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CA cycl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1초

향토산업육성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한 PDCA Cycle의 적용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DCA Cycle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Promotion Project for Local Industry)

  • 손은일;호시노 사토시;송정수
    • 농촌계획
    • /
    • 제19권2호
    • /
    • pp.139-148
    • /
    • 2013
  • This study verified for the necessity fo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outcomes resulting from the local industry promotion project in many respects. To analyze the operation planning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local industry promotion project, this study redesigns the so-called PDCA(Plan${\rightarrow}$Do${\rightarrow}$Check${\rightarrow}$Act) model which is also known as Deming Cycle and verifies some hypotheses. To accomplish study purposes, 169 response samples from 85 project groups which drive the local industry promotion project were verified using SPSS 1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ing phase and the implementation phase.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ementation phase and completion of the project phase. Thir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ing phase and completion of the project phase. Finally, the implementation phase w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ing phase and completion of the project phas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PDCA기반 CIPP 모형을 적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College with the Application of CIPP Model Based on PDCA)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15-2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문헌 고찰과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 도출 및 전문대학 직업교육에 적합한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평가 모형을 적용한 유아교육과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핵심내용으로 학과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사행정적인 절차로서 PDCA의 절차를 활용하고, PDCA 평가(C) 단계에서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다수 활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 모형인 CIPP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며, 구성원들의 역할 및 질 문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다양한 기관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사업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A Study of the PDCA and CAPD Economic Designs of the $\bar{x}$ Control Chart

  • Sun, Jing;Tsubaki, Michiko;Matsui, Masayuk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6권1호
    • /
    • pp.11-21
    • /
    • 2007
  • The PDCA (Plan, Do, Check and Act) cycle is often used in the field of quality management. Recently, business environments have become more competitive, and the due time of products has shortened. In a short production run process, to increase efficiency of management, the necessity for distinguishing the PDCA design that starts with PLAN and the CAPD design that starts with CHECK has been clarified. Starting from Duncan (1956),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apers dealing with the economic design of control charts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on run. Some authors (Gibra, 1971; Ladany and Bedi, 1976; etc.) have studied the economic design for finite-length runs; other authors (Crowder, 1992; Del Castillo and Montgomery, 1996; etc.) have studied the economic design for short runs. However, neither the PDCA nor the CAPD design of control charts has been considered. In this paper, both the PDCA and CAPD designs of the $\bar{\x}$ chart are defined based on Del Castillo and Montgomery's design (1996), and their mathematical formulations are shown. Then from an economic viewpoint, the optimal values of the sample size per each sampling, control limits width, and the sampling interval of the two designs are studied. Finally, by nume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key parameters and the total expected cost per unit time, the comparisons between the two designs are considered in detail.

PDCA Cycle적용을 통한 건설현장 품질관리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Quali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 through PDCA Cycle)

  • 백인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9-56
    • /
    • 2008
  •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s which are the diversity of customer requests and the multi-function of buildings, A construction company's business has converted from the producer-oriented approach to the consumer-oriented approach. Therefore, each construction company is continuously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as a way of corresponding to customer needs in these changing situations. The quality is one of the main management targets which judge the success of a project along with the schedule, the cost and the safety. As construction companies execute the quality management which they aimed at, it should be completed within the optimum schedule and the limit of the budget.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to complete a project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is the systematic method to perform the project goals such as the quality improvement, the cost saving and the safety management, which organically operate one another, by procuring the manpower, the material and the machine in the right time. Specially,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ased on the construction site, the establish of systematic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which can effectively correspond sudden changes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environment, is essential to maximiz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On top of that, the necessity of the quality management method is increasing to accommodate customer needs more spontaneously in the construction site. These endeavors could guarantee their competitive power.

위험관리기반의 군수품 품질보증업무 변화를 위한 제언 (Suggestion for Change in Risk Management Based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of Military Supplies)

  • 안남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914-5923
    • /
    • 2015
  • 최근 들어 군수품에 대한 품질문제가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면서, 품질보증업무를 수행하는 국방기술품질원의 위험관리기반 프레임웍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위험관리관련 수행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한 후, 현재 국방기술품질원과 위험관리기반 체제를 채택하고 있는 국내 외 기관 두 곳의 업무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식별 및 개선점을 도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위험관리 프레임웍은 PDCA 프레임웍을 기반으로 눈에 보이는 관리를 위해 Fishbone차트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마인드맵 소프트웨어의 활용을 통해 군수품 위험관리 사례의 구현으로 실제업무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도심지 공동구 최적 설계를 위한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optimum design of multi-utility tunnel in urban area)

