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tropic Steel Deck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강상판 종리브.바닥강판 응접연결부의 응력집중 (Stress Concentration of Longitudinal Rib to Deckplate Welded Joint in Orthotropic Steel Bridge Decks)

  • 장동일;최동호;최준혁;김도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3-350
    • /
    • 1999
  • Orthotropic steel bridge decks are potentially liable to cause fatigue cracks due to weld defects, residual stresses, and in-plane or out-of-plane stresses. In particular, the cracks propagated through deckplate in longitudinal rib to deckplate joints occur at weld toe and weld root due to stress concentrations. Numerical parametric studies are performed to show the Influence of the parameters on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rib and the deckplate. The parameters include root gap, toe angle $\theta$, toe radius $\rho$, and weld penetration. This study provides a fundamental point for the improvement of fatigue resistance and the estimation of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in wekded joint details.

  • PDF

강바닥판 구조성능 개선을 위한 보강재 설치에 관한 매개변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n the Diaphragm and Cutout Structures for Improvement of Structure Performance in Orthotropic Steel Decks)

  • 신재철;안주옥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41-47
    • /
    • 2009
  • 강바닥판의 횡리브 복부판에서는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는 동시에 종리브의 비틀림으로 인한 면내외 변형이 작용하기 때문에 교차부와 컷아웃부에 응력집중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피로균열 발생사례가 가장 높은 교차부와 컷아웃부에서의 응력집중현상 완화를 통하여 피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상세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다이아프램의 설치는 교차부와 컷아웃부에서의 응력집중현상 완화효과에 유리한 구조상세이다. 다이아프램의 위치에 대한 응력집중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이아프램 위치를 횡리브 복부판과 일치된 곳으로부터 교축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며 그 응답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컷아웃폭을 대상으로 매개변수해석을 수행하여 최대응력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이아프램은 횡리브 복부판과 횡리브 축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응력집중현상을 완화시켜 구조성능 개선에 유리한 구조상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다이아프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설치한 경우가 피로성능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컷아웃폭은 바닥강판으로부터 종리브 바닥판면까지의 거리($y_{gotal}$)에 대한 바닥강판으로부터 컷아웃부의 종리브와 횡리브 교차점까지의 거리($y_i$)의 비($y_i/y_{total}$) 0.85가 되도록 컷아웃폭을 설정하는 경우가 구조성능 개선에 유리한 구조상세임을 알 수 있었다.

강바닥판교의 종리브-횡리브 교차연결부의 피로균열 개선방안 연구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Fatigue Crack on Intersection of Longitudinal- Transversal Rib in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

  • 공병승;윤성운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84-1089
    • /
    • 2004
  • Recently,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s, which have long span decks,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economical as well as durable bridge types. However,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 is used by a lot of welding, which may cause welding defect and deformation of connections. This kind of system happens some damages by the fatigue cracks of welding. The cross-connection of longitudinal rib and transversal rib is one of the weakest point because of the fatigue. The secondary stresses which are from the out-plane deformation of transversal rib and the torsion of longitudinal rib make the topical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But, it is principle that a Bulkhead Plate is not established in the domestic design standard.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a study for the installing of Bulkhead Plate is needed. This study with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proves efficiency of Bulkhead Plate and will be presented optimal design details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according to change the geometrical system of Bulkhead Plate and the cross-connection area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rib

  • PDF

KL-510 하중을 적용한 장지간 바닥판의 설계휨모멘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Bending Moments of Long Span Decks with KL-510 Load)

  • 정철헌;이한주;주상훈;안호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75-384
    • /
    • 2016
  • 현행, 도로교설계기준에서는 교량바닥판에 대해 지간이 짧은 다거더 플레이트 거더교 위주의 규정을 두고 있으며, 강합성 소수 거더교에 적용되는 장지간 바닥판에 대한 설계규정은 명확하게 없는 실정이다. 이는 소수 거더교의 장지간 바닥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관련 규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측부 교량바닥판의 지간 6.0~12.0m 범위를 대상으로 도로교설계기준의 KL-510 하중을 적용하여 교축방향(종방향)과 교축직각방향(횡방향)에 대한 설계휨모멘트를 제안하였다. 설계휨모멘트는 바닥판의 직교 이방성, 거더의 강성, 그리고 다차로재하계수의 영향이 반영되었으며, 이를 기존의 DB-24 하중에 대한 설계휨모멘트와 비교하였다.

