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L 학습 환경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6초

예비교육사서를 위한 PBL환경의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for Promoting the Pre-Education Librarians' Self-Efficacy in Education Services)

  • 정종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1-239
    • /
    • 2010
  • 본 연구는 예비교육사서의 교수역량을 신장시킬 목적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환경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학기 동안 프로그램을 경험한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교수자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강좌에 수강신청한 42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경험한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육사서들의 일반 자기효능감과 특수 자기효능감은 프로젝트학 습환경을 경험한 후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프로그램은 예비교육사서들의 교수법과 관련한 지식,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교수자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태도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어 교수 역량을 갖춘 교육사서를 양성하는데 주효한 교수학습방법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젝트기반학습프로그램이 교육사서와 사서교사를 위한 계속교육과 직무연수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평가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Pedagogy of E-Learning in Engineering Classes Using Multimedia Contents: Case of K University)

  • 황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4-23
    • /
    • 2010
  • 이러닝뿐만 아니라 모든 테크놀로지 활용은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때에 중요한 것은 기술적 접근보다 교수학습적 접근이다. 공과대학에서 이러닝이 더욱 확대, 보급되는 현 시점에서 공대 이러닝의 활용 유형을 파악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연관된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공대 이러닝 콘텐츠와 운영의 유형을 조사하고 이를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과 연계하여 이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공대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네 과목을 대상으로 활용 유형과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콘텐츠는 학습전에 개발되는 정형적 콘텐츠이며 운영은 학생 개인의 자율학습에 사용하는 콘텐츠 활용형으로 나타났다. 강의와 실습 외에 프로젝트가 학습활동의 하나로 사용되었지만 LMS와 웹 환경 등은 단순 기능의 활용에 국한되었다. 결론에서는 면대면 수업을 보강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통합 활용형의 사용을 제안하면서 문제해결 유형 위주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조건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스크래치 EPL을 활용한 라인트레이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Line-Tracer Simulation using Scratch EPL)

  • 신갑천;허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33-542
    • /
    • 2011
  • 본 논문은 PBL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방법에 기초하여 라인트레이서의 주행 알고리즘을 중심 학습 요소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크래치 웹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과도한 비용 문제나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과 같은 환경적 여건의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라인트레이서 동작 시뮬레이션 스크래치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험 수업을 통해 초등 교육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 PDF

여성 수도자의 유방자가검진 교육 경험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t research of Experience about Women Religious on Breast Self-Examin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 김선애;전혜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77-8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 기반 학습(PBL) 및 실습을 융합하여 유방 자가 검진 교육 후 여성수도자들의 경험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면담, 확인하고 유방 자가 검진 교육을 문제 기반 학습과 실습을 융합하여 새로운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여성수도자들은 주 1회, 2시간, 4주간 문제 기반 학습 유방 자가 검진 교육을 받고 3개월 간 유방 자가 검진 실천율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유방암에 대한 인식', '유방 자가 검진 교육에 대한 인식', '유방 자가 검진 교육 경험', '유방 자가 검진을 위한 문제 기반 학습 및 실습 융합 교육경험'과 '교육 후 변화'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대상자들은 교육 후 지식이 증가하고 새로운 실기능력을 습득한 것에 대체적으로 만족하였으나 규칙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을 타나냈다. 또한 교육 전 일관되지 않은 인식과 막연하게 안심하고 있던 태도에서 교육 후 오히려 불안감이 증가되어 관심을 더 가지게 되었음을 나타내 유방암과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동기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어 긍정적 효과로 파악되었다. 추후 수도자의 요구에 맞는 융합적 유방 자가 검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아두이노 N-스크린 통신보드를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육 프로그램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hysical Computing using Arduino N-screen Communication Boards)

  • 허경;이주열;이혜민;이해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97-105
    • /
    • 2015
  • 본 논문은 PBL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방법에 기초하여 피지컬 컴퓨팅 내용을 중심 학습 요소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내용을 개발하고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과도한 비용 문제나 시간적, 공간적 제약과 같은 환경적 여건의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아두이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 수업을 통해 교육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코로나-19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교수법을 통한 프로그래밍 지도 사례 (A Case Study on a Programming Subject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COVID-19 Environment)

  • 이성옥;양승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55-16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프로그래밍 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한 교수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1학년 신입생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실시 전에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판단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면담을 진행하여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프로젝트 구성을 위한 기본 문법과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분절하는 강의를 구성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반복학습을 유도하였으며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을 미리 부여하여 피드백을 주었다. 23명(전체 학생 40명)은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을 완료하였고, 17명은 시험은 응시하였으나 프로젝트는 미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공대 실기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하면서 수업설계와 실행, 상호작용을 거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Project-Based Learning for Strengthe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Abilities)

  • 강은영;신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47-5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교사양성과정 수업을 통하여 예비특수 교사들(n = 39)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평균 6.76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의 하위 척도 중에서 수업계획 및 조직(1.49점), 의사소통(1.49점), 학생과 상호작용(0.49점), 교수 학습 환경조성(2.49점), 성의와 열의(0.89점) 순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예비특수교사 들은 실천적 교수역량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p < 0.01). 전체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중 '교수 학습 환경 조성', '의사소통', '수업계획 및 조직'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은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간의 상관관계는 0.64-0.90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ICT 활용 수업 모형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PBL-based Instruction Model)

  • 정효숙;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47-360
    • /
    • 2002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국가와 사회 각 부문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교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생들을 육성할 책임을 안고 있다. 그러나 학교는 학생들이 정보통신기술을 학습하고 배우기 위한 질적인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화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양한 수업 모형 중에서도 웹을 가장 널리 적용할 수 있는 분야 중의 하나는 프로젝트 학습이다. 이 모형은 다양한 주제, 실제적 과제, 이슈 등에 대한 다양한 탐구 활동과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또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프로젝트 학습을 개선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형의 각 단계에 ICT를 활용한 8가지 교수-학습 유형과 이를 지원하는 도구를 적절히 투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한 모형을 구현시켜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한 예를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환경디자인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Design STEAM Program in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윤희;이명아;한혜련;반자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5-22
    • /
    • 2016
  • Recent changes in the Korean education policies are promoting th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ivating people of convergence talent.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 educational program is Korean styled convergence program for creative competent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developing convergence hand-on educational program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development of the program, we investigated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about the climate change, and allocated in the creative learning standard frame. Also, we selected themes related the climat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learning activity. For more effective program to build the convergence competency, we analyzed the program based on cre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rocess and 4 core competency(creativity, communication, convergence, caring) elements. In conclusion, the STEAM program needs to develop by school curriculum and leaner's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EAM program consists with cre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rocess. And the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would analyze by the creative PBL process and convergence competency elements. So, this developing program has brought the promotion of th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t talented person for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문제중심학습(PBL)이 현장실습수업 참여능력과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Offline Classes after COVID-19: Focused on Their Social Interactions and Senses of Community)

  • 나경희;백지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69-174
    • /
    • 2023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대면 교육 환경으로 전환되면서 학생 간, 그리고 교수자-학생 간 상호작용 및 공동체 의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의 대학생 4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들은 지난 2년여 간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뒤 대면수업 환경의 적응 시기에 있는 학생들이었다. 대상 학생들은 Rovai(2002)의 '교실공동체척도'(Classroom Community Scale, CCS)를 수정·보완한 설문조사에 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학생들은 대면 수업에서의 수업 내용 이해도와 몰입도 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면수업 방식에 대한 적응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환경에 대한 정의적인 요인 등에 대하여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