 89%), gentamicin (70.7%), ciprofloxacin (69.3%), clindamycin (61.3%)과 tetracycline (58.7%)에 내성이 높은 반면, MSSA 균주들은 erythromycin를 제외한 다른 항생제에는 민감하였다. 독소 유전자 seb, sec와 tst는 tetracycline 내성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원유시료 중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분포 및 내성 유전자 특성 분석 (Prevalence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Raw Milk Samples in Gyeonggi-do, Korea)

  • 강소원;송영천;최성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3-227
    • /
    • 2014
  • 원유시료에서 분리한 methicillin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분표율과 내성유전자의 분석을 분자수준에서의 실시하였다. 총 698종의 원유시료에서 286개의 포도알균속 세균을 Staphylococcus Medium 110을 이용하여 분리 후 Vitek 2 system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94개의 황색포도알균을 확인하였다. 94개의 황색포도알균 중 총 7개의 균에서 methicillin 내성 mecA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로 확인된 7 균주에 대해 수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시험,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mec) typing, 및 병독소유전자인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종의 mecA 양성 MRSA 모두 ampicillin과 oxacillin에 내성이었으며 teicoplanin, vancomycin 및 ciprofloxacin에는 모두 감수성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SCCmec typing결과 7균 중 1균주는 SCCmec type II로 확인되었고 6균주는 SCCmec type IV로 확인되었으며 병독소 유전자인 pvl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중환자실의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독소유전자형과 항생제내성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Toxin Genotype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 of Intensive Care Unit)

  • 박철;성치남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2-209
    • /
    • 2016
  • 본 연구는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로부터, 독소 유전자형과 항생제 내성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14년 1월~12월까지 전남 순천의 한 병원 중환자실의 임상검체 2,664건에서 얻어진 MRSA 52균주를 분리하였다. 유전자들이 암호화하고 있는 mecA, 장독소(staphylococcal enterotoxins; sea, seb, sec, seg, seh, sei, sej), 독성 쇼크 증상독소-1 (toxic shock syndrome toxin-1; tst-1), 표피박탈성독소(exfoliative toxin; eta, etb), 백혈구 용해 독소(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를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한 multiplex PCR로 증폭 검출 하였다. 독소 유전자 seg와 sei 유전자가 각각 40균주(76.9%)로 가장 많은 보유율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tst 34균주(65.4%) 순으로 검출 되었으며 eta, etb, sea, sed, see, seh, sej와 pvl 유전자들은 검출 되지 않았다. 2개 이상의 독소 유전자를 동시에 보유한 조합의 MRSA는 40균주(76.9%) 였는데 5개 유전자(seb, sec, seg, sei, tst)를 동시 보유한 조합이 28균주(53.8%)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seg, sei 유전자 동시 보유 조합으로 6균주(11.5%)에서 나타났다. 유전자들 간의 동시 보유율은 72.5~100%로서 특정한 독소 유전자 seb, sec, seg, sei와 tst 유전자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정 다수의 독소유전자(seb, sec, seg, sei, tst)를 동시에 보유한 균주들이 개별적 독소 유전자를 보유한 균주(seb, sec, tst)와의 항생제 내성의 상관성은 ciprofloxacin, clindamycin, erythromycin 항생제에 100% 내성을 보임으로서 공통적으로 포함된 seb, sec, tst 유전자와 이 항생제의 내성과는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유전자형 분석 (Genotype Analyses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김진수;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15-3322
    • /
    • 2015
  • 황색포도상구균은 임상에서 중요한 병원체로 원내감염의 주 원인균이다. methicillin에 내성인 황색포도상구균(MRSA) 출현은 특히 전 세계적으로 임상과 역학의 주요 문제가 되고 있으며 다른 병원성 세균과 차별되는 특징으로 독성인자를 가지면서 항생제 내성을 빠르게 획득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한 종합병원 임상 검체로부터 얻어진 MRSA 101균주의 독소유전자(enterotoxin(se), toxic shock syndrome toxin-1(tst), exfoliative toxin(et), Panton Valentine leukocidin(pvl)) 보유 분포와 이들 독소 유전자 보유 균주들간의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독소유전자중 가장 많이 분리된 seg 유전자가 59균주(58.4%)에서 검출되었으며 70균주(69.3%)에서 두개 이상의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독소유전자 보유조합으로 seb, sec, seg, sei, tst가 19균주(18.8%)에서 발견되었으며 다음으로 빈번한 조합은 sec, seg, sei로 11균주(10.9%)로 나타났다. seb, sec, seg, sei, tst 동일한 독소유전자 조합을 갖고 있는 19균주(18.8%)들은 Ampicillin, Benzylpenicillin, Ciprofloxacin, Clindamycin, Gentamicin, Erythromycin, Telithromycin, Tetracycline 항생제 내성이 100% 였다. 독소유전자 보유수가 많은 균주들은 항생제 내성이 높은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MRSA 균주의 내성이 확산되지 않도록 효과적인 치료와 철저한 감염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ntibiograms and Molecular Subtype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Local Teaching Hospital, Malaysia

