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 (polyacrylonitrile)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1초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n doped TiO2 photocatalysts supported on stainless steel mesh by sol-gel method

  • Tijani, JO.;Fatoba, OO.;Totito, TC.;Roos, WD.;Petrik, LF.
    • Carbon letters
    • /
    • 제22권
    • /
    • pp.48-59
    • /
    • 2017
  • This study synthesized pure anatase carbon doped $TiO_2$ photocatalysts supported on a stainless steel mesh using a sol-gel solution of 8% polyacrylonitrile (PAN)/dimethylformamide (DMF)/$TiCl_4$. The influence of the pyrolysis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article sizes and surface area of the prepared catalyst was investigated. The prepared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several analytical methods: high 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RSEM),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X-ray diffraction (XRD), Brunauer-Emmett-Teller (BET),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 XRD patterns showed that the supported $TiO_2$ nanocrystals are typically anatase, polycrystalline and body-centered tetragonal in structure. The EDS and XPS results complemented one another and confirmed the presence of carbon species in or on the $TiO_2$ layer, and the XPS data suggested the substitution of titanium in $TiO_2$ by carbon. Instead of using calcination, PAN pyrolysis was used to control the carbon content, and the mesoporosity was tailored by the applied temperature. The supported $TiO_2$ nanocrystals prepared by pyrolysis at 300, 350, and $400^{\circ}C$ for 3 h on a stainless steel mesh were actual supported carbon doped $TiO_2$ nanocrystals. Thus, $PAN/DMF/TiCl_4$ offers a facile, robust sol-gel related route for preparing supported carbon doped $TiO_2$ nanocomposites.

Effects of Polymerization and Spinning Condition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AN Precursor Fibers

  • Qin, Qi-Feng;Dai, Yong-Qiang;Yi, Kai;Zhang, Li;Ryu, Seung-Kon;Jin, Ri-Guang
    • Carbon letters
    • /
    • 제11권3호
    • /
    • pp.176-183
    • /
    • 2010
  • PAN precursor fibers were produced via wet-spinning process, and effects of polymerization and spinning processes, especially the stretching process, were investigated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morphologies of precursor fibers. An increase in molecular weight, dope solid and densification and a decrease in surface defects were possible by controlling polymerization temperature, the number of heating rollers for densification and the jet stretch ratio, which improv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recursor fibers. The curves for strength, modulus, tensile power and diameter as a function of stretch ratio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steady change area, little change area and sudden change area. With the increase of stretch ratio, the fiber diameter became smaller,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precursor fibers became compact and homogeneous,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trength, modulus and tensile power of precursor fibers.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fiber strength and stretch ratio was studied by using the sub-cluster statistical theory. It was successfully predicted when the strengths were 0.8 GPa and 1.0 GPa under a certain technical condition, the corresponding stretch ratio of the fiber were 11.16 and 12.83 respectively.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기반 3D 탄소나노섬유 스펀지의 제조 및 오일 흡착 특성 (Preparation and Oil Absorption Properties of PAN Based 3D Shaped Carbon Nanofiber Sponge )

  • 주혜원;강진혁;박종호;고재경;국윤수;남창우;김병석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217-22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나노섬유 스펀지의 제조 및 오일 흡착 거동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스펀지는 물과 기름의 혼합용액에서 우수한 선택적 오일 흡착 능력을 보였으며, 탄소나노섬유 스펀지의 재사용시 흡착 능력도 확인하였다. 또한, 흡착제 내부구조에 정렬된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빠른 오일 흡착 거동을 보이는 탄소나노섬유 스펀지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후 사용 폐기된 탄소나노섬유 스펀지는 질소 분위기에서 800℃로 열처리하여, 4-아미노페놀의 전기화학적 검출을 위한 센서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내공기질 지표 이산화탄소 농도제어를 위한 흡착연구 (Adsorption Study of IAQ Index CO2)

