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seas construction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7초

효율성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건축설계분야의 해외건설 계약단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Design Contract Phase in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through the Analysis of Inefficient Factors)

  • 임재복;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5-162
    • /
    • 2010
  • 세계 시장에 먼저 뛰어든 건설업계에 이어 국내 설계분야 또한 최근 해외 진출이 활발해 지고 있으며, 그의 대부분은 디자인빌드(Design-Build)계약을 통해 동남아,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계약단계에서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존재하는 해외건설의 특수성으로 인한 업무상 많은 시행착오와 그로 인한 실패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 분야의 해외진출 현황 통계 및 사례들을 통해 문제점을 제시하고,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건축설계분야 해외건설 계약단계의 효율성 저해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설 결과를 바탕으로 마스터아키텍트제도 도입 및 내부 평가조직 구성을 통한 문제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는 해외건설시장의 신규 진출 기업에게 실무적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해외건설수주액 예측을 위한 최적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Optimal Model for Forecasting Overseas Construction Orders)

  • 이광원;조웅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0-37
    • /
    • 2020
  • 본 연구는 해외건설수주액을 설명하는 다양한 시계열 모형의 비교와 검증을 통해, 예측력 관점에서 가장 적합한 해외건설수주 예측모형을 선택하고(모형선택), 이를 다른 국가의 해외건설수주 예측에도 적용하여 개발된 모형의 보편성을 확인하는데(일반화 검증)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1981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도별 해외건설수주액, 두바이유가 및 국가별 환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2016~2019년간 예측치와 실측치 간의 오차(MAPE, RMSE, MAE)가 낮고, 2018-2019년간 해외건설수주액 증감여부를 정확하게 맞추는 모형을 선택하였는데, 이러한 기준에 따라 VAR모형이 선택되었다. 이를 활용하여 중국 해외건설수주액을 예측한 결과도 실제와 부합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추후 세계 건설수주 시장 전반을 분석하는 종합적 모형개발 가능성을 시사한다.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PRM)가 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해외건설사업 수행단계 전반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Risk Management (PRM) on the Project Success: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Phase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 정설림;김대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1-230
    • /
    • 2023
  • Under increased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it is important for construction companies to improve their own project risk management capabilities instead of risk-taking strategie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Although most of the risks occur in project execution stage, many previous studies focused on planning stage including risk identification and analysis among PRM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whole PRM process during project execution stage through empirical study on participants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first, the factor directly affects the project success is the execution process of PRM. It implies that appropriate actions such as appointing charged manager for risks, timely implementation of responding plan, continuous risk monitoring and updating established plan are the key for contribution to the project success. Seco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PRM is also found, which is not conducted at a specific but throughout the entire PRM process and need to be managed as essential factor for successful PRM..

기업의 해외 도시개발 시장진출을 위한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 IPA 기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stablishing Entry Strategies of Private Engineering Firms in the Overseas Urban Development Market)

  • 송호경;유영수;구본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6-95
    • /
    • 2019
  • 국내 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 SOC)에 대한 예산축소 및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 등으로 도시개발 경기가 침체되고 있어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건설기업은 해외 도시개발 시장에서 금융조달 및 해외 프로젝트 관리 능력이 우수한 해외 선진 기업들에 비해 열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기업은 진출 국가의 환경과 수준에 맞는 도시개발 모델을 선정하고, 높은 해외 사업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진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문헌 분석, FGI를 통해 해외 도시개발 시장 진출 요인을 도출하고, 설문조사 및 IPA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일련의 국내 민간기업 해외 도시개발 시장 진출 전략을 도출하였다.

글로벌 건설 환경에 적합한 건설사업관리계획서(PMP)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ject Management Plan (PMP) Development Appropriate for Global Construction Environment)

  • 양명덕;김창권;양재웅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7-108
    • /
    • 2015
  • It's became essential that Korea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enter into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for their growth and sustainability. In order to comply with the client's required global standard and to compete with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e shifting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to global level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this paper proposes the top-level document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s a to-be model that utilized i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The project management plan ("PMP") suggested in this paper is not only the most appropriate one, which complies with the global standard, to be used when companies bid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against foreign competitors but also has the process modeling and hierarchical structure.

