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davidiana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추출액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n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7-345
    • /
    • 2004
  • Streptozotocin(STZ 55mg/kg., I.P. injection)으로 유발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에 있어서, 돌복숭아(Prunu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생리활성 추출액(5.0 g% extract)의 급여에 의한 혈당, 혈청지질 개선 효과 및 간 기능 효소의 활성 변화를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 만을 급여한 대조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군과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적으로 저하됨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또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LDL,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비, 중성지방, 인지질 농도 등도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에서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 -콜레스테롤 비 등은 추출액 급여로 인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혈청 AST, 혈청 ALT, LDH 및 ALP 활성은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해 저하되는 것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돌복숭아 중의 생리 활성 물질이 혈당 조절 기능 이상, 혈청 지질 대사 이상 및 간 기능 장애 등에서 오는 성인병 예방 차원 및 개선 작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두릅나무과 열수추출물이 당뇨흰쥐의 혈당과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aliaceae Water Extracts on Blood Glucose Leve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Diabetic Rats)

  • 신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8호
    • /
    • pp.721-72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alia elata, Acanthopanacis cortex and Ulmus davidiana water extracts on blood hemoglobin, $HbA_{1c}$, levels and biomarkers in the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Male Wistar rats divided into normal and diabetic groups. The diabetic groups sub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DM) and Araliaceae water extracts supplemented groups: Aralia elata (AE), Acanthopanacis cortex (AC) and Ulmus davidiana (UD). The extracts were supplemented in diet base on 11.42 g of raw Araliaceae/kg diet for 7 weeks. The diabetes was induced by injecting 572 (55 mg/kg B.W., i.p.) once 2 weeks before sacrifying. Relative weights of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DM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whereas those of kidney and hear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M group. Supplementation of the Araliaceae water extracts improved reduced liver weigh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ereas insul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DM groups. However, these parameters were normalized in the An, AC and UD supplemented groups, respectively. Blood hemoglobin and $HbA_{1c}$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en all of Araliaceae water extracts were supplemented to the diabetic rats lowered hemoglobin and $HbA_{1c}$ levels. Red blood cell, white blood cell and Lymphocy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supplementation of Araliaceae family water extracts significantly lowered these parameters compared to the DM group. MCV, MCH contents were declined in the DM group, while the supplementation of Aralia elata, Acanthopanacis cortex and Ulmus davidiana water extracts elevated of these conten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According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ralia elata, Aeanthopanacis corex and Ulmus davidiana water extracts would seem to improve the blood biomarker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유근피 추출물이 B6C3F1 마우스 신장에서 반응성 산소종의 발생과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 of Ulmus davidiana Root on the Activity of Enzymes Related to the Removal of Reactive Oxygens in B6C3F1 Mouse Kidney)

  • 홍종연;송혁환;이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7-583
    • /
    • 2006
  • 유근피 추출물을 20주간 장기 복용한 B6C3F1 마우스의 신장에서 노화 및 생체 독성의 중요한 지표로 알려진 반응성 산소종 발생 및 제거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 현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1군(대조군), 2군(암유발군-DEN을 주사하여 암유발), 3군(유근피 복용군), 4군(유근피 암치료군-DEN을 주사한 후 유근피복용), 5군(유근피 암예방군-유근피를 먹이면서 DEN 주사)등 5개군으로 나누었다. 암을 유발시킨 군에 유근피 추출물을 투여시 4군 및 5군에서 암유발군에 비해 유의적(p<0.01)으로 감소된 xanthine oxidase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Cu,Zn-SOD의 활성도는 정상군과 처리군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Mn-SOD의 활성도는 정상군보다 암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암유발군(2군)과 유근피 암치료군(4군)은 대조군 보다 catalase 효소이 낮았으며, 유근피 암예방군(5군)에서는 암유발군(2군)보다 catalase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유발군(2군)에서는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암물질 처리와 동시에 유근피 추출물을 처리한 유근피 암예방군(5군)에서는 기타 실험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p<0.01) 나타났다. 대조군(1군)에 비해 암유발군(2군)에서 지질의 과산화도는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근피 복용군(3군)에서도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암발생 후 유근피 추출물 식이군인 유근피 암치료군(4군)과 암발생과 동시에 유근피 추출물을 식이한 유근피 암예방군(5군)의 경우 암유발군(2군)보다 지질의 산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土壤水分)이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Soil Moisture Content Affecting Rooting of Cutting and Height Growth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Parents)

