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PTONE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3초

Optimization of Streptococcus macedonicus MBF10-2 Lysate Production in Plant-based Medium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Andyanti, Dini;Dani, Fatin M.;Mangunwardoyo, Wibowo;Sahlan, Muhamad;Malik, Amaril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20-233
    • /
    • 2019
  • Bacterial lysates have become a common ingredient for natural health care. Lactic acid bacteria (LAB) could serve as potential candidates for lysate production: the lactic acids produced by LAB have been utilized for their moisturizing, antimicrobial, and rejuvenating effects, while other substances provide topical benefits and health effects for the skin. Our study aimed to obtain lysate from a LAB S. macedonicus MBF 10-2 through an optimized fermentation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train MBF10-2 was cultivated in a 2L fermenter tank in de Man Rogosa and Sharpe (MRS) medium and in plant-based peptone modified MRS, i.e. Soy-peptone and Vegitone. The duration and the medium composition (dextrose and soy peptone or proteose peptone) were adjusted to obtain an optimum production of cell lysate.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employed for Design Expert 7.0.0 by adjusting 3 factors: dextrose (1%, 1.5%, 2%, 2.5%, 3%), soy or proteose peptone (0.5%, 0.75%, 1%, 1.25% and 1.5%), and duration of fermentation (8, 10, 12 14, and 16 h for MRS-Soy peptone and 15, 17, 19, 21, and 23 h for MRS Vegitone). Bacteriocin-Like Inhibitor Substance activity of lysate and pH were used as indicators. The optimum condition for lysate production using MRS Soy Peptone and Vegitone are as follows: dextrose concentration 2.5%, plant-based peptone 1.25%, while optimum fermentation duration were 11.18 h (MRS Soy Peptone) and 17 h (MRS Vegitone) with a starter concentration of 10% at $OD_{600nm}$ $0.2{\pm}0.05$. However, the standard MRS medium produced better quality lysate compared to MRS plant-based peptones.

대두 발효물(Bio-Peptone®)의 광노화 억제 효과 (Anti-photoaging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Bio-Peptone®))

  • 김은주;심명국;정아람;김애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7-36
    • /
    • 2019
  • 대두(Glycine max)는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 중 하나로,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심혈관질환, 비만 등에 효능이 있을 뿐 아니라 피부 개선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두 단백질을 유산균인 Lactobaillus Rhamnosus 균주에 의해 발효한 대두발효물의 광노화 예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자외선으로부터 기인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 및 콜라겐 생성, 티로시나아제 활성, 멜라닌 색소 생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대두발효물 처리군은 피부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으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억제하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 내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주름 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실험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멜라닌 색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대두발효물이 자외선으로부터 유도되는 주름, 색소 침착 등의 피부 손상을 예방하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대두 단백질 및 배아를 이용한 Bifidobacterium lactis BL740의 균체성장 및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생산를 위한 통계적 배지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e media contained soy proteins and hypocotyl for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lactis BL 740 and production of soy isoflavone aglycones)

  • 이충영;이윤복;이근하;박명수;황석연;홍승복;유영춘;유병연;김정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26-131
    • /
    • 2010
  • 대두가공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인 대두배아 및 대두 단백질을 이용하여 Bifidobacterium lactis BL740의 생균수 및 대두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생산 최대화를 위한 배지최적화를 수행하였고 이를 위하여 통계적 방법인 fractional factorial design (FFD) 및 central composite design(CCD)를 이용, 대두 유래 성분들이 포함된 배지 (S-medium)의 최적 조성물을 확언하였다. FFD의 경우 glucose, cellobiose, fructooligosaccharidde, soy peptone, soy protein, 대두배아를 이용 총 6가지 요소를 2수준에서 적용하였으며 이 중 soy protein, soy peptone 그리고 대두 배아가 B. lactis BL740의 균성장 혹은 대두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에 중요 인자로 확인이 되었다. FFD에서 확인된 3가지 인자를 CCD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균성장의 경우 최적의 배지조성함량이 soy peptone 29.55 g/L, soy protein 12.73 g/L, 대두 배아 130.67 g/L로 확인되었으며 비배당체 전환의 경우 soy peptone 1.25 g/L, soy protein 2.06 g/L, 대두 배아 60.02 g/L로 최적화 되었다.

