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lapped Area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3초

Calculation of Tree Height and Canopy Crown from Drone Images Using Segmentation

  • Lim, Ye Seul;La, Phu Hien;Park, Jong Soo;Lee, Mi Hee;Pyeon, Mu Wook;Kim, Jee-I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05-614
    • /
    • 2015
  • Drone imaging, which is more cost-effective and controllable compared to airborne LiDAR, requires a low-cost camera and is used for capturing color images. From the overlapped color images, we produced two high-resolution digital surface models over different test areas. After segmentation, we performed tre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proposed by , and computed the tree height and the canopy crown size. Compared with the field measurements, the computed results for the tree height in test area 1 (coniferous trees) were found to be accurate, while the results in test area 2 (deciduous coniferous trees) were found to be underestimated. The RMSE of the tree height was 0.84 m, and the width of the canopy crown was 1.51 m in test area 1. Further, the RMSE of the tree height was 2.45 m, and the width of the canopy crown was 1.53 m in test area 2. The experiment results validated the use of drone images for the extraction of a tree structure.

Morphological multivariate analyses of Isodon excisus complex (Lamiaceae) in Korea

  • Kim, Sang-Tae;Ma, Youn-Ju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3-229
    • /
    • 2011
  • The taxonomy of the Isodon excisus complex has been ambiguous and problematic becaus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especially characters related to the leaf distinguishing subgroups of the complex in the original descriptions, are variable. To elucidate the taxonomic structure of the I. excisus complex in Korea, 34 characters were measured from 70 OTUs representing different locations and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he analysis showed that principle component axis 1, 2, 3 (PC1, PC2, PC3) represents 52.0% of the total variance and characters showing high loading values for PC1 were leaf shape, density of non-glandular hair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af, and characters related to the teeth of the leaf. The length of apical tooth and the angle between two widest points of the leaf were highly correlated to PC2 and PC3, respectively. Three-dimensional scatter plotting of OTUs for PC1, PC2, and PC3 axis showed that the areas of previously recognized three subgroups of I. excisus completely overlapped. Our result supported that just one taxon, I. excisus var. excisus, should be recognized in the complex at the variety level.

물류산업의 공간연구를 위한 개념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Frame for Spatial Study of Logistics Industry)

  • 성신제;강상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1-99
    • /
    • 2011
  • 본 연구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물류산업의 공간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이를 체계화 하고자 함이다. 물류산업은 물류기능별 독립적 최적화, 전문화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재관리와 물적유통, 로지스틱스, 정보통신 기술과 경영이 포함된 공급사슬관리 단계로 발전하면서 복잡한 공간조직을 형성한다. 물류산업의 복잡한 공간조직은 지리공간과 가상공간, 분업과 통합, 매개화와 탈매개화로 체계화된다. 또한 이들 세 가지의 영역이 공간상에서 혼재하는 역동적 특성을 보인다. 이 역동적 특성은 정보통신 기술과 경제활동의 공간 간의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4

세대 간 교류를 위한 국내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Plan of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in Korea)

  • 김봉애;김수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31-139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welfare servic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at represent complex welfare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spatial planning of social welfare centers. We examined 15 social welfare centers built in the 2000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used as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services provided at the surveyed facilities overlapped for seniors and the handicapped. Most social welfare centers provided welfare services for seniors, young children, and teenagers. Second, the proportion of common area, program rooms was high for spatial composition. Third, front access by car was most common (used at nine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access area and used by. Fourth, shared entry and exit was most common (used at 10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entrance. Fifth, regarding space combining style, a mixed style was most frequently used (observed at seven centers) where different private areas for different service users were partly mixed on certain floors. Sixth, a corridor type was most common (used at seven centers) for the design of a corridor space where visitors could walk along the corridor to access individual room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o promote mingling and exchanges among users of different generations.

Stationary Waiting Times in m-node Tandem Queues with Communication Blocking

  • Seo, Dong-Won;Lee, Ho-Chang;Ko, Sung-Seok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4권1호
    • /
    • pp.23-34
    • /
    • 2008
  • In this study, we consider stationary waiting times in a Poisson driven single-server m-node queues in series. We assume that service times at nodes are independent, and are either deterministic or non-overlapped. Each node excluding the first node has a finite waiting line and every node is operated under a FIFO service discipline and a communication blocking policy (blocking before service). By applying (max, +)-algebra to a corresponding stochastic event graph, a special case of timed Petri nets, we derive the explicit expressions for stationary waiting times at all areas, which are functions of finite buffer capacities. These expressions allow us to compute the performance measures of interest such as mean, higher moments, or tail probability of waiting time. Moreover, as ap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 introduce optimization problems which determine either the biggest arrival rate or the smallest buffer capacities satisfying probabilistic constraints on waiting times. These results can be also applied to bounds of waiting times in more general systems. Numerical examples are also provided.

노드 위치 예측을 통한 클러스터링 기반의 센서네트워크 키설정 메커니즘 (Key Establishment Mechanism for Clustered Sensor Networks Through Nodes' Location Estimation)

  • 도인실;채기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2호
    • /
    • pp.165-172
    • /
    • 2010
  •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통신에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센서 노드 간 pairwise 키설정이 기본이 되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필드를 육각형의 클러스터로 나누고 각 센서 노드마다 예상되는 위치에 따라 세 개의 서로 다른 키 정보를 사전에 나누어 주어 노드 배치 후 갖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이웃 노드와의 pairwise 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키스트링 기법을 적용하여 이를 클러스터링 정보와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양의 정보를 가지고도 이웃한 모든 노드들 간에 pairwise 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키설정 메커니즘을 통하여 필요한 메모리의 양을 줄이면서도 보안 강도를 높일 수 있음을 증명한다.