  • 손두식;신종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74-78
    • /
    • 1984
  • P. alba ${\times}$ P. glandulosa 및 P. glandulosa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가장 적합한 Soil water potential (${\Psi}_s$)은 -0.05 bars이었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적합할 때는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나 ${\Psi}_s$=-0.5bars 이하(以下)에서는 모두 불량(不良)한 생장(生長)을 하였고 수종간(樹種間)에 큰 차(差)가 없었다. 특(特)히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할 때는 생장(生長)에 대한 잡종강세(雜種强勢)의 현상(現象)이 나타났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할 때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aspen은 삽목발근(揷木發根)이 전연(全然) 안되는데 반하여 P. glandulosa는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낮기는 하지만 23%나 되는 것은 P. alba의 삽목발근인자(揷木發根因子)가 유인(流人)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P. glandulos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사시나무와 은백양의 잡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생장(生長)도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중간 정도이며 토양수분(土壤水分)에 대한 생장(生長)의 민감도는 은백양과 비슷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P. glandulosa가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자연잡종임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 PDF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水分蒸散)의 변이(變異)와 유전(遺傳) (Variation and Heredity of Stomatal Frequency, Stomatal Size and Transpiration in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Its Parents)

  • 손두식;김광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5권1호
    • /
    • pp.51-54
    • /
    • 1986
  •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산록부(山麓部)에서는 잘자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한 산복(山腹) 이상(以上)에서는 잘자라지 않는 것은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가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와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과 일치(一致)하는지를 조사(調査)하고 이러한 형질(形質)이 차대(次代)에 어느 정도 유전(遺傳)하는지를 알고저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엽리면(葉裏面)의 기공빈도(氣孔頻度)(number/$mm^2$), 기공(氣孔)길이 및 폭과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g/dm^2$)은 P. alba 는 높고 P. davidiana가 가장 낮았으며 P. alba ${\times}$ P. glandulosa 는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중간수치(中間數値)를 나타내었다. P. alba ${\times}$ P. glandulosa의 기공빈도(氣孔頻度)는 교배양친평균(交配兩親平均)인 이론치(理論値)와 일치(一致)하므로 교배양친(交配兩親)의 중간(中間)을 나타내고,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에서도 교배양친평균(交配兩親平均)과 P. alba ${\times}$ P. glandulosa 간에 회귀계수(回歸係數) $b_{yx}=0.97$로서 높은 회귀계수(回歸係數)를 나타내어 P. alba ${\times}$ P. glandulosa 의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은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중간(中間)을 나타내며 기공(氣孔)크기에서도 교배양친(交配兩親)의 중간(中間)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特性)은 불완전우성(不完全優性)으로 간주된다. P. alba ${\times}$ P. glandulosa와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에서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은 토양수분(土壤水分)의 요구도(要求度)와 일치(一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Inhibitory effect of Ulmus davidiana Planch extracts on bone resorption mediated by processing of cathepsin K in cultured mouse osteoclasts

  • Park, Jun-Sung;Kim, Kyung-Ho;Jo, Hyun-Seog;Kim, Kap-Sung;Hwang, Min-Seo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55-70
    • /
    • 2005
  • Objective: Ulmus davidiana Planch (Ulmaceae) has long been known to have anti-inflammnatory in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UD has been reported as a good enhancer for bone healing. Methods : In this experiment, we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UD on bone resorption using the bone cells cultur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rude extract of UD were added to mouse bone cells culture. The mitochondria activity of the bone cells after exposure was determined by colorimetric MIT assay. It was demonstrated that UD has potential effects on bone cells culture without any cytotoxicity.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UD on bone cells were $100\;{\mu}g/ml$. Cathepsin K (Cat K) is the major cysteine protease expressed in osteoclasts and is thought to play a key role in matrix degradation during bone resorption. Results : When mouse long bone cells including osteoclasts and osteoblast were treated with the PI3-Kinase inhibitor, wortmannin (WT), WT prevented the osteoclast-mediated intracellular processing of Cat K. Similarly, treatment of osteoclasts-containing long bone cells with UD extracts prevented the intracellular maturation of Cat K, suggesting that UD may disrupt the intracellular trafficking of pro Cat K. This is similar to that of WT. Since secreted proenzymes have the potential to reenter the cell via mannose-6-phosphate (M6P) receptor, to prevent this possibility, we tested WT and UD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M6P. Inhibition of Cat K processing by WT or UD was observed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addition of M6P resulted in enhanced potency of WT and UD. Conclusion : UD dose-dependently inhibited in vitro bone resorption with a potency similar to that observed for inhibition of Cat K processing.

  • PDF

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Planch) 부정근 절편으로 부터 부정아 유도를 통한 식물체 생산 (Plant Regeneration Via Direct Adventitious Roots from Free Root Segments of Ulmus davidiana Planch)

  • 김지아;유향령;안창호;이재선;최용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83-88
    • /
    • 2007
  • 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Planch) 기내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유식물의 뿌리로부터 부정근을 유도 한 후 이들 부정근 절편으로부터 부정아 유도과정을 거쳐 식물체를 재생시켰다. 기내발아 식물체의 뿌리 절편을 0.2 mg/L IBA 처리한 1/2 SH 배지에 배양한 결과 다수의 부정근을 유도할 수 있었다. 유도된 부정근으로 부터 절편을 만들어 부정아 유도를 위해 MS배지에 4가지 종류의 cytokinin(zeatin, 2-iP, BA, kinetin)을 첨가한 결과 0.2 mg/L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높은 부정아 유도율과 절편 당 부정아수를 얻었다. 유도된 부정아로부터 줄기생장 및 뿌리유도를 위한 실험에서 줄기 생장은 1/2 WPM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뿌리유도는 1/4 WPM배지에는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기내 재분화묘를 기외로 순환시킨 결과 4주후 100%의 식물체 생존율을 얻었다.

