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F control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6초

PZT와 ER유체를 적용한 복합지능구조물의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 of Hvbrid Smart Structure Using PZT Patches and ER Fluids)

  • 윤신일;박근효;한상보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4-739
    • /
    • 2003
  • Many types of smart materials and control laws are available to actively adjust the structure from various external disturbances. Usually, a certain type of control laws to activate a specific smart material is well established, but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 scheme is limited by the choice of the smart materials and the responses of the structure. ER fluid is adequate to provide relatively large control force, on the other hand, the PZT patches are suitable to provide small but arbitrary control forces at any point along the structure. It was found that active vibration control mechanism using ER fluid failed to suppress the excitation off the resonant frequency with chang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long the frequency response function of the closed loop of the control system. To compensate this additional peak of the closed loop system, PPF control using PZT as an actuator is added to construct a hybrid controller.

  • PDF

Active Vibration Control of a Plate Using TMS320C6713DSK

  • Choi, Hyeung-Sik;You, Sam-Sang;Her, Jae-Gwan;Seo, Hae-Yong;Tran, Ngoc-Huy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309-316
    • /
    • 2011
  • This paper deals with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vibration suppression of the smart structures. First, a new high-speed active control system is presented using the DSP320C6713 microprocessor. A peripheral system developed is composed of a data acquisition system, A/D and D/A converters, piezoelectric (PZT) actuator/sensors, and drivers using PA 95 for fast data processing. Next, the processing time of the peripheral device is tested and the corresponding test results are provided. Since fast data processing is very important in the active vibration control of the structures, achieving the fast loop times of the control system is focused. The control algorithm using PPF in addition to FIR filter is implemented. Finally, numerou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aluminum plate to validate the superior performance of the vibration control system at different control loop times.

Does a nurse-led postpartum self-care program for first-time mothers in Bangladesh improve postpartum fatigue, depressive mood, and maternal functioning?: a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study

  • Khatun, Fahima;Lee, Tae Wha;Lee, Hye Jung;Park, Jeongok;Song, Ju Eun;Kim, Sue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6-20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efficacy of a nurse-led postpartum self-care (NLPPSC) intervention at reducing postpartum fatigue (PPF) and depressive mood and promoting maternal functioning among first-time mothers in Bangladesh. Methods: A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irst-time mothers were recruited during postpartum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34 eac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NLPPSC in the hospital, a 1-day intervention that focused on increasing self-efficacy. The control group received usual care. Data on PPF, depressive mood, maternal functioning, self-care behaviors, postpartum self-efficacy, and self-care knowledge were collected at postpartum 2 weeks (attrition 23.5%) and 6 weeks (attrition 16.1%).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bivariate statistics, and linear mixed model analysis. Results: One-third (33.3%) of new mothers experienced depressive mood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scores of ≥13 points). The NLPPSC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creasing PPF (β=-6.17, SE=1.81, t=-3.39, p<.01) and increased maternal functioning at postpartum 6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β=13.72, t=3.73, p<.01) compared to the control. Knowledg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increased maternal functioning over time (β=.37, SE=.18, t=2.03, p<.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ve mood over time. Conclusion: The NLPPSC intervention was feasible and effective in improving fatigue and maternal functioning in Bangladeshi mothers by postpartum 6 weeks and thus supports implementing the NLPPSC intervention for new mothers after childbirth.

스타티스 ‘오션 블루’의 자가영양배양시 광도, 환기횟수 및 $\textrm{CO}_2$ 농도가 소식물체의 기내 생육에 미치는 영향 (Autotrophic Growth of Limonium spp. 'Ocean Blue' Plantlets In Vitro as Affected by PPF, NAEH and $\textrm{CO}_2$ Concentration)

