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2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27초

Characteristics of Cytosolic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_2$ Isolated from Rat Liver

  • Won, Jong-Hak;Na, Doe-Sun;Rhee, Hae-Jin;Park, Young-Min
    • BMB Reports
    • /
    • 제32권2호
    • /
    • pp.154-160
    • /
    • 1999
  • A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_2$ ($iPLA_2$) was identified from the cytosolic fraction of rat liver cells. On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e $iPLA_2$ activity was eluted as broad peaks of 150 to 500 kDa. The enzyme was maximally active at pH 7.5, retained 75% of its original activity after heating at $50^{\circ}C$ for 5 h, and was inhibited by $Ca^{2+}$, $Mg^{2+}$, and $Zn^{2+}$ ions, but was not affected by $Na^+$ and $K^+$ ions. The enzymatic activity was increased up to 150% by 1 to 4 mM DTT and was inhibited up to 25% by 0.1 to 1 mM PMSF. The $iPLA_2$ activity had preference for the head group of phospholipids, where phosphatidylethanolamine was preferred to phosphatidylcholin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PLA_2$ may be a novel enzyme distinct from the previously reported $iPLA_2s$.

  • PDF

Activation of Cytosolic Phospholipase $A_2$ by Methyl Mercury($CH_3$HgCl) in Madin Darby Canine Kidney (MDCK) cells

  • Kang, Mi-sun;Seo, Ji-Heui;Huh, Don-Hang;Kim, Dae-Kyo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79
    • /
    • 1997
  • 자연계에 존재하는 수은중 유기수은은 생태계 먹이사슬을 통하여 체내의 여러장기에 축적되어 조직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포독성에 대한 정확한 생화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포스포리파아제 $A_2$(PLA$_2$)는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Arachidonic acid (AA)와 Lysophospholipid를 유리시키는 효소로 최근 세포손상과 관련하여 그 역할이 주목되고 있으며, 극히 최근, 일차배양 소뇌신경세포를 이용한 연구에서 메칠수은처리에 의해 세포독성의 지표인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유리와 함께 AA 유리가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여러형태의 PLA$_2$중 어느형태의 효소가 관련되어 있는지, 또한, 그 자세한 기전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신장세포의 일종인 MDCK세포를 이용하여 메칠수은의 처리에 의한 PLA$_2$의 활성화 및 그 생화학적인 기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3$H]AA를 MDCK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라벨링한 후 메칠수은을 처리하였을때 [$^3$H]AA가 대조군에 비해 농도의존적 및 경시적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LDH의 유리도 함께 관찰되었다. 이러한 [$^3$H]AA의 유리 증가는 세포질 PLA$_2$에 특이적인 저해제로 알려진 AACOCF$_3$의 전처리에 의해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LDH의 유리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또한, 글루타치온(GSH)의 전구체인 NAC (N-Acetyl Cysteine)에 의해 [$^3$H]AA의 유리는 부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LDH의 유리는 변함이 없었다. 돼지비장이나 MDCK 세포에서 얻어진 세포질 PLA$_2$에 메칠수은을 직접 처리하였을때는 오히려 PLA$_2$의 활성은 감소되었다. 위의 결과들로부터 메칠수은에 의한 [$^3$H]AA의 유리 증가는 세포질 PLA$_2$효소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이 아니라 세포내 -SH기의 차단이나 Oxidative Stress에 의해 간접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으로 예상되며, 세포질 PLA$_2$에 의해 유리된 AA의 세포독설과 관련된 세포내의 역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 PDF

Annexin I의 구조와 결합에 관한 분광학적 연구

  • 이봉진;방근수;이연희;이태우;나도선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63-263
    • /
    • 1994
  • Annexin I is a member of the in family of calcium dependent phospholipid banding proteins and is an in vitro phospholipase $A_2$ (PLA$_2$) inhibitor. The mechanism of PLA$_2$ inhibition by annexin I is still ambiguous. The structure of annexin I was studied at the atomic level by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ircular dichrotsm (CD)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Recombinant human annexin I and N-terminally truncated annexin I (1-31 deleted: d-annexin I) were purified and their NMR spectra were compared. The NMR spectra of the two were similar. When $Ca^{2+}$ ion added to annexin I ad d-annexin I, peak broadening occurred, but no significant spectroscopic change was observed. When porcine pancreatic PLA$_2$ was added to deuterium labeled annexin I, an interaction of annexin I with PLA$_2$ was observed as indicated by the disappearance and shift of several peaks in the NMR spectrum. This result supports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mechanism for PLA$_2$ inhibition by annexin I.I.

  • PDF

Involvement of $PLA_2$ Isoforms in Muscarinic Receptor-Mediated sAPP Release and Store-Operated Calcium Entry in SH-SY5Y Cells.

