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O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2초

와송과 한약재 복합물의 in vitro 생리활성 평가 (In vitro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nd Korean Traditional Plants Mixture)

  • 이수정;신정혜;강재란;황초롱;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5-301
    • /
    • 2012
  • 와송의 생리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와송 추출물, 한약재(백복령, 창출 및 사인)의 혼합물 및 한약재와 와송의 복합물(1:1, PMO-1; 1:3, PMO-3)의 항산화 및 암세포 생육 저해능을 비교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한약재 혼합물이 와송 추출물보다 많았으며, 와송 복합물에서는 PMO-1이 PMO-3보다 더 높았다.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PMO-1이 PMO-3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tyrosinase 활성 저해능 및 MCF-7 및 HT-29 세포의 생육 저해능은 와송의 함유량이 많은 PMO-3의 활성이 더 높았다. 따라서 모든 생리활성시험에서 와송 복합물이 와송 추출물이나 한약재 혼합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와송 복합물은 와송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상승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공공 PMO)제도의 이해관계자 별 가치체계 (Stakeholder's Valuation of Public PMO System Using Laddering)

  • 백형충;박찬혁;장성용;김자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27-136
    • /
    • 2015
  •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이 개편된 후 문제로 지적된 사업 리스크와 품질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 PMO 허용을 골자로 하는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해관계자인 발주자, 사업자, PMO의 견해 차이로 공공PMO 제도가 안착하지 못하고, 추가적인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균형 있는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각 이해관계자 간의 견해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심리학적 수단-목적 사슬이론(Means-end chain theory)과 그 방법론의 하나인 래더링 기법과 가치단계도(HVM, Hierarchical Value Map)를 이용하여 공공 PMO 제도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이해관계자 별 인지구조를 분석하고, 견해 차이를 유발하는 근본 원인을 분석한다. 추가로 이해관계자들이 제도에 기대하는 혜택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제도들도 분석한다.

RGT와 AHP을 활용한 이행 PMO 역량평가 모형 (An Evaluation Model of Transition PMO Competencies Using RGT and AHP)

  • 차환주;김자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7-109
    • /
    • 2015
  • The IT outsourcing industry has been widespread for decades since the growth of the system integration industry stagnates and companies need to curtail expens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IT service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the success factors of the IT outsourcing, its transition phase is significant because of continuity of business and the handover of knowledge. Since a transition phase consists of several projects, but its goal is different from general projects, it needs special and professional management. Therefore, recent IT outsourcing business starts to introduce PMO (project management offices), of which success strongly depends on the competencies of the PMO.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which competencies of the PMO are important. In this paper, we suggest an evaluation model of transition PMO competencies derived using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dditionally, we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iews of several stakeholders on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주기적인 메조포러스 유기실리카/고분자 복합재료 제조 (Preparation of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Polymer Composite)

  • 이돈;서길수
    • 폴리머
    • /
    • 제34권4호
    • /
    • pp.289-293
    • /
    • 2010
  • 비스트리에톡시시릴에탄(bis(triethoxy silyl) ethane)을 전구체로 도데실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그리고 옥타데실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octa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를 구조유도체로 사용하여 주기적인 메조포러스 유기실리카(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s)(PMO)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MO의 경우 구조유도 체로서 사용한 계면활성제의 알킬기가 증가할수록 PMO의 표면적과 기공부피가 감소하였으나 기공의 직경에는 영향 이 없었다. 그리고 합성된 PMO에 폴리에틸렌을 삽입한 결과 사용한 구조유도체의 알킬기의 크기에 따라서 폴리에 틸렌의 삽입과정에 많은 영향이 있었으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경우 합성된 PMO의 특성에 영향이 거의 없음을 XRD와 DSC로 확인하였다. 또한, 고분자의 열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PMO에 삽입된 고분자의 열분해 온도가 증가함 을 알 수 있었다.