  • 정기원;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20
    • /
    • 2002
  • 자가영양배양시 광도,환기횟수 및 $CO_2$농도가 스타티스 ‘Ocean Blue’ 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S 배지에서 광흔합영양해양을 통하여 증식된 스타티스 식물체에서 2~3장의 잎을 가진 줄기 절편체를 채취하여 배양용기당 4개씩 치상하였다. 절편체는 온도 25$\pm$1$^{\circ}C$. 상대습도 70~ 80%인 배양실에서 cool-white 형광램프로 명기동안 70, 150, 또는 220$\mu$mol. $m^{-2}$ . $s^{-1}$의 광을 공급하면서 41일 동안 배양하였다. MS 기본배지를 사용하였으며, sucrose와 vitamin은 첨가하지 않았다. 광도가 높아질수록 생체 중,건물중 및 엽면적이 증가하였다. $CO_2$농도를 높여준 경우 초장, 생체중, 건물중 및 엽면적이 증가하였다. 뿌리길이와 엽록소 농도는 광도나 $CO_2$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배양용기 내의 환기횟수를 높이고, 고광도의 $CO_2$를 공급할수록,그리고 PPF를 증가시킬수록 스타티스 소식물체의 자가영양배양에서의 생육이 촉진되었다.

광합성효율 모델을 이용한 밀폐형 식물 생산시스템의 재배환경 최적화 (Optimization of Growth Environment in the En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Using Photosynthesis Efficiency Model)

  • 김기성;김문기;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9-21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식물 생산시스템 내에서 생체정보에 의한 최적 환경제어와 식물의 환경스트레스 판단을 위하여 엽록소형광 분석법으로 광합성효율 모델을 만들었으며, 광합성효율 모델에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재배환경 최적화 프로그램의 응용성을 평가하였다. 6가지 미기상 요인 중 5가지는 고정하고 1가지씩만 변화시켜 가며 측정한 Fv'/Fm'이 최대가 되는 환경조건은 기온 $21^{\circ}C,\;CO_2$농도 $1,200\~1,400ppm$, 상대습도 $68\%$, 기류속도 $1.4m{\cdot}s^{-1}$, 배양액온도 $20^{\circ}C$이었으며 PPF가 $140{\mu}mol{\cdot}m^{-2}{\cdot}s^{-1}$ 보다 증가할수록 광합성 효율은 감소하였다. 광합성효율모델의 오차는 평균 $2.5\%$였다. 재배환경 최적화 프로그램으로부터 계산된 밀폐형식물 생산시스템내에서 상추의 최적재배환경조건은 기온 $22^{\circ}C$, 배양액온도 $19^{\circ}C,\;CO_2$농도 1,400ppm, 기류속도 $1.0m{\cdot}s^{-1}$, PPF $430{\mu}mol{\cdot}m^{-2}{\cdot}s^{-1}$, 상대습도 $65\%$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광합성 효율 모델을 이용하여 식물 생산시설의 환경모니터링 시스템과 식물 생체정보에 의한 최적제어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인공광형 폐쇄형 육묘시스템 내 광량 및 플러그 트레이 규격에 따른 오이 접수 및 호박대목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cumber Scion and Pumpkin Rootstock under Different Levels of Light Intensity and Plug Cell Size under an Artificial Lighting Condition)

  • 장윤아;이혜진;최장선;엄영철;이상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3-390
    • /
    • 2014
  • 균일한 고품질의 접수 및 대목 생산을 목적으로, 인공광형 폐쇄형 육묘시스템 내에서의 접수 및 대목 육묘기술을 개발하고자, 폐쇄형 육묘시스템 내에서의 광량 및 플러그 트레이 규격에 따른 오이 접수 및 호박 대목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광량 3수준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165, 248, $313{\mu}mol{\cdot}m^{-2}{\cdot}s^{-1}$) 및 플러그 트레이 셀 규격 5가지(50, 72, 105, 128, 200공)를 조합한 15처리로 9일간 육묘하였다. 오이 접수와 호박 대목의 지상부 건물중은 광량과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상대생장률은 광량과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에 따라 두 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그와 함께 광량의 증가에 따라 건물률이 증가하고 비엽면적 및 배축장이 감소하여, 묘의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본엽의 전개는 200공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한 경우를 제외하고 오이 접수의 경우 파종 8일, 호박 대목의 경우 파종 7일경부터 이루어졌다. 200공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한 경우, 다른 플러그 트레이 규격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생육 및 본엽 전개가 하루 정도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생육 및 공간이용효율을 고려하였을 때, 단근합접을 위한 오이 접수 및 호박 대목 생산을 위해서는 오이 접수의 경우 105공~128공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여 8일 내외, 호박 대목의 경우 72공~105공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여 7일 내외로 육묘하는 것이 추천된다. 아울러 광량 증가에 따라 묘의 생육 및 품질이 향상되므로, 검토된 범위 내에서 가능한 광량을 높여주는 관리가 추천된다.