증점제 생산을 위한 생물 반응기에 대한 연구 -Xanthomonas Campestris에 의한 Xanthan gum 생산에서 질소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Bioreactor for the Production of Viscosifier -A Study on Effect of Nitrogen Source on the Production of Xanthan Gum by Xanthomonas campestris-)

  • 김재형;이기영
    • KSBB Journal
    • /
    • 제6권4호
    • /
    • pp.369-377
    • /
    • 1991
  • Xanthomonas Campestris에 의한 Xanthan gum 생산에서 질소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Sodium glutamate를 질소원으로 채용한 xanthan gum 생산발효에서 세포 생산량에 대한 생산물 생성량, 세포 생산량에 대한 탄소원 소비량은 초기질소농도에 독립적이었다. 0.4-1.0g/L의 $S_o$범위에서 $B_s$${\beta}_s$는 상수를 보였고 sodium glutamate질소원과 peptone질소원 사이에서 질소원 차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Xanthan gum생산수율은 탄소/질소농도가 10-16일 때 최대값을 보였다. Peptone질소원은 sodium glutamate질소원보다 세포 성장에 더 효율적이다. Peptone만을 질소원으로 사용한 발효와 혼합질소원을 질소원으로 사용한 발효가 생산물 생산수율 및 발효시간이 유사하므로 xanthan gum생산시 혼합질소원을 질소원으로 사용할 경우 xanthan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 PDF

해수배지를 이용한 해양 미생물의 Linoleic acid 생성 특성 규명 (Characteristics of Linoleic Acid Production by Marine Fungi in Sea Water Media)

  • 김수정;박경원;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95-200
    • /
    • 2000
  • 네 종류의 질소원 yeast extract, sodium glutamate, peptone, tryptone과 각 질소원의 농도 및 포도당의 초기 농도가 해양 미생물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linoleic acid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초기 당 농도를 10 g/L로 하고 질소원으로는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때 균체 단위 질량에 대해 생성된 지질의 중량 분율이 최대값 0.302 mg/g를 나타내었으며, 균체에 대한 linoleic acid 중량 분율도 8%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생성속도는 질소원으로 peptone과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질소원으로 peptone과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질소원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2.5 배까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초기 당 농도가 증가하면 linoleic acid의 생산성은 상승하나 당 농도 30 g/L 이상에서는 그 상승폭이 대단히 완만하였다. 초기 당 농도가 30 g/L 경우 질소원으로 peptone을 사용하였을 때는 linoleic acid의 생산량이 200 mg/L,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때는 130 mg/L를 나타내었다. 질소원의 농도가 증가하면 균체 내에 생성되는 지질의 양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소원이 sodium glutamate인 경우 농도 1 g/L까지는 지질의 함량이 뚜렷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으나 농도 1.0 내지 2.0 g/L 이상에서는 질소원의 농도가 증가하면 지질의 생성량이 감소하였다.

  • PDF

피부 가려움증에 대한 대두(大豆) 발효물(Bio-Peptone)크림의 유효성 평가 : 무작위 배정, 양측 눈가림, 위약크림 대조, 평행 설계 연구 (Evaluate efficacy of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in pruritus :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clinical experiment study)

  • 안재현;정현아;김은주;김애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44
    • /
    • 2020
  • Objectives : The authors conducted randomized, Double-blinded, a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clinical experiment study to evaluate efficacy of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in pruritus. Methods : The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4 months from the date of IRB approval(May 26 in 2017) to Sept 2017. The experiment started by randomly distributing 25 subjects with pruritus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evening, for one week on itchy area. The effect of the produc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SS(Patient subjective score), moisture level by measuring skin moisture content(Corneometer)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Tewameter), and the Korean version of Skindex-29(index of quality of life improvement) before applying the cream, after applying the cream for one week and after stop applying the cream for one week. The control group conducted identical experimen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the control group applied placebo instead of the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Results : Pruritus, criterion of the first validation testing, indicates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tend to reduce pruritus compare to placebo, although the result is not statistically noticeabl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tion of prutitus, the second validation test was not discovered in both groups. Corneometer and life quality tend to be improved with soy cream than placebo, but not statistically effective and both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erms of Tewameter measurement. Conclusions : The result of clinical experiment didn't prove that the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pruritus than placebo, statistically. The clinical use of soybean product for pruritus requires further studies to be verified.

