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MC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5초

개 말초혈액(末稍血液)에서 monocytes 분리(分離) (Separation of monocytes from canine peripheral blood)

  • 김정배;이방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39
    • /
    • 1989
  • Pure separation of various leukocytes is required for the assessment of their roles in immunological and phisiological function. In this study, pure separation of monocytes from canine peripheral blood was attempted. At first, mononuclear cells (PBMC) were separated by ficoll-hypaque gradient method and then monocytes were recovered from PBMC suspensions in sucrose gradient Sol. (PBMC-Sucrose), autologous plasma (PBMC-Plasma) and autologous serum (PBMC-Serum) incubated at $37^{\circ}C$ for 2 hours. 1. In the separation of PBMC by ficoll-hypaque gradient method in canine blood, higher relative centrifugal force (RCF) was required, as high as more than 1,300xg RCF for 40 minutes, for clear formation of PBMC layer than that in human blood as usually used 400xg RCF for 40 minutes. 2. In monocytes-separation from three PBMC suspensions following PBMC separation, recovery-, purity- and viability-rate of monocytes showed better results in PBMC-Plasma and PBMC-Serum than in PBMC-Sucrose suspension, particulary showing better results from PBMC suspensions performed by centrifugation at 1,500xg RCF for 40 minutes.

  • PDF

사료 중 크릴 분말이 살모넬라 LPS로 자극한 브로일러의 비장세포와 PBMC 증식에 미치는 영향

  • 임진택;박인경;김재환;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94-95
    • /
    • 2002
  • 본 연구는 사료 중 크릴밀이 브로일러의 비장세포와 PBMC의 증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주령 비장세포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나, LPS주입으로 감소하였다. 콘카나발린 A(Con A) 첨가는 급여사료나 LPS 자극에 관계없이 증식도를 증가시켰다. 21일령 브로일러 비장세포의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함량에 따라 높아졌다. LPS 스트레스로부터 회복중인 브로일러 비장세포의 증식도는 낮았다. 21일령에 PBMC의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영향이 없었으나, LPS 자극에서 회복중인 브로일러의 증식도는 높아졌다. Con A 첨가는 급여사료나 LPS 자극에 관계없이 PBMC의 증식도를 높였다. 본 성적은 사료 중 크릴밀 첨가가 브로일러 비장세포 및 PBMC 증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1,2-benzopyrone이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유주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3-Benzopyrone on Chemotactic Activity of Peripheral Blood Leukocytes in the Dog)

  • 김지현;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4-89
    • /
    • 2005
  •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유주성에 있어서 1,2-benzopyrone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백혈구의 유주성은 Boyden chamber 변법으로 측정하였다. 1.2-benzopyrone 그 자체는 PMN과 PBMC의 유주성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PMN과 PBMC는 1,2-benzopyrone으로 배양한 PMN의 배양상층액에 대해서도 유주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1,2-benzopyrone으로 배앙한 PBMC의 배양상층액은 PBMC에 대해서는 유주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PMN에 대해서는 현저한 유주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주인자인 IL-8에 의한 PMN의 유주활성 측정 결과도 1,2-benzopyrone으로 배양한 PBMC의 배양상충액의 그것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유주활성은 anti-IL-8 pAb를 처리했을 때 PMN의 유주활성이 억제되어, 본 유주활성은 PBMC에서 분비되는 IL-8일 것으로 강하게 시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1,2-benzopyrone은 개 말초혈액 PMN의 유주성에 대하여 면역자극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1,2-benzopyrone의 자극에 의해 PBMC에서 분비되는 IL-8양 가용성 물질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인삼 사포닌이 인간면역계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in Human Immune System)

  • 박종욱;한인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5-22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ginseng,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proliferation and cytosine gene expression of human ph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 In the PBMC proliferation assay, total saponin exhibited proliferation inhibition on the PBMC or phytohemagglutinin(PHA)-stimulated PBMC in a dose-dependent fashion. Immunomodulatory effects of ginseng were further investigated using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as the indicators. In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est, interleukin (IL)-1, IL-2, IL-3, IL-4, IL-6, IL-13,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tumor necrosis factor (TNF), migration inhibitory factor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genes were expressed in the PHA-stimulated PBMC 48 hrs after cell culture. Among expressed cytokines, total saponin could increase the expression of IL-1 and TNF of PBMC without stimulation of PHA. All of ginsenosides, $Rb_1$, $Rb_2$, $Rg_1$, Rc, Re, incresed TNF gene expression. Especially, Rb2 (20 g/ml) showed most prominent effect on TNF gene expression and it also slightly increased IL-1 gene expression of PBMC.