  • ;조영민;오종민;허정숙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3호
    • /
    • pp.198-209
    • /
    • 2020
  •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의 평가지표인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활성탄소 나노섬유를 이용한 흡착·제어기술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PAN(Polyacrylonitrile) 전구체 용액을 사용한 전기방사(electrospinning)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를 고온에서 활성화하여 비표면적과 미세공 부피를 증가시켰다. 다음 단계로, 제조된 활성탄소 나노섬유 표면을 70% HNO3로 산화처리한 후, TEPA(tetraethylenepentamine)용액으로 함침시킴으로 섬유표면의 알칼리성을 증진시켰다. 일련의 조건으로 제조된 활성탄소 섬유들에 대한 이산화탄소(3000 ppm)의 흡착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활성화 시간(30분, 60분, 90분)이 길어질수록 섬유 표면의 비표면적과 총 세공부피가 증가하였는데, 섬유표면의 비표면적은 308.4 ㎡/g에서 839.4 ㎡/g으로 증가하였고, 총 세공부피는 7.882 ㎤/g에서 27.50 ㎤/g으로 증가하였다. TEPA 함침 할 경우, 미세공의 막힘으로 인해 활성탄소섬유의 비표면적과 세공부피가 크게 감소하였지만, HNO3 산화처리에 의해 아민량이 6.42%에서 17.19%로 증가한 결과,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활성탄소 섬유에 대한 60분간 활성화 과정과 HNO3와 TEPA 함침 처리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친 흡착제(60-ANF-HNO3-TEPA)의 저농도(0.3%) 이산화탄소(N2 가스와 혼합)의 흡착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내공기 중 저농도 이산화탄소도 효율적으로 흡착·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AN계 탄소섬유 제조조건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Effect of Preparation Conditions of PAN-based Carbon Fibers on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y Anode)

  • 안근완;이중기;이승원;김영대;조원일;주재백;조병원;박달근;윤경석
    • 전기화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1-87
    • /
    • 1999
  • Polyacrylonitrile(PAN)섬유를 원료로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탄소섬유를 제조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여, 전지의 충$\cdot$방전 특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음극활물질 제조에 있어서 고려한 주요한 변수들은 탄화 열처리 온도(HTT : heat treatment temperature), 탄화시의 가스분위기와 안정화(stabilization)시 섬유 축방향으로 가해주는 장력이며, 제조된 탄소섬유의 물성 및 전기적 특성 역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열처리 온도 범위는 $700^{\circ}C\~1500^{\circ}C$로서, 처리온도가 상승 할 수록 전도성은 비례하여 향상되었으나, 900"C 범위는 아직 낮은 전도성을 보였다. 또한 처리온도 증가에 따라 충 방전효율은 증가하는 반면, 충 방전용량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탄화시의 가스 분위기에 따라서 제조되는 음극활물질의 전지특성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다른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제조된 PAN계 전극들의 측정된 리튬이온의 확산계수 값은 전지의 충$\cdot$방전 특성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탄화시 서로 다른 가스분위기에서 탄소섬유 표면상에 형성된 다양한 기능기그룹(surface functional group)들이 리튬이온과의 비가역적 반응이 진행되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게 해준다. 산화분위기에서의 안정화시의 PAN섬유에 가해지는 장력은 가교 결합 중에 형성되는 분자의 배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안정화처리 후에도 섬유의 길이변화가 없는 장력조건 (fixed-length condition)에서 충 방전효율 및 용량과 사이클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PA 수용액으로부터 수분제거를 위한 침지형 모듈 제조와 투과증발 특성 (Pervaporation Performance of Submerged Type Membrane for the Separation of Water from Aqueous Isopropanol Solution)

  • 우승문;박윤환;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8권4호
    • /
    • pp.279-285
    • /
    • 2018
  • 이소프로필알코올/물 혼합물은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복합막을 이용하여 투과특성평을 알아보았다. 검화도가 다른 3종 PVA를 이용하여 고분자의 농도와 GA 농도에 따라서 투과특성을 확인하였다. 복합막은 PVA 용액을 PAN 지지체 위에 캐스팅한 후, 열가교를 통해 제조하였다. PVA 농도가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감소하지만 선택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VA-3이 7 wt% 농도로 코팅된 복합막에서 $209g/m^2h$의 투과도를 가지고, 100 이상의 선택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침지형 분리막을 제조하여 feed tank 온도와 feed 용액의 IPA 농도에 따라서 투과실험을 확인하였다. 또한 IPA 수용액에 농축실험을 지속적으로 한 결과, 60시간 후에 IPA의 농도가 99%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rocess Optimization for Preparing High Performance PAN-based Carbon Fibers

  • Yun, Jeong-Hyeon;Kim, Bo-Hye;Yang, Kap-Seung;Bang, Yun-Hyuk;Kim, Sung-Ryong;Woo, Hee-Gwe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0호
    • /
    • pp.2253-2258
    • /
    • 2009
  • wet spun polyacrylonitrile (PAN) fiber precursors. The process variables chosen were treatment temperature, applied tension in stabilization process. The temperature profile of the stabilization was set on the basis of exothermic peaks of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result. Both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increased with holding at onset temperatures of the exothermic peaks for extended duration, and with a higher heating rate up to the onset temperatures at a given applied tension among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increase in load monotonously increased the tensile modulus,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strength was maximum at the load of 15 mg/filament (T15). The load 20 mg/ filament (T20) was considered to be exceeded to form oriented crystalline structure, possibly introducing more defects in the fiber than under load of T15. The sample CP3-T15 O5 H30 showed the best tensile properties among the samples experimented whose tensile properties are compatible with the commercialized grade of general purpose carbon fibers even at low carbonization temperature such as $800\;{^{\circ}C}$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in the commercial process. 1300∼$1500\;{^{\circ}C}$).

