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comes Assessment of Librar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미국의 대학평가인정기준에 나타나는 대학도서관 평가기준의 최근 경향 (Recent Trends of the Assess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in the Context of American Reg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 서혜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5-270
    • /
    • 2004
  • 미국의 대학평가인정제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2000년을 전후하여 대폭적으로 개정된 여섯 개 지역별 대학평가 인정기준을 대학도서관에 대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섯 가지 특징적 변화 경향을 파악 하였다. 즉 목적 기반의 평가, 성과 중심의 정성적 평가, 학생의 학습성과 강조, 도서관의 가르치는 역할 강조, 원격교육 서비스 강화, 그리고 규범성과 구체성의 후퇴가 그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최신 경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대학평가기준 중 도서관 관련 평가항목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정보활용능력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University Accreditation Standards of Korea and USA in the View Point of Information Literacy)

  • 이병기;김기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5-156
    • /
    • 2013
  • 최근 들어,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은 교육성과와 품질을 보장해야 할 사회적 책무성에 직면해 있다. 대학평가인증제도는 대학교육의 책무성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국제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은 물적, 인적자원 등 투입요소 대신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분석력, 창의력과 같은 학습성과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은 정보활용능력을 주요 학습성과로 간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 및 정보활용능력의 관점에서 한국과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에 정보활용능력에 관한 사항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 것인가 하는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은 학습성과를 강화하는 측면에서 정보활용능력을 반영하고, 단순 강의 수준을 벗어나 도서관 사서와 담당교수와의 협력수업을 기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Looking Beyond the Numbers: Bibliometric Approach to Analysis of LIS Research in Korea

  • 양기덕;이종욱;최원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41-264
    • /
    • 2015
  • Bibliometric analysis for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can generate erroneous assessments for various reasons. Application of the same evaluation metric to different domains, for instance, can produce unfair evaluation results, while analysis based on incomplete data can lead to incorrect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s bibliometric dat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research in Korea to investigate whether research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in a uniform manner in multi-disciplinary fields such as LIS and how data incompleteness can affect the bibliometric assessment outcomes. The initial analysis of our study data, which consisted of 4,350 citations to 1,986 domest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0 by 163 LIS faculty members in Korea, showed an anomalous citation pattern caused by data incompleteness, which was addressed via data projection based on past citation trends. The subsequent analysis of augmented study data revealed ample evidence of bibliometric pattern differences across subject areas. In addition to highlighting the need for a subject-specific assessment of research performance, the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rigorous analysis and careful interpretation of bibliometric data by identifying and compensating for deficiencies in the data source, examining per capita as well as overall statistics, and considering various facets of research in order to interpret what the numbers reflect rather than merely taking them at face value as quantitative measures of research performance.

전자자원 선정을 위한 컨스펙터스 수정 모형 연구 (A Study on a Revised Conspectus Model for the Assessment of Electronic Resources)

  • 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44
    • /
    • 2009
  • 이 연구는 전자자원 선정에 있어서 컨스펙터스의 적용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 연구이다. 컨스펙터스는 원래 단위 도서관에 있어서 주제분야별 자료 수집의 수준을 규정하기 위한 도구이지만 기존 인쇄기반 자료의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전자자원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한계점들이 지적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전자자원의 선정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한 수정된 컨스펙터스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컨스펙터스의 발전과정을 개괄하고 물리적 장서개발에 있어서 컨스펙터스의 중요성을 일별하였다. 이어서 전자자원의 속성을 고려하여 컨스펙터스를 수정, 제안한 연구들에서 제시한 모형들의 주요 특성을 조사한 후 주요 논점들을 종합하여 전자자원의 선정에 참고할 수 있는 컨스펙터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정보학의 연구영역에 관한 연구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8권
    • /
    • pp.269-300
    • /
    • 1991
  • Reviewing the outcomes of studies on contemporary information science during some periods and identifying the research area exposed in its studies are essential processes to develop the research and theories of information science and to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of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seeks to provide the some useful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establishing the research area of information science.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research area of information science are as follows : (1) normative approach by concepts, definitions, and principles of information science, (2) content analysis of text books, (3) content analysis of curricula of graduate courses, (4) content analysis of graduate disserations or treatises, (5) IIS(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s criteria for information science, (6) professors' need assessment, (7) interdisciplinary approach, etc. These are the representative types of methodological approach and have an enough validity and effectiveness in their own way. Therefore I think of that those should be integrately applied to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information science.

