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MA(Poly-methyl methacrylate)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Graphite Nanofibers on Poly(methyl methacrylate) Nanocomposites for Bipolar Plates

  • Seo, Min-Kang;Park, Soo-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671-674
    • /
    • 2009
  • In this work, high-aspect-ratio graphite nanofibers (GNFs) were used to improve the electric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mer, as well as those of PMMA composites suitable for use in bipolar plates. In the result, an electrical percolation threshold for the composites was formed between 1 and 2 wt% GNF content. This threshold was found to be influenced strongly by the three separate stages of the meltblending process. The composites exhibited higher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lower thermal shrinkage compared with the neat PMMA. Thus, GNFs were demonstrate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PMMA composites and showed, thereby, reasonable potential for use in composites employed in the fabrication of bipolar plates.

PMMA의 함량이 외부 전장하에서 결정화되는 PEO/PMMA 블렌드물의 결정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MMA Content on the Crystallization of PEO/PMMA Blends under External Electric Field)

  • 김영호;최재원;홍성돈;김갑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3-205
    • /
    • 2002
  • poly(ethylene oxide)(PEO)와 Poly(methyl methacrylate)(PMMA)는 상용성이 있는 고분자 블렌드계로서, 혼합되는 PMMA의 함량과 사용하는 용매 등에 의해서 PEO의 결정화 거동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l-3]. 비결정성 고분자인 PMMA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PEO의 결정 성장은 제약을 받게 되어 결정화 속도가 느려진다. 한편, PEO는 전기활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로서 외부전장을 가한 상태에서 용응 결정화시키면 전장의 영향을 받아 결정화가 늦어진다[4]. (중략)

  • PDF

Poly(methyl methacrylate-co-styrene)/Silicate Nanocomposites Synthesized by Multistep Emulsion Polymerization

  • Park, Yeong-Suk;Kim, Yoon-Kyung;Chung, In-J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6호
    • /
    • pp.418-424
    • /
    • 2003
  • Exfoliated poly(methyl methacrylate-co-styrene) [P(MMA-co-ST)]/silicate nanocomposites were synthesized through a multistep emulsion polymerization. The methyl methacrylate monomers were polymerized first and then the styrene monomers were polymerized. The nanocomposites had core-shell structures consisting of PMMA (core) and PS (shell); these structures were confirmed by $^1$H NMR spectroscopy and TEM, respectively. P(MMA-co-ST) copolymers showed two molecular weight profiles and two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T$_{g}$) in GPC and DMA measurements. At 30 $^{\circ}C$, the nanocomposites exhibited 83 and 91 % increases in their storage moduli relative to the neat copolymer because the silicate layers were dispersed uniformly in the polymer matrix.x.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이종 블록 공중합체/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블렌드의 미세 상분리와 결정화 (Microphase Separation and Crystallization in Binary Blends Consisting of Poly (methyl methacrylate)-block-Polystyrene Copolymer and Poly (vinylidene fluoride))

  • 김지선;이광희;조성무;류두열;김진곤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509-518
    • /
    • 2004
  • 비대칭 블록 공중합체와 단일고분자로 구성된 블렌드의 미세 도메인 구조와 결정화 거동을 소각 X-선 산란, 광학 현미경 및 DSC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의 무게 분률이 0.53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이종 블록 공중합체 (PMMA-b-PS)를 저분자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와 혼합하였다. PVDF 함량 증가에 따라 블렌드 미세구조가 라멜라에서 실린더 구조로 전이하였으며, PVDF의 결정화는 결정화 이전에 형성된 미세구조의 배열을 교란시켜 질서도가 낮은 형태를 야기시켰다. 또한, PVDF 결정화 거동은 PMMA 블록과의 혼화성 및 미세 도메인에 의해 부가되는 공간적 제한에 큰 영향을 받았다.

Ferrocene-Based Diimine Pd(II) 촉매로 얻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methyl methacrylate) Obtained with Ferrocene-Based Diimine Pd(II) Catalyst)

  • 박태학;이동호;김태정;박동규
    • 폴리머
    • /
    • 제26권3호
    • /
    • pp.410-414
    • /
    • 2002
  • 중심 금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ferrocene-based diimine 리간드를 가지고 낮은 산소 친화성을 가진 후전이금속인 Pd 촉매를 합성하여, 극성 단량체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의 중합에 사용하였다. 중합계 내의 impurity scavenger로 triisobutylaluminium (TIBA)를 사용하였을 때에, 중합온도와 [TIBA]/[Pd] 몰비가 생성 중합체(PMMA)의 수율 및 유리전이온도 ($T_g$)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MMA의 수율은 40~$50^{\circ}C$의 중합온도 및 2000~3000의 [TIBA]/[Pd] 몰비에서 가장 높았다. PMMA의 $T_g$는 중합온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TIBA]/[Pd] 몰비에 의존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PMMA의 $T_g$의 변화를 PMMA의 미세구조와 연관시켜 조사한 결과, PMMA의 $T_g$ 이소탁틱도와 직선적 관계를 가짐을 알았다.

