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검색결과 147,726건 처리시간 0.103초

살구즙을 첨가한 건식 쌀가루 행병의 품질 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engbyeong using Dry Rice Flour added with Raw Apricot Juice and Steamed Apricot Juice)

  • 박경애;정효선;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36
    • /
    • 2016
  • 본 연구는 살구즙의 처리방법(생살구즙과 찐살구즙)과 첨가량(0, 20, 40, 60%)을 달리하여 건식 쌀가루를 이용한 행병을 제조하였으며, 수분, 색도, pH, texture 분석 및 관능검사를 통해 품질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살구즙을 첨가한 행병의 최적 제조 조건을 제시하였다. 살구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행병의 수분 함량(p<0.001)과 pH(p<0.001)는 감소하였으며, L값(p<0.001)은 감소하였고, a값(p<0.001)과 b값(p<0.001)은 증가하였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p<0.001)와 검성(p<0.001)은 증가하였지만, 부착성(p<0.001)과 응집성(p<0.05)은 감소하였다. 특성 차이조사 결과, 외관 특성에서는 살구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살구색(p<0.001)과 건조함(p<0.001)도 증가하였으며, 향미특성에서는 새콤한 향(p<0.001), 시큼한 향(p<0.001), 풋과일향(p<0.001)이 살구 첨가량의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맛 특성에서는 신맛(p<0.001), 시큼한 맛(p<0.001), 떫은 맛(p<0.05)이 살구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평가되었다. 기호도 조사 결과, 대조군과 살구즙 20% 첨가 행병에서 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서울지역 20대 커피전문점 교대근무 여성의 식행동 및 식품섭취빈도 비교 (Dietary Behavior and Food Frequency of Females in Their Twenties Working Shifts at Coffee Shops in Seoul)

  • 김수진;이승림;엄애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15-229
    • /
    • 2013
  • 본 연구는 테이크아웃 형태의 커피전문점에 주간과 야간으로 교대 근무를 실시하는 20대 여성 근로자 100명과 주간 근무를 실시하는 20대 여성 사무직 여성 근로자 100명의 식행동과 식품섭취 상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환경 요인은 월 평균 수입(p<0.001)과 재직기간(p<0.001)에서는 실험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생활습관 및 건강관련 요인은 실험군에서 최근 1년간 체중변화(p<0.001)과 위 장 관련 질환이 유의적(p<0.001)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군에서 취침시간(p<0.001)은 늦게 자고, 수면시간(p<0.001)도 짧게 나타났다. 실험군은 규칙적인운동(p<0.001)은 낮고, 흡연(p<0.001)은 높게 나타났다. 식행동에서 식사동반자 부분에서 혼자 먹는 비율(p<0.001), 과식빈도(p<0.001), 아침결식빈도(p<0.001), 그리고 야식의 빈도(p<0.001)는 높게 나타났고, 규칙적인 식사(p<0.001)와 균형식의 비율은(p<0.001) 낮게 나타났다. 식품섭취빈도는 실험군에서 밥류(p<0.001), 육류(p<0.001), 생선(p<0.001), 난류(p<0.001), 두류(p<0.001), 김치(p<0.001), 채소류(p<0.001), 과일류(p<0.001)의 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났고, 면류(p<0.001)와 빵류(p<0.001), 시리얼(p<0.01), 해조류(p<0.001), 우유(p<0.001)와 커피(p<0.001), 그리고 알콜(p<0.001)은 높게 섭취하고 있었다.