채취 시기에 따른 느릅나무의 종자 형질 및 발아 특성 변화 (Change i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Seed Collection Time)

  • 탁우식;최충호;김태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16-322
    • /
    • 2006
  • 느릅나무는 개화 후 결실에 이르는 기간이 매우 짧으며, 또한 단시일에 결실에서 낙과(落果)에 이르기 때문에 적정 채취 시기를 구명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이를 해결하고자 채취 시기별 종자 형질 및 발아 특성을 관찰하고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자는 강원 정선지역에서 낙화 후 1주일인 2005년 4월 21일부터 7일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채취 시기에 따른 종자 형질 및 발아 특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종자의 크기는 채취 시기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수분 함량은 5월 5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실중은 5월 12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채취 시기는 종자 특성 중 종자 크기와 높은 정의 상관(r=0.790, p<0.01)을, 수분 함량과는 부(-)의 상관(r=-0.919, p<0.01)을 보여주었다. 발아율은 5월 5일 채취한 종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후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평균 발아 일수, 발아 속도 및 발아 균일 지수 역시 5월 5일 채취한 종자에서 가장 높았다. 발아율, 평균 발아 일수 및 발아 속도는 실중을 제외한 모든 종자 특성과 상관성을 나타냈다. 종자 채취 시기에 따른 유묘의 상대생장율 및 엽록소 함량에 있어 5월 5일 채취한 종자의 유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느릅나무 종자는 외형적으로 건조가 시작되기 전 단계인 개화 종료 후 약 20일 후에 채취하여 파종하면 활력이 좋은 유묘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릅, 오가피 및 느릅 열수추출물이 Streptozotocin 투여 흰쥐의 혈장바이오마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alia elata, Acanthopanacis cortex and Ulmus davidiana Water Extracts on Plasma Biomarkers in Streptozotocin - Induced Diabetic Rats)

  • 신경희;조수열;이미경;이정숙;김명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57-1462
    • /
    • 2004
  • Wistar계 흰쥐에게 두릅, 오가피 및 느릅의 열수추출물을 급여하여 7주간 급여하였으며 희생 2주전에 STZ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혈당이 300 ㎎/dL 이상인 흰쥐를 대상으로 혈장 중의 포도당 농도 및 바이오마커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혈장의 포도당 함량은 두릅나무과 식물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혈당저하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혈장의 인슐린과 C-펩타이드 함량 역시 두릅, 오가피 및 느릅 열수추출물 급여시 STZ 투여에 의한 변화가 완화되었다. 혈장 중의 알부민 함량은 당뇨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실험식이 급여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빌리루빈과 크레아티닌 함량은 STZ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실험식이를 급여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두릅, 오가피 및 느릅 열수추출물은 당뇨 유발로 증가된 혈장의 AST, ALT, ALP 및 LDH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두릅나무과 식물 중 두릅, 오가피 및 느릅의 열수추출물은 STZ 투여 흰쥐의 혈당강하 및 혈장바이오마커의 변화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Anti-Obesity and Lipid Metabolism Effect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in Mice Fed a High-Fat Diet

  • Lee, Sung-Gyu;Kang, 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7호
    • /
    • pp.1011-1021
    • /
    • 2021
  • The root bark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Japanese elm) is used in Kore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as a traditional herbal remedy to treat a variety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ailments such as edema, gastric cancer and mastitis.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icacy of ethyl alcoh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oot bark (UDE). First, HPLC was performed to quantify the level of (+)-catechin, the active ingredient of UDE. In the following experiments, cultured 3T3-L1 pre-adipocytes and high-fat diet (HFD)-fed murine model were studied for anti-obesity efficacy by testing the lipid metabolism effects of UDE and (+)-catechin. In the test using 3T3-L1 pre-adipocytes, treatment with UDE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 of adipogenic genes and transcription factors PPARγ, C/EBPα and SREBP-1c. HFD-fed, obese mice were administered with UDE (200 mg/kg per day) and (+)-catechin (30 mg/kg per day) by oral gavage for 4 weeks. Weight gain, epididymal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ma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a change in adipocyte size was observed in the UDE and (+)-catechin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p < 0.001). Significantly lowe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detected in UDE-treated HFD mice compared to the control, revealing the efficacy of UD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lipid accumulation in hepatocytes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after administration of U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UDE has significant anti-obesity and lipid metabolism effects through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