Li 이온 포함하는 PEO/PMMA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거동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EO/PMMA Containing Li Ion)

  • 한아름;박수진;신재섭;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476-480
    • /
    • 2009
  • 본 연구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는 poly(ethylene oxide)(PEO)와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블렌드를 사용하고, 용매로는 Ethylene carbonate(EC), 그리고 $LiClO_4$를 리튬염으로 하는 전해질 복합체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PMMA의 함유량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의 결정화도와 이온전도도는 시차주사열량계(DSC)와 주파수반응분석기(FR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PMMA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PEO의 결정 영역이 감소하고 이온전도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PMMA의 함량이 20 wt.% 이상인 경우, 고분자 블렌드필름에서 상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즉, SEM 분석결과에 의해서, PMMA 주성분 영역과 PEO 주성분 영역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20 wt.% 첨가한 경우 가장 큰 이온전도도를 가지며, 함유량이 20 wt.% 이상에서는 PMMA 상의 증가로 인해 다소 감소된 이온전도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Generation of Graded Index Profile of Poly(methyl methacrylate) by a Photochemical Reaction

  • Yun, Hyun-Chu;Im, Sang-Hyuk;Suh, Duck-Jong;Park, O-Ok;Kwon, Moo-Hy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36-240
    • /
    • 2003
  • Fabrication of a graded index profile was possible via photochemical reaction of cinnamoyl groups with 350 nm wavelength UV light to form crosslinked structures. Such structural change may induce the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In order to generate graded index profile in the PMMA polymer optical fiber (POF) with cinnamoyl groups by photochemistry,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containing a cinnamoyl functional group in the side chain were prepared. This monomer was then copolymerized with methyl methacrylate with various compositions not only to utilize advantages of poly(methyl methacrylate) but also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cinnamate homopolymer. Changes of refractive indices were investigated with various contents of cinnamoyl group and varying irradiation time. Large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Delta}{\approx}0.01$) and its proper profile shape ($g{\approx}2.2$) can be obtained by changing irradiation time.

나노리소그래피 마스크용 블록공중합체 나노구조 필름의 제조 (Fabrication of Nanostructured Films of Block Copolymers for Nanolithographical Masks)

  • 박대호;손병혁;정진철;진왕철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1-186
    • /
    • 2005
  • Polystyrene(PS)과 poly(methyl methacrylate)(PMMA)에 대하여 동일한 계면 특성을 갖는 3-(p-methoxyphenyl)propyltrichlorosilane(MPTS)의 자기조립 단분자막(self-assembled monolayer, SAM) 을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형성시켜 표면 특성을 개질하였다. 개질된 실리콘 웨이퍼에 PMMA 또는 PS가 원통형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PS-b-PMMA 블록공중합체 박막을 코팅하여 원통형 나노구조가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배향된 박막을 제조하였다. 수직 원통형 나노구조를 갖는 박막에 자외선 조사와 세척을 통하여 PMMA 블록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수직 나노기공 필름과 수직 나노막대 배열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기공 필름은 나노리소그래피 마스크로 사용이 가능하다.

  • PDF

Preparation of Ultra Fine Poly(methyl methacrylate) Microspheres in Methanol-enriched Aqueous Medium

  • Shim, Sang-Eun;Kim, Kijung;Sejin Oh;Soonja Cho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40-245
    • /
    • 2004
  • Monodisperse PMMA micro spheres are prepared by means of a simple soap-free emulsion polymerization in methanol-enriched aqueous medium in a single step process. The size and uniformity of the microspheres are dependent on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n a stable system, the uniformity is improved with the polymerization time. The most uniform and stable micro spheres are obtained under mild agitation speed of 100 rpm at 70$^{\circ}C$. The monodisperse PMMA microspheres in the size range of 1.4-2.0 $\mu\textrm{m}$ having less than 5% size variation are successfully achiev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monomer and initiator. As the monomer and initiator concentrations increase, the larger micro spheres with enhanced uniformity are obtained. However, the decreased amount of water induces the polydisperse PMMA particles due to the generation of secondary p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