군용 무인기의 항공전자 아키텍처 설계 (Avionics Architecture Design for Military Unmanned Aerial Vehicles)

  • 심재익;최재원;김용태;유동완;양국보;하현석;김상진;이승열;정상준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28-636
    • /
    • 2022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the avionics architecture for military unmanned aerial vehicles considering the airworthiness requirements for the first time. This design considers the redundancy in the system data bus and the power system and the data link system to meet the system safety requirements of the airworthiness requirements of military UAVs. This avionics architecture design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system integration test and the flight test after manufacturing the UAV.

PMO의 관여도가 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MO Involvement on Project Performance)

  • 원종호;박소현;이태원;김승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2호
    • /
    • pp.109-13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function and operating system of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project manage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find out how the project performance is affected by the utilization of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the involvement of the PMO.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implementing integrated management between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project performance is to be demonstrated. Design/methodology/approach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roject management,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functional factors derived from project management system design studies, integrated management factors, and factors derived from PMO function studies. Finding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first confirmed that high utilization of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high involvement of the PMO are factors that affect project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PMO do not guarantee project performa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ecution of integrated man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ystem and the project performance, and that the high utilization of the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ediating effect.

리스크에 기반한 전사 PMO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Based Project Management Office)

  • 성시창;이석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04-707
    • /
    • 2017
  • 오늘날 기업에서 프로젝트의 성공은 기업 전략 달성에 필수 요소이다. 프로젝트가 많아지고 프로젝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프로젝트의 성과 향상의 방안으로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를 운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사 PMO는 기업의 전략과 프로젝트 간에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기업 내 다수의 프로젝트를 관리함으로써 기업 전략 달성을 도모하지만 대부분 부족한 인력과 자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리스크가 높은 프로젝트에 한정된 인력과 자원을 집중할 수 있다면 프로젝트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기업 전략 달성에 보다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리스크를 기반으로 PMO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Aluminium Salt of Phosphomolybdic Acid Fabricated by Nanocasting Strategy: An Efficient System for Selective Oxidation of Benzyl Alcohols

  • Aliyan, Hamid;Fazaeli, Razieh;Habibollahi, Nasibeh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591-596
    • /
    • 2012
  • Preparation of $AlPMo_{12}O_{40}$ (AlPMo) salts, supported on mesostructured SBA-15 silica, by the reaction deposition strategy causes the formation of isolated AlPMo nanocrystals inside the nanotubular channels.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SBA-15 structure is that all the cylindrical pores are connected by some small channels. This makes the whole pore system in SBA-15 three-dimensional. We have used 2D hexagonal SBA-15 silicas as hard templates for the nanofabrication of AlPMo salt nanocrystal. The oxidation of alcohols occurs effectively and selectively with $H_2O_2$ as the oxidant. AlPMo salt nanocrystal was used as the catalyst.

SI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PMO의 역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PMO for SI Projects Success)

  • 박승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66-469
    • /
    • 2017
  • SI 프로젝트가 대형화되고 장기화 되면서 투입 인력과 구축 비용의 단위가 점점 커짐에 따라서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위험요소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과 평가로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성과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각종 위험 및 역기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의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고, 성공적인 완료를 위하여 지원, 감독, 통제 등의 제반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PMO의 도입은 사업관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데, 특히 과거 프로젝트의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거나, 프로젝트 팀에게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식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SI 프로젝트가 되기 위해서 프로젝트 내에서 PMO의 역할에 대해서 분석 및 연구하였다.

공대지 폭탄용 유도키트 시험 (Tests of a Guidance Kit for Air-to-Surface Bomb)

  • 이인원;이기두;박영근;임상수;백승욱;이대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4-318
    • /
    • 2013
  • 국내 최초로 개발되는 공대지 유도키트에 대하여 미국의 MIL-HDBK 및 STANDARD를 준용한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각종 지상시험을 통하여 유도키트의 작동 성능과 내구성을 검증하였으며, 유도키트를 일반목적폭탄에 장착한 활공탄으로 비행시험을 수행하여 중거리 활공비행성능 및 정확도가 매우 양호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