  • PDF

해외건설 실적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및 시장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national Market Share Expansion Based on Derived Problems from Performance Record Analysis on Overseas Construction)

  • 최준열;전락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09-117
    • /
    • 2006
  • 외환위기 이후 서서히 회복하던 국내 건설시장은 정부의 지속적인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최근 들어 급속히 위축되어 가고 있다. 반면 해외건설시장은 세계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WTO(World Trade Organization)체제 출범이후 시장개방이 가속화되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고, 또한 최근의 고유가로 인한 중동을 중심으로 한 산유국들의 발주량 증가는 국내건설업체들에게 해외 진출의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은 해외시장에서 선진국의 기술력과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으로 입지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실적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건설산업이 지나온 흔적들을 하나씩 살펴보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의 문제점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나타난 현재 우리나라 해외건설시장의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해외건설시장 확대에 도움이 되는 분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국제 유가와 해외건설 수주액의 상관성 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ternational Oil Price Fluctuations and Overseas Construction Order Volumes using Statistical Data)

  • 박환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3-284
    • /
    • 2024
  • 본 연구는 국제유가와 국내외 해외건설 수주액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20년간 국제유가 통계데이터와 국내 건설업체와 글로벌 해외건설기업의 해외건설 신규수주액 자료를 토대로 두 변수간의 상관계수(R)와 P-vaule 값을 산출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건설 수주액과 국제유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국제유가는 해외건설 수주액과의 상관계수가 0.8 이상이기 때문에 상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제유가와 Top 250 글로벌 해외건설기업의 신규 수주액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6으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제유가의 변동에 따른 해외건설 수주액 증감에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아시아 지역과 중동지역의 해외건설 수주액의 상관계수가 매우 높았고, 산업설비와 건축의 해외건설 수주액의 상관계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플랜트의 발주물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 유가변동에 대응하고, 해외건설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출전략을 제안하였다. 주요 방안으로는 다양한 지역 및 공급처 확보방안, 환율 변동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헤지기법을 활용하는 리스크 관리방안, 현지화된 인프라와 현지 시장에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지 파트너십 구축과 현지 인력 확보방안과 건설 현장에서의 기술 혁신과 디지털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해외진출 전략은 유가 변동에 대응하여 해외 건설시장에서의 위험을 줄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적개발원조(ODA)를 활용한 해외건설사업 수주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Us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 박지연;양욱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44-154
    • /
    • 2018
  • 최근 국내 건설시장이 활기를 잃어가는 바, 새로운 활로는 찾는 측면에서 공적개발원조(ODA)를 활용한 해외건설시장 진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 대한 ODA 실적과 해외건설수주의 상관관계를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해 실증적으로 도출하고, ODA를 활용한 해외 건설사업 수주의 실효성을 밝혀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ODA 금액과 해외건설수주의 영향 관계가 예상과는 달리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영리 목적의 건설사업과 공공복리 증진을 위한 ODA사업은 근본적 성격이 다르고, ODA지원시점과 해외건설수주 시점이 상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나라는 여타 선진국에 비교해 ODA공여 경험과 규모 면에서도 이들에 비해 월등히 적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사업규모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연구와 달리 이들의 관계에 대해 통계적 자료에 기초한 실증적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향후 ODA경험의 축적, 시계열 데이터 보완 등을 통해 보다 면밀한 관계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되고, 이는 이론적, 실무적 근거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 진출을 위한 사업계획단계 의사결정 프로세스 모델 구축 (Development of Business Process Model for Overseas Natural Gas Pipeline Project at the Project Planning Phase)

  • 신언일;한승헌;장우식;이용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73-481
    • /
    • 2012
  • 천연가스는 타 화석연료에 비해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청정연료로서 가채연수가 길고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이 적어 세계적으로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규 가스전 개발 및 대규모의 천연가스 플랜트 건설 사업이 세계 각지에서 추진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플랜트 사업 중 해외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의 경우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천연가스의 수송을 위해 지역 간이나 국가 간에 적용되는 방식으로서 건설 수요가 괄목할만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전체 천연가스 교역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의 주요 가스전과의 물리적인 거리 및 저장시설에 한정된 수요 발생으로 인해 해외 파이프라인 공종의 참여가 뒤떨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의 진출을 위해 사업계획 단계를 중심으로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국 내외의 파이프라인 사업 및 해외건설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해외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3단계의 레벨을 가진 업무 프로세스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를 활용하여, 업무 프로세스 모델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하여 실무적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이와 별도로 추가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업무 프로세스 모델의 적용성과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업무 프로세스 모델을 기반으로 기업의 노하우를 반영한다면, 해외 천연가스 사업 의사결정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젝트 물류 리스크가 해외 플랜트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Project Logistics Riskon Overseas Plant Business Performance)

  • 박은진;오진호;박근식
    • 무역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1-209
    • /
    • 2020
  • Project logistic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overseas plant projects. Efficient logistics risk management is needed to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e costs. However, Korean construction firms bid unconditionally without sufficient experience and analysis on overseas plants contract, companies are gradually losing profitability on projects due to not considering profitability. Despite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fitability o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nd although these companies still continue to bid on overseas plant projects, policies to manage project logistics risks for safe transport and compliance with the contracted building schedule in the long term is still lacking.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isk factors related to project logistic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project logistics risk on overseas plant business performance. We conducted a survey of project-related work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logistics risk factors, overseas platform business people recognize operational risk and financial risk factors, which have a positive effect directly on overseas plant performance. Second, the ability to manage project logistics risk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overseas plants. Finally, if logistics risk factors are manag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roject, which implies that thi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overseas plant business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