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technology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2초

ZnSe 단결정내에서의 전위거동 (Dislocation behavior in the ZnSe crystal)

  • 이성국;박성수;김준홍;한재용;이상학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60-566
    • /
    • 1997
  • Seeded vapor transport법에 의해 성장된 ZnSe 결정내에서 전위거동을 살펴보았다. (111)과 (100) ZnSe wafer의 etch pit 형상을 관찰하였고 성장된 결정이 높은 전위밀도를 가지면 전위들이 lineage와 cellular 두 가지 형태로 배열됨을 알았다. Seed로부터 측방성장된 부위에서 전위밀도의 변화는 없었으나 수직 성장방향으로는 전위밀도가 감소하였고, 같은 wafer내에서 전위밀도는 wafer center 지역의 전위밀도가 edge부위의 전위밀도 보다 낮았다. 성장된 결정의 평균 전위밀도는 $4{\times}10^4 /\textrm{cm}^2$이었다.

  • PDF

OCT에 의한 다층 박막의 Spot Marking 분석 (Investigation of Spot Marking in Multilayer Thin Films using OCT)

  • 신용진;김현진;김영섭;박소희
    •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18
    • /
    • 2004
  • We propose a novel application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to monitor pit formation in laser irradiated optical storage materials. A multilayer optical storage recordable compact disk, is composed of multiple layers, each of different structure. Disks were irradiated with aQ-Switched Nd:YAG laser with an energy of 373 mJ. Post-irradiated disks were evaluated by OCT and those images were compared with optical microscopy. Our results indicate that OCT is a useful instrument to investigate pit formation in multilayer optical storage disks and might also provide information to optimize optical memory technology.

  • PDF

초음파를 이용한 전처리가 알루미늄의 전기화학적 에칭 및 정전용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Ultrasound During Pretreatment on the Electrochemical Etching of Aluminum and Its Capacitance)

  • 정인수;탁용석;박강용;김현기;김성수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37-42
    • /
    • 2011
  • Aluminum was electrochemically etched in acid solution and the surface area was magnified by the formation of etch pits. Etched aluminum was covered with a compact and dense dielectric oxide film by anodization and applied to the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electrode. Capacitance of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is closely related with surface area, which depends on size and number of etch pits. Size of etch pits need to be controlled because inside of the pits can be buried by the formation of dielectric oxide film. In this work, the effect of ultrasound pretreatment on the aluminum etch pit formation and capacitance were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etching effect on pit size and capacitance was studied.

A Study on the Pit Excavation Volume Using Cubic B-Spline

  • Du-Yeoul Mu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9-24
    • /
    • 2002
  • 항만공사같은 대규모의 매립공사에서 토공작업은 총공사비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경제적인 시공을 위하여 절.성토량은 정확하게 계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어진 3차원 표고데이터를 지나는 스플라인 곡면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함으로써 좀더 정확한 토공량 계산식의 결정을 목표로 한다. 스플라인에 대한 흥미로운 수학적 결과는 무척 많지만 본 연구에서는 스플라인 곡면을 기술하고 또, 그것을 이용하여 토공량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개발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수학적 내용을 기술하며 그 수치적 계산결과는 Mapl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인 선형점고법, Chamber법, Chen과 Lin의 이론을 컴퓨터프로그램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과 정확도를 비교, 분석한다. 아울러 각 이론식의 결과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하여 x, y 함수식을 이용한 실험지형을 인위적으로 만들었으며 그 때의 값을 기준값으로 하였다. 따라서 실험수치지형에 대한 기준값이 절대값에 가까우므로 각 토공량식들의 오차규명을 보다 명확하고 확실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한요소법에 의한 Bi2223 고온 초전도 선재의 다심 인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lti-Filament Drawing of Bi2223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Wire by FE Method)

  • 박동인;김병민;오상수
    • 소성∙가공
    • /
    • 제13권1호
    • /
    • pp.78-83
    • /
    • 2004
  •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on materials(Bi2223) possess electrical/electronic and magnetic properties. Because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on materials is a ceramic powder, that cannot be produced singlehandedly. So Ag sheathed Bi-2223 wire was produced by drawing process using powder-in-tube(PIT) method. This superconductor has many difficulties to produce. The main difficulty is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powder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g sheath. And by these properties, Bi2223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which has a single filament drawing process and multi-filament drawing process, has a defect like sausaging and bursting at a center. This study analyzed multi-filament drawing process by FEM, and a defect generated during multi-filament drawing was studied by FEH. Specially, in order to prevent a bursting at a center,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that inserts a pure Ag at a center of multi-filament wire