  • 심영종;진규남;오원준;조중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37-447
    • /
    • 2017
  • 현재 도시형태나 규모, 주변 도로기능이나 공동구 건설형식에 따른 타당성 및 경제성 평가 방법, 공동구내 수용시설물의 최적 배치 등을 고려한 공동구 설계 평가모델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공동구 도입결정과 도입 결정 이후 적용할 수 있는 공동구 최적 설계를 위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의사결정 방법 중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직선의 방식이 아닌 순환의 방식이 적용 가능한 데밍사이클(Deming cycle)을 선정하였다. 공동구 도입과 설계시 다양한 인자의 반영을 위하여 11개의 상위지표를 설정하여 보다 구체적인 접근을 유도하였다. 또한 Plan-Do-Check-Action(PDCA)의 순환 방식을 기반으로 1차 구상단계, 2차 최적화 단계를 통한 공동구 도입과 설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한 최적화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대학에서의 TQM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QM in College Education -The Models of TQM-)

  • 김희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03-112
    • /
    • 2004
  • Total Quality Management(TQM)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HEI) has been popular since early 1980s. Implementation of TQM, however, has not been easy. The difficulties of the implementation is partially due to the lack of effective TQM models in HEIs. This paper proposed a new model based on PDCA cycle. The paper consists of four chapters.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status of TQM in HEIs and implementation problems. Second chapter delineates the models used in HEIs. In third chapter, a new model is suggested. Last chapter is the conclusions.

고속도로공사에 대한 OHSAS 18001 적용상 문제점 (고속도로 공사를 중심으로)

  • 양학수;손기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01-108
    • /
    • 2002
  • OHSAS 18001(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ssessment Series 18001)은 안전보건 경영 시스템으로서 기업이 자율적으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보건 체제를 구축하고, 주기적으로 유해위험 정도를 자체 평가하여 그에 따라 설비 및 작업환경을 개선토록 함으로써 산업재해를 체계적으로 예방 관리하도록 요구하는 표준이다. 표준의 구성은 ISO 14001 환경시스템과 그 골격이 거의 같은데 크게 4.1 일반적인 요구사항, 4.2 안전보건방침, 4.3 계획, 4.4 실행 및 운영, 4.5 점검 및 시정조치, 4.6 경영자 검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로 보면 지속적 개선을 이루기 위한 PDCA개념, 계획, 실행, 점검, 조치의 Cycle을 이루고 있다.(중략)

  • PDF

Knowledge Management Assessment Using PDCA based in Global and Local Standards: in the Case of Technics and Informatics Studies

  • Ruzicic, Vesna S.;Micic, Zivadin M.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5호
    • /
    • pp.2022-2042
    • /
    • 2020
  •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discipline of knowledge management (KM) in Higher Education (HE), and is conducted using the case of the study programme (SP) for Integrated Academic Studies (IAS) of Technics and Informatics (TI). A deduction-induction methodology is applied, using a Plan-Do-Check-Act (PDCA) approach to design a suitable KM concept for making improvements to the SP IAS TI on the standardisation platform.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tandards (ICS), the research analyses the correlations and competences acquired during the courses within the accredited TI study programme of two-course stud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learning process and educational goals, it is shown that knowledge management in correlation with standardisation leads to the improvement of study programmes in the upcoming accreditation cycle on the standardisation platform. Frequent innovations within standardised thematic fields (daily, weekly, monthly, etc.) indicate the need for appropriate changes to the SP. The contribution to KM is through an original analysis of annual samples of more than 90,000 standardised sources in correlation with the TI study programme. Expert System (ES) modelling and the original results enable an analogous contribution to the future KM of other SPs.

CMMI 기반 IT 프로젝트를 위한 위험관리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Management Process Improvement for IT Project Based on CMMI)

  • 장종기;이송희;최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56-1359
    • /
    • 2011
  • IT 프로젝트는 많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처럼 악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이유는 프로젝트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위험(Risk)이 중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CMMI-DEV(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for Development, version 1.2)모델을 기반으로 IT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많은 조직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시 실제 CMMI-DEV 모델을 적용하여 IT 프로젝트의 위험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기업에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범위(영역)를 선정하는 것에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단위 프로세스별로 어떠한 방법(How)과 도구 및 관리기법을 사용하여 위험을 정량적으로 관리하고 완화시킬지에 대한 구체화된 노력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CMMI-DEV 모델의 RSKM(Risk Management) 프로세스와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4th Edition)의 위험관리 지식영역(Knowledge Area)을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하여 PDCA(Plan-Do-Check-Action) Cycle의 각 단계별 목적에 맞게 통합(Integration)시켜 IT 프로젝트를 위한 개선된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제안 프로세스의 개선효과를 검증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지표를 제시하였으며, 개선 프로세스의 적용 전후 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개선효과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