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26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5초

임상실습 중인 간호학생의 손 위생 시점 동영상 실습교육의 효과 (Effect of Video Education on the Moment of Hand Hygiene among Nursing student in Clinical Practicum.)

  • 최혜경;주연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26-535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중인 간호학생들에게 손 위생 시점에 관한 동영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손 위생 시점지식과 수행을 검정하는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방법 : 2017년 3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3개 간호대학 92명의 학생들을 실험군 44명, 대조군 48명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했다. 결과 : 1) 손 위생 시점 동영상 실습교육프로그램 교육 후 손 위생 지식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t =6.30, p <.001). 2) 손 위생 시점 동영상 실습교육프로그램 교육 후, 손 위생 시점 지식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t =6.34, p <.001). 3) 손 위생 시점 동영상 실습교육프로그램 교육 후, 손 위생 수행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t =3.82, p <.001). 4) 손 위생 시점에 관한 지식과 손 위생 수행은 상관관계가 있었다(r =.458, p <.001). 결론 : 손 위생 시점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손 위생 시점에 대한 지식과 손 위생 수행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재가노인의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ring Handicap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the Elderly at Home)

  • 이영미;하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71-5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노인의 청력장애 정도를 살펴보고,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8월 21일부터 9월 7일까지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3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재가노인 27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S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청력장애와 우울, 자기효능감 평균 점수는 각각 10.91(${\pm}19.83$), 4.75(${\pm}3.90$), 46.87(${\pm}6.75$) 등으로 나타났다. 청력장애와 우울은 양의 상관관계(r=.228, p<.001)가 있었고 자기효능감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284, p<.001), 우울과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26, p<.001)가 있었다. 청력장애는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beta}=-.161$, p=.008)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2%로 측정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력장애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다학제적 중재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

피클제조를 위한 취청오이의 염농도에 따른 염장중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r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 박용곤;박미원;최인욱;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6-530
    • /
    • 2003
  • 각기 다른 염농도에서 염장한 오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장시 첨가되는 염농도가 높을수록 수축현상이 심하였으며, 오이의 염농도는 염장 30일경에 30%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이론치와 유사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 25%처리구는 염장 120일까지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30%처리구는 60일이후부터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오이 표면의 녹색도는 염장 10일까지는 모든 처리구에서 녹색(-1.33~-2.87)이 유지되었으나 염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색으로 변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염농도가 낮을수록 심하였다. 황색도는 염농도가 낮은 15% 첨가구가 염장 전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황색도(6.15~12.52)를 보였다. Isopropyl alcohol 추출색소액 중 생오이의 색소추출액은 439, 473, 632 nm에서 피크를 나타낸 반면 염장오이는 염장초기 첨가된 염농도에 관계없이 생오이 색소추출액과는 다른 흡광도 변화를 나타내어 410, 505, 538, 607, 565 nm에서 새로운 피크를 형성하였다. 경도는 염농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시판 고춧가루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 황성연;안영훈;신길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18-422
    • /
    • 2001
  • 시판되는 4개 사 고춧가루를 구입하여 고춧가루의 품질에 관한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고춧가루 선호도를 결정하는 것은 색상인데 C사 제품의 L값이 46.667로 가장 높았으며 a, b값도 22.738과 19.941로 제일 높게 나왔다. 고추의 적색소인 capsanthin은 D사가 80.0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A, C, B사가 각각 75.0, 58.9, 51.0mg/100g 순이었고 ASTA color 도 같은 경 향을 보였다. Capsanthin 양과는 달리 L, a, b값 모두 C사가 제일 높게 나왔는데 이는 고춧가루의 입도에 의한 영향 때문으로 여겨진다 각 고춧가루의 pH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유기산은 A, B, D사 제품에서 quin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C사 제품은citric acid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신미성분 가운데 capsaicin은 D사가 59.93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B사가 25.87mg/100g으로 제일 적었으며 capsaicinoids는 각각 62.93, 28.20mg/100g로 나타나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미생물의 발생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는 수분활성 도는 A, B, C, D사가 각각 0.584, 0.676, 0.526 및 0.568 로 나타나 A, C, D사 제품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측되나 B사 제품의 수분활성도가 0.676으로 곰팡이 발생 우려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한국어판 프리셉터 교육행동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 for Nurse Preceptors in Korea)

  • 정면숙;김은경;김세영;김종경;유선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26-537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 Methods: The English CTBI-23 was translated into Korean with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80 nurses' preceptors at five acute-care hospitals in Korea.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evaluated. Cronbach's ${\alpha}$ was used to assess reliability. SPSS 24.0 and AMOS 22.0 softwa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CTBI Korean version consists of 22 items in six domains, including being committed to teaching, building a learning atmosphere, using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guiding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providing feedback and evaluation, and showing concern and support. One of the items in the CTBI was excluded with a standardized factor loading of less than .05.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good fit and reliable scores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CTBI model. A six-factor structure was validated ($x^2=366.30$, p<.001, CMIN/df=2.0, RMSEA=.06, RMR=.03, SRMR=.05, GFI=.90, IFI=.94, TLI=.92, CFI=.94).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core competency evaluation tool for preceptors was .77 (p<.001). The Cronbach's ${\alpha}$ for the overall scale was .93, and the six subscales ranged from .72 to .85.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CTBI-22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identifying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s of preceptors in Korea. The CTBI-22 also could be used as a guide for the effective teaching behavior of preceptors, which can help new nurses adapt to the practicalities of nursing.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킨 아미노산 염 수용액의 이산화탄소 흡수특성 연구 (CO2 Absorption by Alkali-modified Amino Acid Salts)