배양액의 농도와 광강도가 단일처리전 칼랑코에 유묘의 양분흡수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trength and Light Intensity on Nutrient Uptake and Growth of Young Kalanchoe Plants (Kalanchoe blossfeldiana 'Marlene') at Seedling Stage)

  • 노은희;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9-154
    • /
    • 2005
  • 칼랑코에 단일처리전의 유묘기의 목표는 초장이 짧고 건실하며 분지수가 많은 식물체를 생산하는 것이다. 광과 양분조건은 어린 식물의 생육과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이 시기에 배양액농도와 광강도가 생육과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조건의 적산일사량(15.8, 7.9 $mol{\cdot}m^{-2}{\cdot}d^{-1}$, PPF)과 3조건의 배양액농도(EC 0.8, 1.6, 2.4 $dS{\cdot}m^{-1}$) 처리를 하였다. 칼랑코에 유묘의 생육조사 결과, 광도가 높을수록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이 크게 나타났고 분지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EC 1.6 $dS{\cdot}m^{-1}$ 이상에서 현저하였다. 초장은 광강도가 낮을수록 컸다. 배양액의 EC 감소분은 배양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 단계의 진전에 따른 양분흡수는 광도와 배양액 농도(EC)가 높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기간 중 $NO_3$-N, P, K, Ca은 대체로 고광도에서 저광도보다 많이 흡수되었다. 칼랑코에 유묘기 재배 시, 적정 엽면적, 생체중, 분지수, 초장을 얻고, 식물체의 적절한 양분흡수를 위해서는 고광도 시 배양액 농도를 EC 1.6 $dS{\cdot}m^{-1}$이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적절하였고 저광도 시 배양액 농도를 EC 0.8 $dS{\cdot}m^{-1}$ 관리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광도에 따라 배양액 내의 각 무기양분의 농도를 다르게 관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자주초롱꽃의 기내 자가영양배양시 $CO_2$농도, 환기횟수 및 광도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_2$ Concentration, NAEH and Light Intensity on the Photoautotrophic Growth of Campanula punctata 'Rubriflora' Plantlets In Vitro)

  • 심재남;김경희;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3-238
    • /
    • 2005
  • 자주초롱꽃(Campanula punctata 'Rubriflora')의 자가영양배양시 $CO_2$ 농도,환기횟수 및 광도가 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500{\mu}mol{\cdot}m^{-1}$고농도$CO_2$에서는 광도를 높일수록 초장, 엽수가 증가되었으나, 최대근장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엽록소의 함량은 광도가 높을 때보다는 낮은 경우인 $70{\mu}mol{\cdot}m^{-2}s^{-1}$에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엽면적은 광도가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CO_2\;1,500{\mu}mol{\cdot}mol^{-1}$ 환기횟수 $2.8h^{-l},\;PPF\; 220{\mu}mol{\cdot}m^{-2}{\cdot}s^{-1}$에서 가장 큰 차이로 작게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CO_2$ 농도, 환기횟수, PPF가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특히 $CO_2\;1,500{\mu}mol{\cdot}mol^{-1}$, 환기횟수 $2.8h^{-1},\;PPF\; 220{\mu}mol{\cdot}m^{-2}{\cdot}s^{-1}$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환기횟수의 영향은 전반적으로 적었다. 종합적으로 자주초롱꽃 소식물체의 기내 자가영양배양 차량번식을 위해서는 $CO_2\;1,500{\mu}mol{\cdot}mol^{-1},\;PPF\;220{\mu}mol{\cdot}m^{-2}{\cdot}s^{-1}$의 조건이 적합하였다.

