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nes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5초

여드름을 유발하는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분리 세균들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isolated bacteria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causing acne vulgaris)

  • 이다솔;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72-279
    • /
    • 2018
  • 본 연구는 여드름을 유발하는 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해 다양한 토양에서 분리된 세균 균주들의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백 개의 분리 세균균주 중 Paenibacillus elgii DS381과 Paenibacillus elgii DS1515, Burkhoderia gladioli DS518, Streptomyces lienomycini DS620는 2가지 균주의 P. acnes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분리균주들은 agar well diffusion test에서 15.5~34.3 mm 직경의 저해대를 형성하였으며, 특히 DS620는 가장 큰 저해대 직경(28.3~34.3 mm)을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가 생성하는 항균 물질은 DS381과 DS1515 균주의 경우lipopeptide (pelgipeptin, paenipeptin), DS518은 protease, 그리고 DS620은 anthracycline 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 모두 P. acnes에 대해매우낮은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DS381와 DS1515 (0.078 mg/ml), DS518 (0.312 mg/ml), DS620 (0.000078 mg/ml)]. P. acnes를 대상으로 한 time-kill assay에서는 네 균주의 항균물질이 모두 24시간 이내에 P. acnes를 완전히 사멸시켰다. 이 결과는 네 가지 항균활성 균주들이 분비하는 항균물질들이 여드름을 유발하는 P. acnes에 대하여 효율적인 치료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토복령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bacteria of Smilacis glabrae Rhizoma extracts)

  • 박장순;권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25-430
    • /
    • 2017
  • 본 연구는 토복령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방부효과를 측정하여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합성방부제의 대체 가능한 천연 항균 추출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하였다. 토복령은 국내산으로 건조한 후 증류수와 95% EeOH 두 가지 용매를 각각 사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그 결과 2종 P ropionibacterium acnes 3314, Propionibacterium acnes 3320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특히 증류수 추출물의 clear zone이 16.61 mm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피부오염 군집을 채취한 결과에서는 24.48 mm의 clear zone을 보여 토복령 추출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뿐 아니라 그 외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상의 결과로 토복령 추출물은 항균효능 및 방부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천연 방부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물로부터 $5{\alpha}-Reductase$ 활성억제 및 면포용해효과의 검색 (Screening of $5{\alpha}-Reductase$ Inhibition and Comedolytic Effects from Natural Products)

  • 최승만;김창덕;이민호;최영호;랑문정;안호정;윤여표
    • 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2-350
    • /
    • 1999
  •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5{\alpha}-reductase$ inhibition and comedolytic effects are the important pharmacological target sites of antiacne drughs. We previously reported on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P. acnes by natural products. In the present study the screening of $5{\alpha}-reductase$ inhibition and comedolytic effects from natural products were performed. Seven natural products such as Angelica koreana, Sophora flavescens, Prunus persica, Bombyx mori, Areca catechu, Galla rhois and Gleditschia koraiensis perfectly inhibited the activity of $5{\alpha}-reductase$ at the concentration of 0.01% (w/v). Sixteen natural products which were shown to have the poten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P.acnes or $5{\alpha}-reductase$ inhibition activities were assayed for the comedolytic test. In the results of comedolytic effects on experimentally-induced comedones (EIC), Sophora flavescens showed the strongest comedolytic effect on EIC, and Polygonum cuspidatum and Angelica koreana showed stronger comedolytic effects on EIC than azelaic acid used for a positive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3% (w/v).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natural products including Sophora flavescens can be developed as noble antiacne agents.

  • PDF

여드름 원인균의 성장에 미치는 오미자와 솔잎의 효과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and Pine Meddle on Growth of Pathogens Relate to Acne.)

  • 성준모;박나영;이신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9-74
    • /
    • 2003
  • 천연 식물 재료를 이용한 여드름 개선제 개발을 위해 솔잎,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여드름 원인균으로 알려진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Malasseizia furfur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여드름 원인균 3종류 모두에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솔잎의 M. furfur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는 초기배양시 균의 억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오미자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10^1$CFU/mL 이하 또는 사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 epidermidis에 대한 오미자, 솔잎이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보였으며, 0.12% 이상일 때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P. acnes의 성장은 솔잎, 오미자를 0.06% 이상 첨가한 경우 배양 1일째 모두 사멸하여 매우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오미자의 생육억제효과는 여드름 원인균 중 P. acnes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M. furfur, S. epidermidis 순이었다. 각 천연물의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최소저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P. acnes의 MIC는 0.075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M. furfur는 0.6-l.8 mg/mL, S. epidermidis에 대해 1.2%-l.8mg/mL으로 높게 나타났다.$ 80^{\circ}C$, $100^{\circ}C$에서 30분 동안, 121$^{\circ}C$ 15분 열처리한 오미자와 솔잎 추출물의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가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나 추출물의 항균활성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ntibacterial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unsaturated fatty acids from Prunus japonica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Sultan, Md Zakir;Lee, Ki-Moo;Moon, Surk-Si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1호
    • /
    • pp.90-96
    • /
    • 2009
  • The antibacterial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OH extract of seed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 Prunus japonica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linoleic acid and cis-11-eicosenoic acids, and their methyl esters. Linoleic acid inhibited the growth of Propionibacterium acnes, the acne-causing anaerobic bacterium, but cis-11-eicosenoic acid, methyl linoleate, and cis-11-eicosenoate were found to be inactive. Together with isolated linoleic acid, authentic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also tested against P. acnes with other bacteria and fungi. Most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s possessed anti-acne (MIC $16-128{\mu}g/m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천연물유래 여드름 치료제제의 항균활성 측정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Anti-acne Compounds from Natural Sources)

  • 김나래;임영희;박설웅;남은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0-84
    • /
    • 2009
  • Th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nti-acne agents prepared from the extracts of natural sources were investigated against several bacteria including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Propionibacterium acnes. SD-1 and SD-2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formulations and they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The anti-acne agents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tested strains at the concentration of 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tibacterial activity between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P. acnes.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wo agents showed time-dependent manner. In S. aureus, time-kill curve demonstrated 2.8- and 3.4-$log_{10}$-unit killing after 8 h with SD-1 and SD-2, respectively. In P. acnes, time-killing curve demonstrated 5.1- and 6.1-$log_{10}$-unit killing after 24 h with SD-1 and SD-2, respectively. SD-2 showed strong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SD-1. From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SD-1 and SD-2 have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have advantages for treating acne.