금강유역 2014~2016년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Drought and Agricultural Drought of Geum River Basin During 2014~2016)

  • 이지완;김경호;김세훈;우소영;김성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80-89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기상학적 가뭄지수, 농업용 저수지 가뭄지수(Reservoir Drought Index, RDI)간의 관계를 통해 기상학적 가뭄이 농업에 미치는 상관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강수량, 농업용 저수율 자료를 수집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와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결과 SPI-6와 RDI의 Pearson 및 ROC 적중룰이 각각 0.606, 0.722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가뭄의 공간적 발생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공간분포된 SPI-6와 RDI를 중첩한 결과 2015년 8월부터 2015년 10월의 심한 가뭄 발생 시 미호천 상류 유역과 논산천 유역에서 중복적으로 가뭄의 심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수지 가뭄이 발생한 지역에 대한 저수지의 제원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 RDI 가뭄이 크게 나타난 지역은 유역배율이 작은 저수지들이 많이 모여 있는 지역일수록 극심한 가뭄을 겪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역배율에 따라 저수지의 농업가뭄 대응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DTV 분산중계망의 구축 및 실험방송 결과분석 (Implementation & Test Results analysis Of a DTV Distributed Translator(DTxR) Network)

  • 목하균;왕수현;성영모;이용태;이용훈;김흥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18-536
    • /
    • 2009
  • 기존의 방송망 중계소 5곳을 선정하여 분산중계망 송신 시스템으로 설계, 구축한 후 서비스 예상지역의 수신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필드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중계소 5곳은 수신지역이 겹칠 것으로 예상되는 조밀하게 인접한 4곳과 다소 원거리에 있는 긴 지연시간의 다중신호(Multipath)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1곳을 선정하였다. 측정절차는 각 중계소의 분산중계망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모국(Main Station)의 수신 상태를 측정한 후, 각각의 중계 송신기의 송출과 휴지상태에서의 수신 상황을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항목은 DTV의 표준측정 절차인 9 미터 높이의 수신안테나로 고정 측정 항목 중 수신 전계강도, 노이즈마진과 수신가능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 수신기의 수신능력을 수신기 세대별로 확인하기 위해 3세대, 5세대 및 6세대 수신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수신화질의 주관적 평가도 수행하였다. 측정은 총 60개 지점에서 이루어졌다. 측정결과 예상 서비스지역에서 모국 신호나 기존의 1곳의 중계기에 의한 수신 성공률보다 분산중계망 시스템에 의한 수신 성공률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5, 6세대 수신기에서는 수신조건도 모두 개선되어 분산중계망을 도입, 사용할 경우 방송채널 주파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항지역의 바람권역 분석에 따른 대기측정망 위치 평가 (Assessment of location of th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ind sector division in Pohang)

  • 정종현;이형돈;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931-193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포항철강공단 주변지역의 보건 환경질 개선을 위해 대기측정망의 설치 위치가 적정한지를 평가하였다. 대기 유동장을 분석한 결과, 대송면(제 1 상세 바람권역)과 장흥동(제 3 상세 바람권역)의 경우 대기측정망의 위치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도동과 죽도동에 설치된 대기측정망은 동일바람권역에 존재하고 있어 중복 측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포항시 인구의 50%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 북구 지역에는 추가적으로 대기측정망을 설치할 것을 제언한다.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PM_{10}$의 경우 장흥동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고 $O_3$의 경우에는 대송면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상지역 주민들의 생활건강에 악영향을 유발하는 $PM_{10}$$O_3$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의 자생지별 외부형태분석과 식생연구 (Morphological Analyses of Natural Populations of Sedum kamtschaticum (Crassulaceae) and the Investigation of Their Vegetations)

  • 류혜선;정지현;김상태;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0-378
    • /
    • 2011
  • 기린초 자생지 네 곳(광덕산, 사명산, 용화산, 통영지역)의 집단에 대하여 이들의 종내 유연관계를 알아보고 야생화의 원예화 또는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생지별 식생조사 및 외부형태 형질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50개의 형태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주성분 1, 2, 3은 전체 변이에 대하여 각각 22.9%, 14.2%, 7.4%를 설명 하였으며, 주성분1에 대한 주성분2의 도시 결과 4개의 자생지 집단은 서로 중복되어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형태적 형질에 대한 주성분 분석은 여러 자생지들의 집단 간에 모든 외부 형태적 형질들이 연속적 양상을 나타냄을 보여주었고, 편차가 가장 큰 형질은 잎의 크기와 형태에 관여되는 형질들이었다. 식생은자생지에서 18개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식생군락을 조사한 결과 좀깨잎나무하위군락, 넓은잎외잎쑥하위군락, 맑은대쑥하위군락, 노랑물봉선하위군락, 까치고들빼기하위군락, 쐐기풀하위군락, 더위지기하위군락, 닭의장풀하위군락, 개망초-쑥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의 10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