  • Cho, Hye-Won;Kim, Jin-Hyung;Choi, Shin-Kyu;Kim, Hwa-Ju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28.2-129
    • /
    • 2003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phospholipase$A_2$ ($PLA_2$)-related pathway and capacitative calcium entry (CCE) via store-operated calcium channel (SOC) we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muscarinic receptor- mediated sAPP release. We also observed that stimulation of muscarinic receptor associated with the inositol phosphate cascade resulted not only in increase of CCE but also in activation of PLA$_2$ in SH-SY5Y cells. In this study, we further investigated whether the $PLA_2$ isoforms differently regulate the muscarinic receptor-mediated sAPP releas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ctivation of $PLA_2$ isoforms and CCE mediated by muscarinic receptors in SH-SY5Y cells. (omitted)

  • PDF

유기화 점토, 작용기화 그래핀 및 유기화 점토/작용기화 그래핀 복합체 등의 필러를 사용한 Poly(lactic acid) 나노 복합체의 물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Nanocomposites with Various Fillers: Organoclay, Functionalized Graphene, or Organoclay/Functionalized Graphene Complex)

  • 권기대;장진해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232-239
    • /
    • 2014
  • 용액 삽입(solution intercal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나노 필러들을 포함하는 poly(lactic acid)(PLA) 나노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유기화 반응 처리된 벤토나이트 점토(NSE), 옥타데실아민(ODA)을 산화 그래핀(GO)에 반응한 ODA-GO, 그리고 유기화 처리된 벤토나이트와 ODA-GO의 복합체인 NSE/ODA-GO 등이 PLA 복합체 필름을 얻기 위한 나노 필러로 각각 사용되었다. 3가지 나노 필러들은 0-10 wt%의 함량으로 사용되었고 PLA 복합체 필름들의 열적-기계적 성질, 모폴로지, 산소 투과도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얻은 결과에서 NSE/ODA-GO 복합체는 약간 뭉쳐있었지만, NSE나 ODA-GO 등의 필러들은 PLA 매트릭스에 분산이 매우 양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PLA 복합체 합성을 위해 사용된 3가지 필러 중에서, 열적 안정성에서는 NSE/ODA-GO가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기계적 인장 성질이나 산소 차단성에서는 각각 NSE와 ODA-GO가 가장 우수하였다.

D609, an Inhibitor of Phosphatidylcholine-specific Phospholipase C, Inhibits Group IV Cytosolic Phospholipase A2

  • Kang, Mi Sun;Jung, Sung Yun;Jung, Kwang Mook;Kim, Seok Kyun;Ahn, Kyong Hoon;Kim, Dae Ky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5호
    • /
    • pp.481-485
    • /
    • 2008
  • As an inhibitor of phosphatidylcholine-specific phospholipase C (PC-PLC), D609 has been widely used to explain the role of PC-PLC in various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This study shows that D609 inhibits group IV cytosolic phospholipase $A_2$ ($cPLA_2$), but neither secretory $PLA_2$ nor a $Ca^{2+}$-dependent $PLA_2$. Dixon plot analysis shows a mixed pattern of noncompetitive and uncompetitive inhibition with $K_i=86.25{\mu}M$ for the $cPLA_2$ purified from bovine spleen. D609 also time- and dose-dependently reduces the release of arachidonic acid from a $Ca^{2+}$- ionophore A23187-stimulated MDCK cells. In the AA release experiment, $IC_{50}$ of D609 was ${\sim375}{\mu}M$, suggesting that this reagent may not enter the cells easily.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inhibitory effects of D609 on various cellular responses may be partially attributable to the inhibition of $cPLA_2$.

Platelet-activating Factor에 의한 급성폐손상에서 호중구성 산화성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Cytosolic Phospholipase A2 활성도의 변화 (Cytosolic Phospholipase A2 Activity in Neutrophilic Oxidative Stress of Platelet-activating Factor-induced Acute Lung Injury)