Lactobacillus plantarum K-1 BR 유래 박테리오신의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 (The Sup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Propionibacterium acnes Using Bacteriocin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1 BR)

  • 정진웅;정용현;이종성;윤승원;이승연;이홍찬;윤영걸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70-975
    • /
    • 2016
  • 본 실험은 유산균 유래의 박테리오신이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 인간의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에 열처리한 여드름균인 P. acnes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FN-γ, IL-8의 발현을 유도하였고, 여드름균과 박테리오신을 HaCaT 세포에 함께 처리하여 여드름균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의 양이 박테리오신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P. acnes 균을 1×105, 1×106 그리고 1×107 CFU/ml와 같이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는데 TNF-α와 IFN-γ의 발현량은 여드름균을 1×107 CFU/ml로 처리했을 때 두 배 이상 증가하였고 IL-8의 발현량은 네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여드름균에 의해 증가되었던 TNF-α, IFN-γ 그리고 IL-8의 발현량은 박테리오신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김치유산균인 L. plantarum K-1 BR 균주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유발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야생화로부터 분리한 Bacillus halotolerans F41-3 균주의 전체 게놈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acillus halotolerans F41-3 isolated from wild flower in Korea)

  • 허준;김수진;김정선;홍승범;권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6-308
    • /
    • 2019
  • 많은 Bacillus 속 균주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드름을 유발하는 인자 중 하나인 Propionibacterium acne를 억제하기 위해 P. acnes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는 Bacillus halotolerans F41-3 균주를 선발하였다. 우리는 B. halotolerans F41-3 균주에 대한 유전체 분석을 하였고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유전체는 4,144,458 bp의 크기로 G + C 함량은 43.76%, 유전자의 수는 4,145개,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는 3,686개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가운데 bacteriocin 중 하나인 subtilosin에 연관된 유전자 클러스터와 subtilosin 합성에 관여하는 nickel 수송에 연관된 유전자 클러스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클러스터가 P. acnes를 저해하는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Niaouli (Melaleuca quinquenervia) Leaf Extracts against Skin Flora)

  • 장하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13-3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피부 상재균의 종류는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와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E. coli) 및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효모균인 Plasmodium ovale (P. ovale)이다. 이들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추출물 또는 분획의 항균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 및 broth dilution assay 측정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피부 상재균인 B. subtilis, S. aureus, P. acnes, E. coli 및 P. aeruginosa에 대한 니아울리 잎 50%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각각 0.25%, 0.50%, 1.00%, 0.13% 및 0.25%, 물 분획에서의 MIC는 0.25%, 0.25%, 4,00%, 0.25% 및 0.25%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P. ovale인 비듬균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비교 물질로 사용한 메틸 파라벤의 MIC는 각각 0.25%, 0.25%, 0.25%, 0.13% 및 0.50%를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상재균에 대한 최소사멸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는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각각 2.00%, 2.00%, 1.00%, 0.50% 및 2.00%였고, 물 분획에서는 0.50%, 0.25%, 4.00%, 0.50% 및 1.00%를 나타내었다. 비교 물질로 사용한 메틸 파라벤의 MBC는 각각 1.00%, 0.5%, 0.50%, 0.5% 및 1.00%로 추출물의 물 분획에서는 P. acnes를 제외한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50% 에탄올 추출물도 메틸 파라벤에 근접하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니아울리 잎 50% 에탄올 추출물/분획은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방부제로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오존화 올리브유의 항균성 및 변이원성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Mutagenicity of Ozonized Olive Oil)

  • 장일웅;이승재;안정엽;미우라 토시아키;정문웅;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05-809
    • /
    • 2006
  • 오존화 올리브유의 여드름 치료용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드름 형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au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검토하였고, Ames test로 그의 변이원성 유무를 평가하였다. 항균활성을 paper disk 법으로 평가했을 때 P.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한 농도는 각각 4, 1, 0.5, 0,5 mg/mL이었고, 20 mg/mL 농도에서의 생육 저지환의 크기는 각각 7.7, 5.3, 5.6, 5.5 mm이었다. 50% 생육저해활성을 표시하는 $MIC_{50}$은 P. acne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해 2 mg/mL, S. epidermidis에 대해 4 mg/mL로 나타났으며 미생물의 생육이 관찰되지 않는 MIC 농도는 P. acnes, S. epidermidis, P. aeruginosa에 대해 8 mg/mL, S. aureus에 대해 10 mg/mL로 나타났다. 최소저해농도(MICs) 범위는 2${\sim}$10 mg/mL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균주에 대하여 오존화 올리브유와 오존화 메칠 올레산은 S9 mix의 첨가 유무에 상관없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his^{+}$ 복귀돌연변이주의 수가 증가하지 않아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오존화 올리브유는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여드름 형성 원인균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여드름 치료용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