The Fabrication of MgB$_{2}$/SUS Tapes by PIT Process

  • Song, K.J.;Lee, N.J.;Jang, H.M.;Ha, H.S.;Ha, D.W.;Oh, S.S.;Sohn, M.H.;Kwon, Y.K.;Ryu, K.S.;Joo, J.H.
    • 한국초전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전도학회 2001년도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Vol.XI
    • /
    • pp.62-62
    • /
    • 2001
  • PDF

A Study on the Pit Excavation Volume Using Cubic B-Spline

  • Mun, Du-Yeoul
    • International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Speciallssue:Selected Papers
    • /
    • 제5권1호
    • /
    • pp.40-45
    • /
    • 2002
  • The calculation of earthwork plays a major role in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s of many civil engineering projects, such as seashore reclamation; thus, improving the accuracy of earthwork calculation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finding a cubic spline surface with the free boundary conditions, which interpolates the given three-dimensional data, by using B-spline and an accurate method to estimate pit-excavation volume. The proposed method should be of interest to surveyors, especially those concerned with accuracy of volume computations. The mathematical models of the conventional methods have a common drawback: the modeling curves form peak points at the joints. To avoid this drawback, the cubic spline polynomial is chosen as the mathematical model of the new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of finding a spline surface, which interpolates the given data, and an appropriate method to calculate the earthwork. We present some computational results that show the proposed method, of the Maple program, provides better accuracy than the method presented by Chen and Lin.

  • PDF

선박용(船舶用) 프로펠러의 부식(腐蝕)피트 보수후의 강도의 개선 (An Improvement of the Strength of Marine Propeller Materials after Corrosion Pit Repairing)

  • 윤한용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89-94
    • /
    • 2008
  • Marine propell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ship, it must be taken care of design and maintenance of it. It is inevitable that corrosion pits have occurred on the marine propeller. If corrosion pits have occurred on the blades, they have been repaired ordinary by simple welding methods in shipyards. It must be that the strength is degraded in this process. In this paper, we represent the improvement method of fatigue strength degraded after repairing pits.

사용후핵연료 지하 처분장 배치를 위한 처분공 및 처분터널 간격 분석 (Analysis of the Disposal Tunnel and Disposal Pit Spacing for the Spent Fuel Repository Layout)

  • 이종열;이양;최희주;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93-400
    • /
    • 2006
  • 고준위폐기물 심지층 처분장 설계시 주요한 고려인자는 완충재의 건전성 유지를 위하여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완충재의 온도가 $100^{\circ}C$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고준위폐기물 심지층 처분장 배치를 위하여 처분터널 및 처분공 간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준 처분개념을 바탕으로 사용후핵연료의 냉각기간 및 처분터널/처분공 간격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처분시스템에서의 열적 안정성 해석 및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처분장 열적 요건을 만족하는 배치는 처분터널의 간격 보다는 처분공 간격을 조절하여 배치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지층 처분시설 설계시 활용될 것이다. 향후, 정확한 부지특성 자료를 통한 상세한 분석이 수행되면, 분석결과의 불확실성을 줄일 것이다.

  • PDF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노천광산 개발지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ite of an Open-pit Min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 김성보;김두표;백기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36-142
    • /
    • 2021
  • 산림 개발은 대규모의 지형변화와 환경 훼손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토공량 산출과정에서 사람이 직접 현황측량을 수행하게 되면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 직접 접근하지 않아도 공간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드론 사진측량을 산림개발지역에 적용하여 정확도 및 토공량, 산지복구 계획 여부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드론 사진측량으로 정사영상 및 DSM(Digital Surface Model)을 제작하여 검사점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RMSE(Root Mean Square Error)가 평면에서 0.120 m, 표고에서 0.150 m로 나타나 1:1,000 수치지도 묘사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였다. 또한, 토공량 비교결과 드론 사진측량이 기존의 측량방법보다 13.0% 더 많은 토공량을 산출하였는데 이는 드론 사진측량이 더 세밀한 지형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분석되어 검증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공간정보를 이용한 산지복구 수행여부 판단 결과 낙석 방지망 및 식생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주기적으로 영상을 취득하여 지형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면 산림 개발에 드론 사진측량의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