  • PDF

개 말초혈액 탐식세포의 탐식반응에 대한 1,2-benzopyrone의 면역자극 효과 (Immunostimulating Effect of 1,2-Benzopyrone on Phagocytic Response of Canine Peripheral Blood Phagocytes)

  • 신정화;나기정;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8
    • /
    • 2004
  • 1,2-benzopyrone has been shown to affect on the activation and stimulation of macrophage. To examine the immunostimulating effect of 1,2-benzopyrone on the phagocytic response of can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as well as polymorphonuclear cells (PMN), the phagocytic activity of phagocytes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system using FITC-labelled latex. The 1,2-benzopyrone did not show any direct effect on phagocytic response of PBMC and PMN. But it showed an enhanced effect on the phagocytic response of monocyte-rich cells fractioned by cell size from dot plot profile in flowcytometric cytography of PBMC. The phagocytic activity of these cells was also enhanced by addition of culture supernatant from PBMC treated with 1,2-benzopyrone. Similarly, the phagocytic activity of PMN but not PBMC in the same procedures was enhanced by culture supernatant from PBMC treated with 1,2-benzopyrone. However, the culture supernatant from PMN treated with 1.2-benzopyrone did not show the enhancing effect on phagocytic activity for monocyte-rich cells and PMN.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ed that enhanced phagocytic activity of canine peripheral blood PMN and monocytes may be mainly mediated by humoral factor(S) released from PBMC treated with 1,2-benzopyrone.

돼지 말초혈액 탐식세포의 탐식활성에 있어서 CLA의 면역증강효과 (Immunoenhancing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s on Phagocytic Activity of Porcine Peripheral Blood Phagocytes)

  • 강지훈;김주향;정정수;이철형;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6-342
    • /
    • 2004
  • 돼지 말초혈액 탐식세포(PMN 및 monocyte)의 탐식성에 있어서 CLA 이성체의 탐식증강 효과를 검토하였다. 탐식세포의 탐식석은 fowl cytomery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LA 이성체(CLA mixture, 10t-12c CLA, 9c-11t CLA, 9c-11c CLA, 9t-11t CLA)를 직접 첨가하여 배양한 PMN과 PBMC 및 fowl cytometry cytograpy에서 세포크기에 의해 분획한 monocyte-rich fractiondpsms 탐식증강 효과가 없었다. 2. 각각의 CLA 이성체로 배양한 PBMN 배양상층액으로 PBMC의 탐식활성을 측정한 결과 증강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3. CLA 이성체로 배양한 PBMC 배양상층액 중 CLA mixture, 10t-12c CLA, 9c-11c CLA 처리군에서는 PMN과 monocyte-rich fraction의 탐식활성에 있어서 현저한 증강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말초혈액 탐식세포들은 9c-11c CLA와 9t-11t CLA로 배양한 PBMC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는 증강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4. CLA 이성체로 배양한 PMN 배양상층액에 있어서는 PMN과 monocyte-rich fraction의 탐식성을 측정한 결과, 어느 경우에도 증강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LA 중 CLA mixture, 10t-12c CLA. 9c-11t CLA가 돼지 말초혈액 탐식세포에 대하여 탐식증강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증강효과는 직접적이라기보다는 CLA에 의해 활성화된 단핵구세포에서 분비되는 탐식촉진인자를 함유한 가용성 물질에 의해 autocrine 또는 paracrine 양상으로 탐식세포에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파두유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서 사료중 크릴밀 수준이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Levels on the Cell Mediated Immunity in Intra-muscularly Croton Oil Injected Broiler Chicks)

  • 임진택;박인경;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599-610
    • /
    • 2007
  • 근육내 파두유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서 사료 중 크릴 밀 수준이 세포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수컷에 크릴 밀 0.0(기초사료), 0.5, 1.0 및 2.0% 사료를 급여하고 3주간 사육하였다. 20일령에 10㎕의 파두유를 정강이 근육내에 주입하였고, 24시간 뒤(21일령)에 혈중 TNF-α 활성과 오보트렌스훼린 수준 및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도를 올리브유를 주입한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크릴 밀 사료는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혈장 오보트렌스훼린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크릴 밀 0.0% 사료에 비해서 유의하게(p<0.0001) 혈장 TNF-α 활성을 감소시키고 PBMC 증식도를 높였다. 비장 세포증식도는 크릴 밀 1.0% 사료에서 유의하게(p=0.01) 높았다. 파두유 주입은 혈중 TNF-α 활성(p<0.0001), 오보트랜스훼린 수준 및 PBMC증식도(p<0.0001)를 높였다. 파두유 주입 시에 PBMC 증식도는 사료중 크릴 밀 수준에 따라 점차 감소(p<0.05) 하였고 비장세포 증식도는 크릴 밀 1.0 및 2.0% 사료에서 유의하게(p< 0.05)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사료중 크릴밀이 파두유 주입으로 활성화한 선천 면역과 세포성 면역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색인:파두유(croton oil), tumor necrosis factor -α(TNF-α),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 크릴 밀, 육계 병아리)