LED 램프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이 오이접목묘의 엽록소형광, 엽록소함량, 활착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Chlorophyll Fluorescence, Chlorophyll Content, Graft-taking, and Growth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of LED Lamps)

  • 김형곤;이재수;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1-238
    • /
    • 2018
  • 본 연구는 대목과 접수의 결합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오이접목묘의 엽록소형광반응, 엽록소함량, 활착 및 생장 특성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활착실 내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은 25, 50, 100, $150{\mu}mol{\cdot}m^{-2}{\cdot}s^{-1}$의 4수준으로 설정되었고, 기온, 상대습도 및 LED 램프의 광주기는 각각 $25^{\circ}C$, 90%, $16h{\cdot}d^{-1}$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목의 최대양자수율은 0.84-0.85로서 광량에 따른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은 접목 후 2일째에 0.81-0.82로 낮게 나타났으나, 3일째부터 광량이 높을수록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이 증가하였다. 활착 후 4일째에 측정된 접수의 엽록소함량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오이접목묘의 활착율은 광량이 $100{\mu}mol{\cdot}m^{-2}{\cdot}s^{-1}$ 이하일 때 90-95%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나, $150{\mu}mol{\cdot}m^{-2}{\cdot}s^{-1}$의 처리구에서는 80% 정도로 저하되었다. 광주기에 따라 다르나, 오이접목묘의 활착에 적합한 한계 광량은 플러그 트레이 표면에 조사된 광량을 기준으로 $100{\mu}mol{\cdot}m^{-2}{\cdot}s^{-1}$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 처리된 광강도 하에서 활착된 오이접목묘의 발근에 최소 2일이 소요되었고, 이 기간에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은 최저치로 나타났다. 활착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량에 따라 대목과 접수의 변이형광과 최대양자수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목의 발근을 촉진하고, 접수의 최대 양자수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광 및 습도 등의 물리적 환경이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향후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대목의 발근, 통도조직의 결합 상태, 수분의 이동에 따른 엽록소함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구명할 필요가 있다.

System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 Variable Frequency LED Light System for Plant Factory

  • Han, Jae Woong;Kang, Tae Hwan;Lee, Seong Ki;Han, Chung Su;Kim, Woo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2호
    • /
    • pp.87-9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variable frequency LED light system for plant factory which combined red, blue, green, white, and UV lights and controlled the ratio of the light wavelength. In ad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each combination of L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Methods: Four combinations of LED (i.e. Red+Blue, Red+Blue+Green, Red+Blue+White, Red+Blue+UV) were designed using five types of LED. The system was designed to control the duty ratio of each wavelength of LED by 1% interval from 0~100%, the pulse by 1Hz interval from 1~20kHz.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system, spectral distribution of each combination, light uniformity and uniformity ratio were measur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Results: Clean waveforms were measured from 10Hz to 10kHz regardless of duty ratio. Frequency distortion was observed within 5% of inflection point at frequencies above 10kHz regardless of duty ratio, but it was judged negligible. Spectra showed a normal distribution, and maximum PPF with duty ratio of 100% was $271.4{\mu}mol{\cdot}m^{-2}{\cdot}s^{-1}$ for the Red+Blue combination. PPF of the Red+Blue+Green combination was $258.9{\mu}mol{\cdot}m^{-2}{\cdot}s^{-1}$, and that of the Red+Blue+White combination was $273.9{\mu}mol{\cdot}m^{-2}{\cdot}s^{-1}$. PPF of the Red+Blue+UV combination was $267.7{\mu}mol{\cdot}m^{-2}{\cdot}s^{-1}$. Uniformity ratio for the area excepting border showed 0.90 for the Red+Blue and Red+Blue+White combinations, 0.87 for the Red+Blue+Green combination, and 0.88 for the Red+Blue+UV combination. The light was irradiated evenly at the area excepting border, so it was suitable for plant growing.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system, spectral distribution of each combination, light uniformity and uniformity ratio were suitable for applying into the plant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