  • PDF

MANET에서 장치의 이동성을 고려한 클러스터 기반 P2P 알고리즘 (Cluster-based P2P scheme considering node mobility in MANET)

  • 우혁;이동준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15-1024
    • /
    • 2011
  • 최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P2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록 유선 네트워크에서 P2P 알고리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기존 P2P 프로토콜들은 장치의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아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 Mobile Ad-hoc Network)에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장치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클러스터 기반의 새로운 P2P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기존의 클러스터 기반의 P2P 알고리즘에서 각 클러스터는 슈퍼피어와 슈퍼피어에 자신이 갖고 있는 파일 목록을 등록한 피어들로 구성된다. 이동성이 높은 피어들은 클러스터 간에 자주 핸드오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슈퍼피어에 파일 목록을 등록하기 위한 트래픽이 많이 발생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 이동성이 낮은 피어들은 기존의 클러스터 기반 P2P의 피어들과 동일하게 동작하고, 이동성이 높은 피어들은 다르게 동작한다. 즉 이동성이 높은 피어들은 새로운 클러스터에 참여시, 자신의 존재를 슈퍼피어에게 알리지만 파일 목록을 등록하지는 않으며 파일을 찾고자 할 때 우선 슈퍼피어에 등록된 파일 목록을 검색하고 만약 찾지 못하였을 경우 검색 메시지를 클러스터 내에 전파(broadcast)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 알고리즘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P2P 트래픽과 라우팅 트래픽에 대한 분석과 최적화를 수행하였고 수학적 모델링 결과에서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이 기존의 클러스터 기반 P2P 알고리즘과 Gnutella 알고리즘에 비해 비슷하거나 더 좋음을 보였다.

플라스미드 pKM101 과 pSL4 의 muc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mue Gene on Plasmid pKM101 and pSL4)

  • 전홍기;황유경;이상률;백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71-376
    • /
    • 1992
  • 플라스미드 pKM101 과 이의 돌연변이체 pSL4 는 UV 및 MMS 에 대해 높은 치사 저항성과 돌연변이률을 나타낸다. pKM101 과 pSLA 의 mucB 유전자의 일부분과 mucA 유전자를 lacZ fusion 벡터인 pMC874 에 subcloning 시켜 플라스미드 pBH31 과 pBH30 을 선별하였고 이 플라스미드들을 $recA^{+}lexA^{-}$, $recA^{-}와lexA^{+}$, 균주에 각각 도입하였다. $recA^{+}lexA^{+}$ 균주에서 pSLA 의 muc 유전자를 포함하는 pBH30 의 $\beta$-galactosidase활성은 pKM101 의 muc 유전자가 연결된 pBH31 보다 높았고 $recA^{-}$$lexA^{-}$ 돌연변이주에서는 UV 조사의 유무에 관계없이 $\beta$-galactosidase를 유도하지 못하였지만 $recA^{-}$ 균주에서는 UV 조사를 하지 않았을 때 pBH30 의 $\beta$-galactosidase가 pBH31 보다 약간 높게 유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KM101 과 pSLA 의 기능적 차이가 두 플라스미드의 Muc 단백질의 구조적 차이라고 생삭할 수 있지만, muc 유전자의 조절부위가 돌연변이되너 LexA repessor 가 작용하는 부위의 변화에 의한 것이라고도 생각햐ㄹ 수 있었다. 또한, umuC-lacZ 유전자를 가지는 pBH100 를 construction 하여 umu oeron 의 발현은 UV 조사에 의해 유도되며 recA 와 lexA 유전자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포장조건에서 주요 배 유전자원과 종간교배 집단의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Scab Resistance of Some Pear Genetic Resources and Inter Specific Hybrid Seedlings in Field Condition)

