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2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32초

Phospholipase $A_2(PLA_2)$ 약침(藥鍼)이 중대뇌동맥폐색(中大腦動脈閉塞)으로 유발(誘發)된 흰쥐의 신경손상(神經損傷) 보호(保護) 효과(效果)에 미치는 영향 (The Protective Effect of Phospholipase $A_2(PLA_2)$ Herbal-acupuncture against the Neuronal Damage Induc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ulsion(MCAO) in Rats.)

  • 김성민;정태영;임성철;서정철;김미려;양재하;한상원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1권3호
    • /
    • pp.89-96
    • /
    • 2004
  • Objectives : In order to prove the effect of Phospholipase $A_2(PLA_2)$ Herbal-acupuncture, this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by using rats that had neuronal damage due to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ulsion(MCAO). Methods : Microdialysis probes were implanted into the coordinate of striatum of anesthetized rats which consist of sham-operated 8 rats, MCAO-operated 8 rats and $PLA_2$ Herbal-acupuncture administrated 8 rats before MCAO operating. The $PLA_2$ Herbal-acupuncture(0.5mg/kg) was administrated to rats 30 minutes before having an operation causing the MCAO. The surgical excision lead the cross resected brain to the acute ischemic state. The brain was sliced in 2mm thickness and stained with cresyl violet buffer for the measurement of cerebral infarcted area and volume. Results : Based on the result of the tissue inspection for the cerebral ischemic cell, $PLA_2$ Herbal-acupuncture significantly protect neurocytes. Conclusions : We suggest $PLA_2$ Herbal-acupuncture produces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neuronal damage induced by MCAO. Therefore, $PLA_2$ Herbal-acupuncture may prevent delayed neuronal death(DND) in selectively vulnerable focal areas of the brain effectively.

  • PDF

폴리에틸렌옥사이드가 PLA/PBAT 블렌드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O Additions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rieties of PLA/PBAT Blends)

  • 장현호;권상우;엄유준;유승우;박수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3-98
    • /
    • 2020
  • PEO 첨가에 따른 PLA/PBAT 블렌드 필름의 물성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PEO 농도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적특성, 열적특성 및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EO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LA/PBAT/PEO 블렌드 필름의 인장강도는 소폭 감소하지만 열안정성은 증가하였다. PEO 2% 첨가군은 다른 샘플들에 비해 인장강도 감소폭 대비 높은 파단연신율(46.8%) 개선 효과를 보였다. 반면, PEO 4% 수준에서 PEO 무첨가와 유사한 파단연신율과 인장강도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열특성 분석을 통해 PLA/PBAT 블렌드 내 낮은 혼화성으로 발생한 두개의 Tm 피크가 PEO 첨가로 상용성이 증가하여 피크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H-NMR 분석을 통해 블렌드 내의 PEO의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PEO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 인장강도 유지와 파단연신율을 확보하기 위한 PEO의 분산성 향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Large Cohort Associ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of PLA2G4A Gene with White Blood Cell Counts in Korean Population

  • Jung, Suk-Yu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75
    • /
    • 2012
  • The PLA2G4A catalyzes the hydrolysis of membrane phospholipids to release arachidonic acid, which is metabolized into lipid-based cellular hormones that regulate inflammatory response. The circulating blood cell numbers can be influenced by stress, infection or inflammation. Quantitative blood cell count traits analysis for the 19 SNPs in the PLA2G4A gene in the Korean Association Resource (KARE) cohort (7551 subjects) was performed. The only one SNP (rs10752979) in the all blood cell count was satisfied with the Bonferroni corrected P-value (<0.00263). Furthermore, 6 of the 19 SNPs in the PLA2G4A gene showed a weak or moderate association with blood cell count (P-values: 0.0048~0.042), suggesting the clue of an association between the PLA2G4A gene and blood cell count, especially white blood cell count. This study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genetic basis of blood cell count related with reaction of infection.