Acute Toxicity to Peptone Concentrations in the Polychaete Perinereis aibuhitensis under Laboratory Culture

  • Kang, Kyoung-Ho;Zhang, Litao;Ahn, Sam-Young;Kahng, Hyung-Yeel;Zhang, Zhifeng;Sui, Zhengh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3호
    • /
    • pp.205-209
    • /
    • 2011
  • Organic pollution causes eutrophication and dystrophication, which occur when excessive amounts of organic matter enters seawater. Eutrophication can contaminate sediment and harm aquaculture. Polychaeta species have been shown to restore eutrophic sediment. In this study, we used peptone to simulate a eutrophic environment and detect the levels at which eutrophication became toxic to the polychaete Perinereis aibuhitensis. Peptone concentrations were 0, 100, 200, and 500 mg/L. The median lethal concentrations were 950.35 mg/L at 48 h, 340.34 mg/L at 72 h, and 120.22 mg/L at 96 h, which are much higher than those of other aquatic species. Polychaeta species are highly tolerant of eutrophication. During the 15-day long-term experiment, sediment loss on ignition, as well as seawater total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all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However, $NH_4^+$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time. Perinereis aibuhitensis slowed the increment of $NH_4^+$ but could not prevent its increas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is polychaete is helpful in the recovery of seawater and sediment from eutrophication.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Lactobacillus plantarum과 Lactobacillus reuteri 의 유효 배지 성분의 탐색 (Screening of Effective Medium Composition for the Cultiv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reuteri Using Statistical Methods)

  • 김동운;조상범;김영화;이성대;정현정;김상호;조규호;사수진;김인철;원미영;김수옥;김수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75-581
    • /
    • 2012
  • 본 연구는 가축용 생균제로서 이용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reuteri$의 대량생산을 위한 경제적 최적 배지조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두 균주의 배양을 위한 배지성분 요인들은 유산균 배지로 알려진 MRS broth를 기준으로 하여, sucrose, glucose, molasses, yeast extract, corn steep liquor, soy peptone, dipotassium phosphate, manganese chloride, magnesium chloride, tween 80, sodium chloride, sodium acetate, ammonium citrate, sodium sulphate 및 ferrous sulphate 등 총 15가지를 선택하였다. 각 배지성분들이 각 균주들의 세포성장에 미치는 요인분석은 20개의 실험으로 구성된 Plackett-Burman design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L.$ $plantarum$의 성장에 있어서는 sucrose, glucose, molasses, yeast extract, corn steep liquor, soy peptone, sodium acetate, ammonium citrate 등이 긍정적인 효과(positive effect)를 나타내었다. $L.$ $reuteri$의 경우, yeast extract, soy peptone, $K_2PHO_4$, tween 80에서 수준간의 격차가 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두 가지 균주들에서 얻어진 표준화된 통합적 효과의 주 효과를 분석한 결과, sucrose, yeast extract, soy peptone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L.$ $plantarum$$L.$ $reuteri$ 두 균주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효 배지 성분들로 sucrose (20.0 g/l), glucose (5.0 g/l), soy peptone (11.0 g/l), yeast extract (5.0 g/l), $K_2PHO_4$ (0.2 g/l), $CH_3COONa$ (2 g/l) 및 $MgCl_2$ (0.02 g/l)를 선택하였다.

Effect of glucose and nitrogen sources on production of gellan

  • 임성미;이지현;김성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18-421
    • /
    • 2001
  • The gellan was produced by Pseudomonas elodea ATCC 31461 under aerobic condition. Gellan provides various functionalities such as gelling, suspending, stabilizing, emulsifying and binding properties in aqueous system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glucose concentration and nitrogen sources concentration, bacto peptone and $NH_4NO_3$, on the cell growth and the production of gellan were evaluated. The maximum specific yield (g gellan/g cell) of 2.22 was obtained at 1.0% of glucose. Bacto peptone increased cell growth. And nitrogen limitation was essential for higher production of gellan. The highest cell and gellan production were abtained at 0.5 g/${\ell}$ of bacto peptone without $NH_4NO_3$.

  • PDF

구연산 발효에 관한 연구 (제 1 보) 균주선정 및 배지 개량 (Studies on the Citric Acid Fermentation (Part 1) Strain Screening and Medium Improvement)

  • 이상선;박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61-165
    • /
    • 1978
  • 자연계에서 유기산을 생성하는 균주 11 군주를 분리하여 그 중에 구연산 생성균 1종을 선정하여, 동정한 결과 Aspergillus niger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로 500ml 삼각 flask에 Sakaguchi 배지 100ml를 넣고 3$0^{\circ}C$에서 발효한 결과 구연산이 17g/ι가 생성되었다. 또한 Sakagnchi 배지를 개량한 결과 즉 배지적응, peptone첨가, 통기 효과, methanol첨가 및 포도당 첨가 결과 구연산이 35g/ι가 생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