강상판 종리브 현장연결부의 실험적 거동 특성 (An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r of Field Splice Joints of Longitudinal Rib in Orthotropic Steel Decks)

  • 최동호;최항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621-62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적용된 종리브 현장연결부의 구조상세를 검토하고 실험체를 제작하여 정적재하실험 및 피로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적 및 영향면 재하실험을 통하여 강상판 현장연결부의 응력분포양상을 분석하여 핸드홀 덮개판의 유무와 편심하중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극한강도 실험을 통해서는 종리브 현장연결부의 극한내력을 평가하였다. 피로실험을 수행한 결과, 낮은 응력수준에서는 스캘럽부에서 피로균열이 발생하였고, 높은 응력수준에서는 핸드홀 덮개판의 파괴 후에 종리브의 갑작스런 파괴가 일어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장연결부의 거동특성의 이해를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Improvements to the analysis of floorbeams with additional web cutouts for orthotropic plated decks with closed continuous ribs

  • De Corte, Wouter;Van Bogaert, Philippe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7권1호
    • /
    • pp.1-18
    • /
    • 2007
  • Additional cutouts in the floorbeam webs of orthotropic plated bridge decks relieve the highly stressed lower flange of the ribs passing through these floorbeam webs from possible fatigue damage. Conversely, the floorbeam webs themselves suffer from high stress concentrations, especially along the free edges of the additional cutouts. These stresses result from a combination of direct introduction of vertical traffic loads in the weakened web and from the truss action of the floorbeam. The latter differs from a simple beam action due to the presence of the openings and corresponds more to the behaviour of a Vierendeel truss. Close assessment of the appearing stresses, highly relevant for fatigue resistance, requires the use of elaborate finite element modelling. However, a full finite element analysis merely provides the results of total stresses, leaving the researcher or designer the difficult task of finding the origin of these stress components. This paper presents a calculation method for cutout stresses based on a combination of a framework analysis and a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much smaller parts of the floorbeam. This method provides more insight in the origin of the stress components, as well as it simplifies any comparison of different additional cutout geometries, independent of the floorbeam topology.

승용차 전용 조립식 고가도로의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Prefabricated Passenger Car-overpass Structures)

  • 조성배;김영우;신영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3-170
    • /
    • 2004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optimal sections of infrastructure (the pier and foundation) for orthotropic steel decks which is a part of prefabricated passenger car overpasses. Since the bridge to be designed allows only passenger cars, design load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is condition. The total volume of the infrastructure is formulated as the objective function and the design constraints are based on the 'Korean Bridge Design Code' and 'Design Manual of Steel Framed Pier'. The programs used in this research are MATLAB 6.5 and MIDAS CIVIL.

  • PDF

일축압축을 받는 직교로 보강된 판의 좌굴강도 (Buckling Strength of Orthogonally Stiffened Steel Plates under Uniaxial Compression)

  • 최동호;장동일;최항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통권37호
    • /
    • pp.731-740
    • /
    • 1998
  • 직교로 보강된 판은 효율적인 하중분배능력과 좌굴안정성 때문에 장대교량의 강상판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축압축을 받는 직교로 보강된 판의 좌굴강도를 해석적 방법으로 추정하였다. 판이론을 사용하여 전체좌굴 및 부분좌굴과 같은 여러 모드에서의 좌굴응력식을 유도하고, 좌굴강도에 대한 횡리브와 종리브의 강성과 개수 등의 효과를 보이기 위하여 매개변수해석을 수행하였다. 정량적인 해석을 통해 종리브와 횡리브의 강성과 간격의 영향을 보였다.

  • PDF

치수효과를 고려한 특별직교이방성 샌드위치 슬래브교량의 파괴강도해석 (Size Effects in the Failure of Specially Orthotropic Sandwich Slab Bridges)

  • 한봉구;이용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통권70호
    • /
    • pp.333-344
    • /
    • 2004
  • 복합재료는 건설공학 분야의 해석, 설계, 제작, 건설, 품질 제어 등에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교량 구조물중 거더, 가로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상판은 특별직교이방성판으로 거동한다. 이러한 경계조건을 갖는 단면 혹은 불규칙한 단면을 갖는 시스템은 해석적인 해를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유한차분법이 이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장강도 감소율을 적용하여 파괴강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응력영역에 대한 Tasi-Wu의 파괴기준을 적용하였다.

KL-510 하중을 적용한 장지간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계휨모멘트 (Design Bending Moment of Cantilever Slab for Long Span decks with KL-510 Load)

  • 정철헌;주상훈;이한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595-6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현행 도로교설계기준의 KL-510 하중을 적용하여 장지간 바닥판의 내측 지간에 따른 캔틸레버 바닥판의 설계휨모멘트를 제안하였다. 장지간 바닥판의 내측 지간은 6.0~12.0m 범위를 대상으로 하였고, 캔틸레버 바닥판의 길이는 내측 지간의 30~50%를 적용하였다. 설계휨모멘트의 결정을 위해 바닥판의 직교이방성, 거더의 강성, 그리고 다차로재하계수의 영향을 반영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DB-24 하중에 대한 설계휨모멘트와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