Biomass-based 고분자 블렌드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mass-based Polymer Blend Films)

  • 이수;진석환;이재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5-101
    • /
    • 2012
  • 완전 생분해성 고분자 블렌드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치환도가 다른 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에 5 - 50%의 저분자량 폴리락타이드(PLA)를 블렌딩하였다. 이 때 사용된 각각의 고분자는 10%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 혼합용제에 녹여서 점도가 같은 조건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각 조성의 블렌드필름의 표면 모폴로지와 열적 성질,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화학적 구조는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전자현미경을 통한 표면 분석 결과 5% 이하의 폴리락타이드를 함유한 블렌드필름은 상분리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20% 이상이 함유된 경우 상분리가 매우 심각하였다. 또한 블렌드필름의 인장강도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늘어날수록 TAC/PLA의 경우 $820kg_f/cm^2$ 및 DAC/PLA의 경우 $600kg_f/cm^2$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Inhibition of Phospholipase $A_2$ Diminishes the Acute Alveolar Injury Induced by $Interleukin-1{\alpha}$

  • Lee, Young-M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1호
    • /
    • pp.71-78
    • /
    • 1997
  •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role of phospholipase $A_2$($PLA_2$) in interleukin-l (IL-l) induced acute lung injury, mepacrine was tried to inhibit $PLA_2$ in IL-l induced ARDS rats. For confirmation of acute lung injury by IL-l, and to know the role of neutrophils in this injury, lung leak index, lung myeloperoxidase(MPO), number of neutrophils and protein content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BAL) and wet lung weight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lung $PLA_2$ was measured to know the effect of IL-l on $PLA_2$ activity. Pulmonary surfactant was also measured for an investigation of type II alveolar cell function. Neutrophil adhesion assay was performed to know the effect of $PLA_2$ inhibition in vitro with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For precise location of injury by IL-l, morpholgical study was performed by electron microscopy. Five hours after instillation of IL-l (50 ng/rat), lung leak index, protein content, number of neutrophils, lung MPO and wet lung weigh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ive hours after IL-l instillation lung $PLA_2$ activit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increased surfactant release was observed in IL-l induced ARDS rats' BAL. In contrast, in rats given mepacrine and IL-l, there was decrease of acute lung injury i.e. decrease of lung leak index, wet lung weight, protein content, number of neutrophils in BAL and decreased lung MPO activity. Mepacrine decreased surfactant release also. Interestingly, inhibition of $PLA_2$ decreased adhesion of human neutrophils to HUVEC in vitro. Morphologically, IL-l caused diffuse necrosis of endothelial cells, type I and II epithelial cells and increased the infiltration of neutrophils in the interstitium of the lung but after mepacrine treatment these pathological findings were lessened. On the basis of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LA_2$ has a majo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cute lung injury mediated by neutrophil dependent manner in IL-l induced acute lung injury.

  • PDF

용융방사에 의한 생분해성 고강도 PLA 섬유 제조 공정 상 주요 공정 변수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High Performance PLA Fiber using Process Parameters)

  • 정우창;김삼수;이상오;이재웅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7-20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optimal spinning conditions for PLA (Polylactic acid) as a fiber forming polymer. According to the melt spinning test results of PLA, the optimal spinning temperature was 258℃. However, it needs to note that relatively high pack pressure was required for spinning at 258℃. At an elevated temperature, 262℃, mono filament was broken easily due to hydrolysis of PLA at a higher temperature. In case of fiber strength, it was confirmed that the draw ratios of 2.7 to 3.3 were optimal for maximum strength of melt spun PLA. Above the draw ratio, 3.3, the strength of the PLA fibers was lowered. It was presumed that cleavage of the PLA polymer chain over maximum elongation. The heat setting temperature of GR (Godet roller) showed that the maximum strength of the PLA fibers was revealed around 100℃. The degree of crystallinity and the strength of the PLA fibers were decreased above 100℃. The optimal take-up speed (Spinning speed) was around 4,000m/min. Thermal analysis of PLA showed 170℃ and 57℃ as Tm (melting temperature) and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espectively.

PLA/LDPE 블렌드의 상용화 (Compatibilization of PLA/LDPE blends)

  • 이무성;김영필;이기영;김영대;최창남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3-324
    • /
    • 2003
  • 생분해성 고분자 중에서 폴리락타이드 (poly(1-lactide), PLA)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l,2] 그러나 상온에서 딱딱하고, 쉽게 가수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인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이런 단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포장재료로 사용할 목적으로 PLA에 저밀도폴리에틸렌 (LDPE)를 혼합하여 PLA/LDPE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PLA/LDPE 블렌드는 비상용성이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반응형 상용화제 첨가효과를 연구하였다. (중략)

