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중 크릴 분말이 살모넬라 LPS로 자극한 브로일러의 비장세포와 PBMC 증식에 미치는 영향

  • 임진택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ARRC,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자원학과) ;
  • 박인경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ARRC,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자원학과) ;
  • 김재환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ARRC,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자원학과) ;
  • 고태송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ARRC,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자원학과)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on immunity of broilers,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 and PBMC (ph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from broilers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0, 0.5, 1.0 and 2.0 o/o krill meal, respectively, and injected the Salmonella typhymurium lipopolysaccharide (LPS) were assayed.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 was increased with the dietary krill levels, but was decreased with the LPS immunlogical stress. Con A addition in the medium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the splenocytes from birds fed dietary krill or stimulated by LPS. In 21 day old broilers, dietary krill meal and addition of Con A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PBMC while enhanced proliferation of PBMC was shown in birds stressed by the LPS during 2nd week of age. The results indicated dietary krill meal affected immune response in broiler.

본 연구는 사료 중 크릴밀이 브로일러의 비장세포와 PBMC의 증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주령 비장세포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나, LPS주입으로 감소하였다. 콘카나발린 A(Con A) 첨가는 급여사료나 LPS 자극에 관계없이 증식도를 증가시켰다. 21일령 브로일러 비장세포의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함량에 따라 높아졌다. LPS 스트레스로부터 회복중인 브로일러 비장세포의 증식도는 낮았다. 21일령에 PBMC의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영향이 없었으나, LPS 자극에서 회복중인 브로일러의 증식도는 높아졌다. Con A 첨가는 급여사료나 LPS 자극에 관계없이 PBMC의 증식도를 높였다. 본 성적은 사료 중 크릴밀 첨가가 브로일러 비장세포 및 PBMC 증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