  • 권영식;현대성;이영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6호
    • /
    • pp.497-506
    • /
    • 2007
  • 연구배경: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병인론에 관여하는 PAF의 역할이 다양하고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PAF의 또 다른 작용의 가능성, 즉 $cPLA_2$의 활성화(retrograde activation of $cPLA_2$ by PAF)의 가능성을 검사하고자 하였다. 즉, $cPLA_2$의 활성화에 따른 염증성 지질분자의 생성이 산소기의 생성과정을 증폭시키고 이 때 생성된 PAF가 역으로 $cPLA_2$를 활성화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고안되었다. 방 법: 흰쥐에서 급성폐손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5{\mu}g$의 PAF를 0.5 ml의 0.25% bovine serum albumin 용액과 혼합한 뒤 기도 내로 직접 분무하거나 0.5 ml의 4.5 mM의 과산화수소를 기도 내로 분무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0.5 ml의 생리적 식염수를 기도 내로 분무하였다. 5 시간 후에 단백누출지수 측정, 폐장의 MPO 활성도 측정, 폐포 세척액 내의 호중구 산정, CINC 측정, NBT 및 cytochrome-c 환원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폐장 및 호중구에 서의 $cPLA_2$ 활성도의 측정 및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학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PAF투여 후 단백누출지수, MPO, BAL내의 호중 구의 수 및 CINC의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NBT및 cytochrome-c환원검사의 결과 PAF는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분리된 사람의 호중구에서도 산소기의 생성을 현저히 증가시켰 다. 동시에 PAF는 분리된 호중구 및 폐장의 $cPLA_2$의 활성도도 증가 시켰다. 폐장 내로 투여한 과산화수소는 폐장의 $cPLA_2$활성도를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시켰다. 결 론: $cPLA_2$의 활성화에 따라 생성된 PAF는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을 증가시켜 폐장 내의 산화성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동시에 이때 생성된 산화기는 $cPLA_2$를 활성화시키며 PAF 또한 $cPLA_2$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PAF가 급성호흡 곤란증후군의 병인론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용융전기방사를 이용한 PLA/TiO2 나노섬유의 개발 (Fabrication of PLA/TiO2 nanofibers using melt-electro-spinning)

  • 황지영;김희진;박노형;허훈;박춘근;윤종원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4-128
    • /
    • 2011
  •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웹은 높은 비표면적 및 다공성으로 약물전달시스템에 적용하고자 널리 연구 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적합성을 가진 생분해성 고분자 Poly(lactic acid)(PLA)와 생체안정성을 가지는 재료인 $TiO_2$를 이용하여 복합소재를 제작하였다. 인체에 유해한 용매인 chloroform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복합화를 위하여 용융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PLA/$TiO_2$ web을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와 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FE-TEM)을 이용하여 섬유의 모양을 확인하였고, X-ray diffractometer(XRD)판 이용하여 PLA/$TiO_2$ web의 결정구조를 분석하였다.

Prevalence and Genotype Distribution of Human Papillomavirus among Women from Henan, China

  • Wang, Xiao-Chuan;Sun, Liang-Qi;Ma, Li;Li, Hua-Xin;Wang, Xiu-Li;Wang, Xin;Yun, Tian;Meng, Nian-Long;Lv, Da-L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333-7336
    • /
    • 2014
  •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ion has been implicated as a causative of cervical cancer. In the present study, a total of 578 samples from females attending the gynecological outpatient clinic in Henan province, China, were collected and the HPV genotypes were detected by gene chip and flow-through hybridization. Overall, 44.5% (257/578) females were found to be HPV DNA positive, and the high risk HPV (HR-HPV) rate was 35.1% (203/578). The first peak of HR-HPV infection appeared in the >60 year-old group (55.0%), and the second was within the 51-55 year-old group (50.0%) (${\chi}^2$=19.497, p<0.05). HPV 16 was the most prevalent genotype (9.2%), followed by HPV 52 (7.8%), HPV 6 (6.9%), HPV 11 (5.9%) and HPV 42 (5.0%). The single type HPV infection was 30.4%, with the five majority prevalent genotype HPV 16 (16.5%), HPV 52 (14.3%), HPV 6 (12.6%), HPV 42 (8.6%), HPV 31 (5.1%). The multiple-type HPV infections were 14.0%, and HPV 16 was the most prevalent type (29.6%), followed by HPV 52 (24.7%), HPV 6 (22.2%), HPV 11 (22.2%), HPV 42 (17.3%) and HPV 39 (17.3%).

충격보강제에 의한 PLA stereocomplex의 강인화 연구 (Toughening of PLA stereocomplex by Impact modifiers)

  • 남병욱;이범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919-925
    • /
    • 2012
  • 광학 이성질체인 PLLA와 PDLA를 전 조성에서 블렌드하여 PLA stereocomplex(SC)를 제조하였고 DSC를 통해 PLLA matrix안의 SC결정 형성 정도를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PLA SC blend의 PDLA 함량이 SC 결정 생성 정도에 영향을 주며 PLLA/PDLA=50/50의 조성일 때 가장 많은 SC 결정이 생성되었다. 더 나아가 고유의 낮은 충격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PLLA/PDLA=92/8, 85/15 조성에서 충격보강제(Impact modifiers)를 도입하였다. 제조된 PLA SC/Impact modifiers의 열적기계적 성질은 DSC, HDT, Izod Impact tester, UTM을 통해 측정하였다. DSC 측정 결과 PLA SC 결정은 Strong120(Impact modifier)가 10-20wt% 도입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반면에 Elvaloy가 도입될 때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HDT의 값은 PDLA의 도입에 따라 급격하게 $100^{\circ}C$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Strong120과 Elvaloy가 도입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국 Toughening된 PLA SC에서 10wt%의 Impact modifier를 blend하여 가장 최적의 충격강도와 굴곡탄성율을 갖는 물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