  • PDF

장의 허혈-재관류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산화성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group II phospholipase $A_2$의 역할 (Role of Group II Phospholipase $A_2$ in the Pulmonary Oxidative Stress of the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Gut Ischemia-Reperfusion)

  • 전상훈;김근;이상철;김성은;이영만;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01-510
    • /
    • 2002
  • 배경: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은 다양한 병인에 의해 발병하지만 그 병인론이 아직까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장의 허혈-재관류시에 발병하는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에서 group II phospholipase $A_2$ ($PLA_2$)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특히 폐장내의 호중구의 침윤과 더불어 유발되는 산화성 스트레스에서 group II $PLA_2$의 역할을 규명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체중 300g 내외의 Sprague-Dawley 종 흰쥐에서 급성 폐손상을 유발하기 위하여 상장간막동맥을 60분간 차단한 후 120분간 재관류를 시행하였다. Group II $PLA_2$가 폐장의 손상, 특히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호중구의 작용과 연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폐누출지수, 폐장내 myeloperoxidase의 활성도, 폐포세척액내의 단백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장의 허혈-재관류에 따른 폐장내 $PLA_2$ 활성도의 변화를 검사하였고, 호중구에서의 산소기 형성에 미치는 group II $PLA_2$의 역할은 분리된 호중구에 rutin, manoalide, scalaradial과 같은 group II $PLA_2$ 억제제를 이용하여 산소기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함으로써 알아보았다. 장의 허혈-재관류에 따른 폐장 조직의 산화성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광학현미경법 및 cerium chloride를 이용한 세포화학적인 전자현미경법을 이용하여 폐장내 산소기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장의 허혈-재관류 후 폐장내 호중구의 침윤과 함께 급성 폐손상이 유발되었고, 폐장내 myeloperoxidase 활성도, 폐누출지수 및 폐세척액내의 단백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폐장 및 장에서의 group II $PLA_2$ 활성도는 허혈-재관류 후 폐장, 장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rutin에 의해서 현저히 감소하였다(p<0.001). 사람의 혈액에서 분리된 호중구에서의 산소기 생성을 cytocrhome-c reduction assay를 통해 알아본 결과 rutin, manoalide, scalaradial 같은 group II PLA, 억제제에 의해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허혈-재관류 후 광학현미경적 소견은 폐장내 염증세포의 침윤 및 모세혈관 주위의 부종이 관찰되었으나 rutin에 의해 이러한 변화는 억제되었다. $CeCl_3$을 이용한 세포화학적 전자현미경 실험에서 허혈-재관류 후 과산화수소의 생성이 증가하고 rutin에 의해서는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Croup II $PLA_2$의 억제는 침윤된 호중구로부터 산화기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급성 폐손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group II $PLA_2$는 장 허혈-재관류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의 산화성 스트레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REGULATION OF MUSCARINIC RECEPTOR-MEDIATED sAPP RELEASE BY PLA2- RELATED PATHWAYS.

  • Cho, Hye-Won;Kim, Hwa-Ju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98-199
    • /
    • 2003
  • Chronic inflammatory processes are associated with pathology of Alzheimer's disease(AD). The expression of both cyclooxygenase-2(COX-2) and phospholipase A2(PLA2) appears to be strongly activated during AD,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inflammatory gene pathways as a response to brain injury. Stimulation of heterotrimeric G protein-coupled receptors including muscarinic receptors activates cytosolic PLA2 and receptor-mediated activation of PLA2 generates free fatty acids (i.e., arachidonic acid). (omitted)

  • PDF

특집 - 저탄소 고효율 친환경 식품포장재 (Low Carbon and High Efficiency Food Packaging Materials)

  • 박형우
    • 월간포장계
    • /
    • 통권222호
    • /
    • pp.58-63
    • /
    • 2011
  • 포장재별로 처리한 콩나물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중량 감소율은 OPP필름에 비해 PLA 필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0.025% 이하의 감소율로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수분함량의 경우 P3 포장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가장 적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총균수 변화에서는 P2, P3 포장구가 가장 적은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외관상태에서 OPP 포장구는 봉투 개봉시 모든 포장구에서 부패취가 발생하였다. 비타민C 함량 변화는 PLA2 포장구가 변화율이 적었으며, PLA3 필름구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으며, 기호도 조사에서는 PLA2 포장구가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OPP 포장구 보다는 PLA 포장구의 변화가 적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PLA2와 PLA3 필름이 콩나물 저장에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