Exploration of shockwaves on polymeric membrane physic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 Lakshmi, D. Shanthana;Saxena, Mayank;Ekambaram, Shivakarthik;Sivaraman, Bhalamuruga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2권1호
    • /
    • pp.43-49
    • /
    • 2021
  • The Commercial polymeric membranes like Polysulfone (PSF), 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 and Polyacrylonitrile (PAN) which are an integral part of water purification investigation were chosen for the shockwave (SW) exposure experiment. These membranes were prepared by blending polymer (wt. %) / DMF (solvent) followed by phase-inversion casting technique. Shockwaves are generated by using Reddy Tube lab module (Table-top Shocktube) with range of pressure (1.5, 2.5 and 5 bar).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membrane before and after shock wave treatment by parameters, i.e., pure water flux (PWF), rejection (%), porosity, surface roughness (AFM), morphology (SEM) and contact angle which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membrane's performance. Flux values PSf membranes shows increase, 465 (pristine) to 524 (1.5wt%) LMH at 50 Psi pressure and similar enhancement was observed at 100Psi (625 to 696 LMH). Porosity also shows improvement from 73.6% to 76.84% for 15wt% PSf membranes. It was observed that membranes made of polymers such as PAN and PSF (of high w/w %) exhibits some resistance against shockwaves impact and are stable compared to other membranes. Shockwave pressure of up to 1.5 bar was sufficient enough to change properties which are crucial for performance. Membranes exposed to a maximum pressure of 5 bar completely scratched the surface and with minimum pressure of 1.5bar is optimum enough to improve the water flux and other parameters. Initial results proved that SW may be suitable alternative route to minimize/control membrane fouling and improve efficiency.

효소 고정화막의 응용에 대한 총설 (Applications of Enzyme Immobilized Membranes: A Review)

  • 유정현;라즈쿠마 파텔;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31권6호
    • /
    • pp.393-403
    • /
    • 2021
  • 생체 내 변화에서 효소는 중요한 촉매이다. 효소의 안정성과 재사용성은 촉매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적합한 기질에 효소 고정화는 특정 미세환경의 조성을 통해 효소 활동성을 높인다. 다양한 종류의 분리막이 각각의 생체적합성과 막 표면의 친수성/소수성 조절 용이도에 따라 기질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셀룰로스,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설폰(PES) 고분자 분리막이 소개되고 토의되었다.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유기오염물의 생물적 분해는 제약 회사 및 섬유 회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친환경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방법이다. 효소 고정화 생물반응기(EMBR)로 기름의 가수분해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탄소 배출량 감소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EMBR로 만들 수 있는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은 화석 연료의 대체제이다.

가수분해된 PAN 중공사 PVA 복합막을 이용한 물-에탄올 계의 투과증발 분리 (Hydrolyzed PAN Hollow Fiber PVA Composite Membrane for Pervaporation Separation of Water-ethanol Mixtures)

  • 강수연;김소연;정성일;서창희;박헌휘;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3권4호
    • /
    • pp.283-289
    • /
    • 2013
  • Poly(vinyl alcohol) (PVA)에 대하여 가교제로써 glutaraldehyde (GA), maleic anhydride (MA)를 이용하여 제조한 코팅용액을 알칼리로 가수분해 시킨 poly acrylonitrile (PAN) 중공사 막표면에 코팅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투과특성평가를 위해서 물/에탄올 혼합액에 대한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60^{\circ}C$의 90 wt%의 물/에탄올 혼합액에 대하여 반응온도 및 가교제의 농도변화에 따른 투과도 및 선택도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반응온도, 가교제 농도가 증가할 경우 투과도는 낮아지고, 선택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가교제로 GA의 대표적 결과는 반응온도 $120^{\circ}C$, GA 11 wt%로 투과도는 $165g/m^2hr$ 선택도는 81이고, MA는 반응온도 $120^{\circ}C$, MA 11 wt%로 투과도는 $174g/m^2hr$ 선택도는 73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