  • 임윤희;조영민;박준석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526-531
    • /
    • 2011
  • 본 연구는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미노산에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키는 것이다. 사용된 아미노산은 글리신이었으며, 알칼리성분 추가에 따라 pH가 11까지 증가하였다. 시험제조한 아미노산 염은 회분식과 연속식 흡수공정에서 이산화탄소의 포집능을 평가하였다. 치환된 금속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Sodium Glycinate (Na-Gly) ${\geq}$ Lithium Glycinate (Li-Gly) > Potassium Glycinate (K-Gly) 순으로 나타났다. 흡수반응온도에 따른 $CO_2$ 흡수량 시험결과, $20^{\circ}C$에서는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킨 아미노산 염이 1차 아민보다 약간 낮은 흡수능을 보였으나, 연속식 흡수반응기에서는 10% $CO_2$ 흐름에 대하여 반응기 내부온도가 상승하면서($40^{\circ}C$, $60^{\circ}C$) 아미노산 염의 흡수량 증가폭이 아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작용에 따른 모르타르 내구성 검토 (The Examination of Mortar Durability by Microbial Biomineralization)

  • 김성태;천우영;김화중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525-52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Sporosarcina pasteurii라는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작용을 이용하여 Calcite($CaCO_3$) 석출을 유도하고, 이를 Mortar에 적용하여 요구 성능 향상을 평가하였다. Sporosarcina pasteurii를 혼입(input)한 Mortar 시험체(C3S-S.p)와 일반 Mortar 시험체(C3S-W)의 중성화 반응을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결과 C3S-S.p가 C3S-W에 비해 중성화가 지연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8日간 Urea-CaCl2 수용액(Medium)에서 양생한 C3S-S.p와 C3S-W의 내구성을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결과 Sporosarcina pasteurii를 혼입한 Mortar 시험체(C3S-S.p)가 일반 Mortar 시험체(C3S-W)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acile analysis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living cells by enriched visualization of the p-body

  • Choi, Miri;Baek, Jiyeon;Han, Sang-Bae;Cho, Sungchan
    • BMB Reports
    • /
    • 제51권10호
    • /
    • pp.526-531
    • /
    • 2018
  • Protein-Protein Interactions (PPIs) play essential roles in diverse biological processes and their misregulations are associated with a wide range of diseases. Especially, the growing attention to PPIs as a new class of therapeutic target is increasing the need for an efficient method of cell-based PPI analysis. Thus, we newly developed a robust PPI assay (SeePPI) based on the co-translocation of interacting proteins to the discrete subcellular compartment 'processing body' (p-body) inside living cells, enabling a facile analysis of PPI by the enriched fluorescent signal. The feasibility and strength of SeePPI (${\underline{S}}ignal$ ${\underline{e}}nhancement$ ${\underline{e}}xclusively$ on ${\underline{P}}-body$ for ${\underline{P}}rotein-protein$ ${\underline{I}}nteraction$) assay was firmly demonstrated with FKBP12/FRB interaction induced by rapamycin within seconds in real-time analysis of living cells, indicating its recapitulation of physiological PPI dynamics. In addition, we applied p53/MDM2 interaction and its dissociation by Nutlin-3 to SeePPI assay and further confirmed that SeePPI was quantitative and well reflected the endogenous PPI. Our SeePPI assay will provide another useful tool to achieve an efficient analysis of PPIs and their modulators in cells.

Fermentation of carboxymethylcellulase using recombinant DNA-Bacillus megaterium

  • Son, Kwang-Hee;Jang, Jong-Hyun;Kim, Jung-Ho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5.3-526
    • /
    • 1986
  • For the analysis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plasmid coded product, car-boxymethylcellulase in a recombinant DNA cell fermentation system, batch and continuous ferment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a Bacillus megaterium ATCC 14945 transformed with a plasmid, pCK 108 haboring carboxymethyl cellulase gene. The effect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and of temperature and pH on cell growth, product yield, plasmid stability, specific plasmid contents of cell, and gene expression efficiency were carefully studied. These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discussed in some details.

  • PDF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Purified Terephtalic Acid (PTA) Production in a Two-stage Anaerobic Expanded Granular Sludge Bed System

  • Lee, Young-Shin;Han, Gee-Bo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355-361
    • /
    • 2014
  • The wastewater treatment with a two-phase expanded granular sludge bed (EGSB) system for anaerobic degradation of acetate, benzoate, terephtalate and p-toluate from purified terephtalic acid (PTA) production was studi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ystem was evaluated in terms of organic oxidation by chemical oxygen demand (COD), gas production, bacterial adaptability and stability in the granular sludg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93.5% and 72.7% were achieved in the EGSB reactors under volumetric loading rates of $1.0-15kg-COD/m^3/day$ and terephtalate and p-toluate of 351-526 mg/L, respectively. Gas production reached total methane production rate of 0.30 L/g-COD under these conditions in the sequential EGSB reactor system. Higher strength influent COD concentration above 4.8 g-COD/L related to field conditions was fed to observe the disturbance of the EGSB re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