  • Thong, Kwai Lin;Junnie, June;Liew, Fong Yin;Yusof, Mohd Yasim;Hanifah, Yasmin 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265-1270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antibiotypes, SCCmec subtypes, PVL carriage, and genetic diversity of MRSA strains from a tertiary hospital. Sixty-six MRSA strains were selected randomly (2003, 2004, and 2007) and tested for the Panton-Valentine leukocidin gene, mecA gene, and SCCmec type via a PCR. The antibiograms were determined using a standard disc diffusion method, and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isolates was determined by PFGE. Thirty-four antibiograms were obtained, with 55% of the 66 strains exhibiting resistance to more than 4 antimicrobials. All the isolates remained susceptible to vancomycin, and low resistance rates were noted for fusidic acid (11%), rifampicin (11%), and clindamycin acid (19%). The MRSA isolates that were multisensitive (n=12) were SCCmec type IV, whereas the rest (multiresistant) were SCCmec type III. Only two isolates (SCCmec type IV) tested positive for PVL, whereas all the isolates were mecA-positive. The PFGE was very discriminative and subtyped the 66 isolates into 55 pulsotypes (F=0.31-1.0). The multisensitive isolates we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multidrug-resistant MRSA. In conclusion, no vancomycin-resistant isolate was observed. The Malaysian MDR MRSA isolates were mostly SCCmec type III and negative for PVL. These strains were genetically distinct from the SCCmec type IV strains, which were sensitive to SXT, tetracycline, and erythromycin. Only two strains were SCCmec IV and PVL-positive. The infections in the hospital concerned were probably caused by multiple subtypes of MRSA.

ST714-SCCmec type IV CA-MRSA에 의한 피부 연부조직 감염증으로 내원한 소아 증례 (ST714-SCCmec type IV CA-MRSA isolated from a Child with Recurrent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in South Korea: A Case Report)

  • 유리나;김서희;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1호
    • /
    • pp.62-66
    • /
    • 2016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 기원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A-MRSA)에 의한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이 증가하고 있다. 16개월의 한국 여아가 생후 6개월부터 시작된 반복되는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의 가족들도 환아와 비슷한 시기에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의 병력이 있었다. 환아의 혈중 면역글로불린 및 NBT 검사는 정상이었고, 피부 병변 외에는 가족 모두 건강하였다. 환아의 감염증 부위의 고름 배양 및 비강 내 보균 검사시 모두 PVL genes을 생성하는 CA-MRSA ST714 SCCmec type IV가 확인되었고, 이는 ST30의 single locus variant로서 국내에서는 보고된 적이 없는 MRSA의 유전형이다. 환아와 함께, 환아의 균주와 동일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보이는 MRSA 보균자인 환아부에게 재발 방지를 위해서 비강내 mupirocin 5일 요법을 시행하였고 이후 10개월간 추가적인 재발은 없었다.

Community-Acquired Necrotizing Pneumonia Caused by ST72-SCCmec Type IV-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 Hwang, Ji-Won;Joo, Eun-Jeong;Ha, Jung Min;Lee, Woojoo;Kim, Eun;Yune, Sehyo;Chung, Doo Ryeon;Jeon, Kyeongm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2호
    • /
    • pp.75-78
    • /
    • 2013
  • Meth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ause of community-acquired infections, which has been recently designated as community-associated (CA) MRSA.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negative multilocus sequence type 72 (ST72)-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mec) type IV has been reported as the predominat CA-MRSA strain in Korea and is commonly associated with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in addition to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However,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for this strain has not yet been reported. We hereby report two cases of CAP caused by PVL-negative ST72-SCCmec type IV strain in patients who had no risk factors for MRSA acquisition. While CA-MRSA infections are not yet prevalent in Korea, our cases suggest that CA-MRSA should be considered in cases of severe CAP, especially for cases associated with necrotizing pneumo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