  • 김윤경;정해원;원경호;강삼석;이욱용;한태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6-302
    • /
    • 2019
  • 본 연구는 주요 배유전자원 43 accession을 대상으로 육종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배 유전자원 선발과 종내 또는 종간 5개 교배집단 609 seedling에서 배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발현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P. pyrifolia, P. bretschneideri, P. ussuriensis는 검은별무늬병 병든 과실률이 각각 59.5, 73.4, 63.0%, P. pyrifolia와 P. bretschneideri 종간 교잡으로 얻어진 품종은 77.7%로 병든 과실률이 비교적 높았으나 P. communis, P. pyrifolia ${\times}$ P. communis종간교잡에 속하는 품종들은 15% 미만의 병든 과실률을 보였다.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을 종별로 구분하여 Duncan 검정한 결과, P. bretschneideri, P. pyrifolia, P. ussuriensis, pyrifolia ${\times}$ P. bretschneideri 종이 P. communis, P. pyrifolia ${\times}$ P. communis두 개 종 그룹보다 검은별무늬병 병든 과실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이러한 경향은 교배집단에서도 동일하였다. P. pyrifolia 종내 교배집단은 80% 이상의 검은별무늬병 감염률을 보인 반면, P. pyrifolia ${\times}$ P. communis의종간교배 집단은 2% 수준의 낮은 배 검은별무늬병 감염률을 보였다. P. pyrifolia 와 P. communis를 종간교배 하면 서양배의 저항성 인자가 우성으로 작용하여 그 후대에서 배 검은별무늬병에 강한 개체들이 대부분 얻어지기 때문에 P. communis는 배 검은별무늬병저항성 품종 육종소재로 적합하다.

EMBEDDING OF WEIGHTED $L^p$ SPACES AND THE $\bar{\partial}$-PROBLEM

  • Cho, Hong-Rae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73-80
    • /
    • 2003
  • Let D be a bounded domain in $\mathbb{C}^n$ with $C^2$ boundary. In this paper, we prove the following inequality $${\parallel}u{\parallel}_{p_2,{\alpha}_2}{\lesssim}{\parallel}u{\parallel}_{p_1,{\alpha}_1}+{\parallel}\bar{\partial}u{\parallel}_{p_1,{\alpha}_1+p_1}/2$$, where $1{\leq}p_1{\leq}p_2<\infty,\;{\alpha}_j>0,(n+{\alpha}_1)/p_1=(n+{\alpha}_1)/p_1=(n+{\alpha}_2)/p_2$, and $1/p_2{\geq}1/p_1-1/2n$.

  • PDF

피트니스센터 이용자들의 운동처방환경서비스와 참가정도가 이용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and Participation Level on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Fitness Center Users)

  • 박혜민;양정수;이상덕;유신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17-228
    • /
    • 2019
  • 본 연구는 강원도 C지역 피트니스 센터 이용고객들을 대상으로 운동처방환경서비스가 이용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설계되었다. 연구대상은 만20세 이상의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 250명이었으며, 설문조사 실시 후 최종 분석 자료는 227부이었다. 이를 토대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라 성별은 이용만족도의 시설(t=2.308, p=.022)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은 이용만족도의 가격(t=2.490, p=.014)과 재이용의도(t=-1.968,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은 참가정도의 기간(F=7.117, p=.000), 빈도(F=6.171, p=.000), 강도(F=2.791, p=.027)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용만족도는 가격(F=6.171, p=.000), 지도자(F=3.083, p=.017)와 재이용의도(F=2.699, p=.032)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은 참가정도의 기간 (F=3.656, p=.007), 빈도(F=3.164, p=.015)와 이용만족도는 지도자(F=5.170, p-.001), 가격(F=2.899, p=.023)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은 참가정도의 기간(F=4.685, p=.000), 강도(F=2.373, p=.023)와 재이용의도(F==4.840,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월 소득은 이용만족도의 가격(F=4.651, p=.001), 시설(F=2.606, p=.037)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 처방 서비스 유무에 따른 참가정도에서는 기간(t=-4.410,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용만족도에서는 가격(t=-7.951, p=.000), 지도자(t=5.304, p=.000), 시설(t=2.033, p=.043)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재이용의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4.640, p=.000). 셋째. 운동처방환경서비스에 따른 참가정도는 강도에서 이용만족도의 지도자(β=.221, p=.001), 가격(β=.135, p=.045)의 변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이용의도(β=.182, p=.007) 또한 강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처방환경서비스에 따른 이용만족도 중 시설(β=.178, p=.005), 지도자(β=.497, p=.000)는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인식수준에 따른 한방의료기관 이용환자의 특성 비교 - 2011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elf-Perceived Health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Facilities - Based 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Report on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in 2011 -)