Alamar Blue 색소의 환원량 평가에 의한 급성기 반응중 육계병아리의 비장세포와 PBMC 증식도 측정 (Proliferation Assay of Splenocyte and PBMC by the Evaluation of Alamar Blue Dye Reduction Value in Broiler Chicks)

  • 임진택;박인경;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13-224
    • /
    • 2007
  • 급성기 반응중인 가금의 비장세포와 PBMC 증식도를 alamar blue(alamar blue) 환원량으로 측정하기 위한 조건들을 조사하였다.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종) 수컷에 기초사료를 급여하고, 9, 11 및 13일령에 각각 복강내 LPS를 주입으로 급성기 반응중인 14일령 육계병아리의 혈액에서 PBMC와 비장에서 비장세포를 분리하였다. alamar blue 환원량은 비장세포에서는 4, 24, 48, 96 및 120시간, PBMC는 4, 8, 12, 24 및 48시간에 그리고 웰당 103, 104 및 105개로 분배하고, 배양액 ml 당 0.0, 1.0, 5.0 및 10.0㎍의 Con A를 첨가하며, 배양액 중 2.5%의 자가혈청과 FBS를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1.alamar blue 환원량은 배양시간의 경과(R2=0.825~1.000)에 따라 그리고, 세포수(R2= 0.999)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2. 급성기 반응중인 병아리에서, alamar blue 환원량은 대조구에 비해 비장세포는 24시간이후, PBMC는 4시간이후부터 105개의 세포접종시 유의하게(p<0.05) 높았다.3.급성기 반응중인 병아리의 비장세포와 PBMC에서 alamar blue 환원량은 Con A 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배양액 ml 당 Con A 1.0 또는 5.0 ㎍ 첨가에 비해 10.0㎍ 첨가시 유의하게(p<0.05) 높았다.4. 그리고, 배양액중 2.5%의 자가혈청은 급성기 반응과 관계없이 FBS에 비해 alamar blue 환원량을 유의하게 높였다. 본 연구는 alamar blue 환원량 평가에 의한 급성기 반응중인 가금의 비장세포와 PBMC의 증식도 측정에는 alamar blue 첨가 후 PBMC는 4시간, 비장세포는 24시간 배양, 세포수는 웰 당 105개, 그리고, Con A는 배양액 ml 당 10.0 ㎍이 적당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개 말초혈액 탐식세포의 탐식반응에 따른 순간산소 과소비현상에 있어 1,2-benzopyrone의 면역증강효과 (Immunoenhancing Effect of 1,2-Benzopyrone on the Oxidative Burst Activity to Phagocytic Response of Canine Peripheral Blood Phagocytes)

  • 김현아;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6-242
    • /
    • 2004
  • 1,2-benzopyrone can stimulate macrophages to increase the ability of phagocytosis. 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PMN) and macrophages destroy microbial organisms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alled oxidative burst activity (OB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1,2-benzopyrone affects the OBA on the phagocytic response of canine peripheral blood phagocytes. The OBA of phagocytes in the addition or absence of latex beads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system using dihydrorhodamine 123 (DHR). The direct treatments of 1,2-benzopyrone have no effect on the OBA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PMN and monocyte-rich cells regardless of addition of latex beads. When latex beads are added to PMN, the OBA of PMN was remarkably enhanced by culture supernatant from PBMC but not PMN treated with 1,2-benzopyrone. Similary, it was also enhanced by human recombinant (hr) $TNF-\alpha.$ However, when latex beads were not added to PMN, its OBA was not enhanced by culture supernatant from either PBMC or PMN treated with 1,2-benzopyrone. The OBA of latex beads-phagocytized PBMC and monocyte-rich cells was not enhanced by culture supernatant from either PBMC or PMN treated with 1,2-benzopyron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1,2-benzopyrone has an immunoenhancing effect on the OBA of PMN when phagocytic response occurred only. This enhanced OBA may be mediated through active humoral substance(s), such as $TNF-\alpha,$ produced by PBMC stimulated with 1,2-benzopyrone.

Rhanella aquatilis 유래 당단백질의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mmune Cells of Proteoglycan Originating from Rhanella aquatilis)

  • 박혜지;김광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12-315
    • /
    • 2014
  • 인체 면역증강제로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R. aquatilis AY2000 균이 생산하는 당단백질인 AYS의 면역세포에 대한 독성과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AYS는 적혈구에 대한 용혈작용과 hPBMC에 대한 증식 또는 사멸효과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배양 중인 hPBMC를 응집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AYS는 in vitro에서 hPBMC에 작용하여 염증성 cytokine인 IL-6, IFN-${\gamma}$, TNF-${\alpha}$와 IL-5 생성을 유도하였고, 생쥐에서 AYS는 alum에 비해 항-BSA의 생산력을 더욱 증가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