  • PDF

대학도서관 평가 지표 개발과 실행 방안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Action Plans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곽동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3-130
    • /
    • 2008
  • 본 연구에 제시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평가지표는 기존의 공표된 자료를 중심으로 크게 장서, 예산, 인력 등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각 영역마다 각각 3개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평가 지표와 실행 방안은 각 대학이 교육부 등에 공식적으로 제출한 문서나 유관 기관의 출판물에서 도출한 기본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마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대학도서관 평가 지표 및 실행 방안은 대학도서관에 대한 대학의 최고경영자와 본부의 지원을 유도하면서, 도서관 직원의 평가 관련 업무의 별도 준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물론 향후 대학도서관간 통계자료 작성과 관련하여 각 항목에 대한 이해 증진과 통계 작성의 표준화 및 일원화를 통해 정보서비스 항목에 대해 정성적이면서 계량적인 지표의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지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학도서관 평가가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대학도서관에 대한 정부나 대학의 인식 제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한의 난임 치료에 활용되는 평가지표와 평가도구 사용 현황 조사 및 고찰 (Review of Indicators and Tools used to Assess Korean Medicine Infertility Treatment)

  • 이수진;김동일;최수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3-195
    • /
    • 2023
  • Objective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ssessment indicators and tools used in clinical practice to assess Korean medicine (KM) treatment for infertility, and to establish a basis for assessment tools to diagnose and assess infertility. Methods: Relevant studies published until March 2023 were extracted from Pubme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databases. Results: Sixty-four studies comprising 4,105 patients were included. We investigated pregnancy outcomes, and assessed pregnancy- and childbirth-related factors, overall health, reproductive health, and mental health. Pregnancy result was most common primary outcome. Ongoing pregnancy, stillbirth, miscarriage, and ectopic pregnancy rates were suggested as indicators of pregnancy and childbirth-related assessment. Overall health was most commonly assessed with Likert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Among reproductive health variables, menstrual history was most frequently assessed. Moreover, indicators such as reproductive function, sexual intercourse, and gynecological disease were assessed. The Infertility Stress Scale and the Fertility Quality of Life tool (FertiQoL) were used to assess mental health. Conclusions: Subjective scales and objective assessment tools, such as the Likert scale and blood tests/ultrasonography, respectively, are used to assess KM infertility treatment. Inconsistent assessment tools make quantitative analyses more challenging.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mental and physical function assessment questionnaire with confirmed reliability and validity ensure the effectiveness of KM infertility treatment, and promote future studies on infertility treatment.

Open Posterior Approach versus Arthroscopic Suture Fixation for Displac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vulsion Fractures: Systematic Review

  • Song, Jae-Gwang;Nha, Kyung-Wook;Lee, Se-Won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75-283
    • /
    • 2018
  •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the open posterior approach and arthroscopic suture fixation for displac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avulsion fracture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on MEDLINE, EMBASE, and the Cochrane Library database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papers written in English on displaced PCL avulsion fractures, clinical trial(s) with clear description of surgical technique, adult subjects, a follow-up longer than 12 months and modified Coleman methodology score (CMS) more than 60 points. Results: Twelve studies were included with a mean CMS value of 72.4 (standard deviation, 7.6). Overall, 134 patients underwent the open posterior approach with a minimum 12-month follow-up, and 174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suture fixation. At final follow-up, the range of Lysholm score was 85-100 for the open approach and 80-100 for the arthroscopic approach. Patients who were rated as normal or nearly normal in th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ubjective knee assessment were 92%-100% for the open approach and 90%-100% for the arthroscopic approach. The range of side-to-side difference was 0-5 mm for both approaches. Conclusions: Both arthroscopic and ope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PCL tibial-side avulsion injuries resulted in comparably good clinical outcomes, radiological healing, and stable knees.

모아의 환경적 건강에 대한 출산 코호트 효과: 체계적 고찰 (Birth cohort effects on maternal and child environ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 채정미;김현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7-3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review recent findings from birth cohort studies on maternal and child environmental health. Methods: Birth cohort studies regarding environmental health outcomes for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PubMed, CINAHL, the Cochrane Library, Embase, and RISS to identify published studies using the keywords using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keywords: maternal exposure, environmental exposure, health, cohort, and birth cohort. Articles were searched and a quality appraisal using the Newcastle-Ottawa Scale for cohort studies was done. Results: A review of the 14 selected studies revealed that prenatal and early life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had negative impacts on physical, cognitive, and behavioral development among mothers and children up to 12 years later. Environmental pollutants included endocrine disruptors, air pollution (e.g., particulate matter), and heavy metals. Conclusion: This systematic review demonstrated that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negatively influences maternal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outcomes from pregnancy to the early years of life. Therefore, maternal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take steps to reduce mothers' and children's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간질아동에게 제공된 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 Systematic Review (Trend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Epilepsy: Systematic Review)

  • 유하나;윤오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19-22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간질 아동에게 제공된 심리사회적 중재들의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을 밝혀 추후 간질아동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법 PRISMA 문헌선택 흐름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Ovid-MEDLINE, EMBASE, PubMed, CINAHL, The Cochrane library, KMbase, and Koreamed)를 통해 454개의 논문들이 검색되었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의해 7개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2명의 연구자가 분석에 포함된 모든 연구를 독립적으로 검토하였고, 방법론적인 질 평가를 위해 코크란의 Risk of Bias 도구와 국내의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도구를 이용하였다. 결과 중재 전략의 형태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교육; 상담; 인지행동치료; 신체활동. 중재의 목표들은 매우 다양하였다. 결론 각각의 중재들은 간질관련 건강 결과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불충분한 중재 정보, 타당도가 떨어지는 결과 측정법, 적은 표본 수, 연구 설계의 제한점과 같은 방법론적인 약점들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