  • 성안젤라동민;최성용;박해모;;이선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43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elf-perceived health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facilities. Method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on patients whom have visited traditional Korean medical facilities in 2011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and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Using a sample of 3,931 (1,180 male and 2,751 female) outpatients' self-perceived health based on the data from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Healthy', 'Fair', and 'Poor Health' were used to measure patien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t-test,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package. Results : Sex(P<0.001), age(P<0.001), marital status(P<0.001), education(P<0.001), employment status(P<0.001), occupation(P<0.001), health insurance(P<0.001) and income level(P<0.0001)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Main Treatment Facilities(P<0.001), experience of taking Korean medicine(P=0.032), experience of receiving acupuncture treatment(P<0.001), number of visits(P<0.001), medical expense (P=0.005),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fter the treatmen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Korean herbal medicine(P=0.038), acupuncture (P=0.001), cupping therapy(P=0.006), oriental physiotherapy(P=0.003), and treatment satisfaction(P<0.001).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based on suffering disorders in the past three months, the response of poor health was higher in the group suffering recent illness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en in hypertension (P=0.002), arthritis(P<0.001), lumbar pain(P<0.001), diabetes mellitus(P=0.001), stroke(P<0.001), hwa-byung (P=0.001), gastric disorders(P=0.021), common cold(P<0.001), ankle sprain(P<0.001), muscular injury(P<0.001), lumbar sprain(p=0.009) and fracture(P=0.03). Also the number of diseases during the past three month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P<0.001).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lso seen in Level of knowledge(P<0.001), route of information(P<0.001), reliability of Korean medicine(P=0.003), insurance coverage(P=0.005), medical costs(P<0.001), and future willingness to use Korean medicine(P<0.001). As a result of the multiple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risks of subjective poor health statistically increased in female population, elderlies, medicaid beneficiaries, less educated, higher medical expense, and more disorders during the past three months. Conclusion : Patien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has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each variables such a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health insurance, medical expense, number of diseases.

물과 토양에서 pH, PO4-P, 탁도 그리고 T-P 농도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of concentration of phosphorus, turbidity and pH with temperature in water and soil)

  • 민영홍;현대용;음철헌;정남현;강삼우;이승호
    • 분석과학
    • /
    • 제24권5호
    • /
    • pp.378-386
    • /
    • 2011
  • 본 연구는 호수바닥에 있는 침전물로부터 인의 용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인이 물로 용출될때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온도가 증가하면 PO4-P가 평형에 빨리 도달하고, 평형농도가 증가하며, $PO_4$-P의 용출 증가로 인하여 pH가 감소한다. 즉, $PO_4$-P의 용출이 pH의 감소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탁도물질에서 용출된 $PO_4$-P는 물에 용존하며, 탁도물질에 흡착되지 않기 때문에 탁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점진적인 증가를 나타냈지만, $PO_4$-P는 탁도에서 용출되기 때문에 탁도와 관련이 있다. 총인(Total phosphorous, T-P)은 용존성 $PO_4$-P와 탁도물질에 포함된 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탁도의 변화에 직접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온도가 감소하면 물의 밀도가 증가하여 탁도의 침전이 감소하기 때문에 탁도의 농도가 높아져 T-P 농도를 증가시키며, 온도가 증가하면 물의 밀도감소로 인하여 탁도물질의 침전이 용이해져서 탁도는 감소하지만 $PO_4$-P의 용출이 증가하여 T-P 농도가 증가했다. 따라서 동일 시간대의 T-P는 온도가 달라도 유사한 농도를 가졌다. 호수가 깊어지면 저층수의 온도가 감소하여 인의 용출이 감소하므로 이 메카니즘은 호수 바닥으로부터 물로 용출되는 인에 대하여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에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