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microimplan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surface anodization on stability of orthodontic microimplant

  • Karmarker, Sanket;Yu, Won-Jae;Kyung, Hee-M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10
    • /
    • 2012
  • 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rface anodization on the interfacial strength between an orthodontic microimplant (MI) and the rabbit tibial bone, particularly in the initial phase aft er placement. Methods: A total of 36 MIs were driven into the tibias of 3 mature rabbits by using the self-drilling method and then removed aft er 6 weeks. Half the MIs were as-machined (n = 18; machined group), while the remaining had anodized surfaces (n = 18; anodized group). The peak insertion torque (PIT) and the peak removal torque (PRT) values were measured for the 2 groups of MIs. These values were then used to calculate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between the MI and cortical bone.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rms of PIT between the 2 groups. However, mean PRT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anodized implants ($3.79{\pm}1.39$ Ncm) than for the machined ones ($2.05{\pm}1.07$ Ncm) (p < 0.01). The interfacial strengths, converted from PRT, were calculated at 10.6 MPa and 5.74 MPa for the anodized and machined group implants, respectively. Conclusions: Anodization of orthodontic MIs may enhance their early-phase retention capability, thereby ensuring a more reliable source of absolute anchorage.

치근접촉이 마이크로 임플란트 인접골 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peri-implant bone stresses induced by root contact of orthodontic microimplant)

  • 유원재;김미령;박효상;경희문;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5
    • /
    • 2011
  • 마이크로 임플란트 시술의 중요한 위험요인 중 하나로 치근접촉 문제가 있으나, 관련 연구는 결과 분석에 치중되어 있고, 치근접촉이 마이크로 임플란트 안정성 상실로 이어지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역학적 측면에서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Absoanchor 마이크로 임플란트(SH1312-7, Dentos Inc., Daegu, Korea) 첨부가 치근에 접촉되어 있을 때, 저작압 전달에 의한 마이크로 임플란트 변위가 인접골에 가하는 압축응력을 축대칭 유한요소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요소별 응력이 해면골의 최대압축강도나, 치밀골의 비정상 골개조 임계능력을 넘을 경우 해당 요소를 순차적으로 해석모델에서 제거하며 실행한 6단계해석의 결과, 마이크로 임플란트에 인접한 해면골의 전체적인 파절과 과부하에 따른 치밀골의 비정상 골개조가 임플란트 지지력 상실에 주 요인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치밀골의 과부하 영역은 초기에는 치밀골판의 하부에 존재하였으나 상부로 확장되었고, 응력 재분포로 인한 감소효과 없이 양성 되먹임(positive feedback)으로 결국 치밀골 전 두께로 확대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근접촉된 마이크로 임플란트가 인접골을 훼손시켜 안정성 상실로 이어지는 과정을 모사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치근접촉에 따른 마이크로 임플란트의 불량한 예후에 대한 생역학적 측면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이용한 하악골 전진술 (Microimplant mandibular advancement (MiMA)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 ;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5-126
    • /
    • 2010
  • 이 증례보고는 심한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환자로, 다른 구강 내 OSA치료 장치와 nCPAP치료에 적응을 못하는 66세 남자 환자였다. 하악골에 2개의 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식립한 후, 식립 2주 후부터 구강외 고정원인 개조된 안면마스크에서 마이크로 임프란트에 힘을 가하여 하악골을 전진시켰다.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이용한 하악골전진술(MiMA)은 심한 수면 무호흡환자의 AHI (apnea-hypopnea index), 코골이 및 심한 수면 무호흡증상을 개선할 수 있었다.

Self-drilling 방식의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에 의해 발생하는 피질골 스트레인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cortical bone strain induced by self-drilling placement of orthodontic microimplant)

  • 박진서;유원재;경희문;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03-212
    • /
    • 2009
  • 골밀도가 높고 두꺼운 피질골에 마이크로임플란트를 self-drilling 방식으로 식립하는 경우 과도한 수준의 골부하 (bone loading)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이는 인접골의 정상적인 골개형(bone remodeling)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으로 두께 1.0 mm의 피질골에 Absoanchor SH1312-7 마이크로임플란트((주)덴토스, 대구, 대한민국)가 self-drilling 방식으로 식립되는 과정(10회전, 식립깊이 5 mm)을 모사(simulation)하였으며 식립 단계별로 피질골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을 조사하였다. 식립중 마이크로임플란트 첨부의 절삭연(cutting flute)에 의한 골삭제로 생기는 나사길(threaded groove)의 치수를 얻기 위하여 가토 경골에 마이크로임플란트를 식립/제거한 후 Micro CT (Explore Locus RS, GE Healthcare, Ontario, Canada)를 이용하여 기하형상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치밀골의 유한요소모델에 반영하였다. 해석결과, 치밀골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은 임플란트 식립깊이에 따라 증가하였고, 초기단계에서 나사산에 인접한 골에 국한되던 과부하 부위(스트레인이 4,000${\mu}$-strain을 상회하는 영역)가 식립깊이 증가에 따라 인접골 전체, 즉 나사산 인접부는 물론 골(valley) 부위에 접하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self-drilling 방식으로 마이크로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치밀골에 발생하는 스트레인 크기는 생리적인 골개형을 저해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교정용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 시의 피질골 스트레인 해석 (Cortical bone strain during the placement of orthodontic microimplant studied by 3D finite element analysis)

  • 남옥현;유원재;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28-239
    • /
    • 2008
  • 식립 후 힘의 부하가 조기에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임플란트의 경우 식립 시의 골응력 혹은 스트레인의 관리가 그 안정성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교정용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 시 피질골에 발생하는 응력(스트레인)을 해석하였다. 0.9 mm 직경으로 미리 드릴링한 1mm 두께 피질골에 마이크로임플란트(AbsoAnchor SH1312-7, Dentos, Daegu, Korea)가 식립되는 전체 과정(10회전, 식립 깊이 5 mm)의 모사를 위해 총 1,800 step의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식립 진행과 더불어 생기는 나사산 주위 피질골의 기하학적 형상변화를 유한요소해석에 반영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remesh를 실행하였으며, 빠른 수렴을 위해 마이크로임플란트는 강체로, 피질골은 강소성체로 모델링하였다. 해석 결과,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 시 피질골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은 임플란트 주위골 전체에서 정상적인 골개형을 위한 한계치로 보고되고 있는 $4,000\;{\mu}$-strain을 상회하였고, 나사산 첨부 인접골에서는 스트레인이 100% 이상에 달하였다. 계산된 피질골 식립토오크는 약 1.2 Ncm 정도로 가토 경골에 동일 모델의 마이크로임플란트을 식립하며 측정한 값에 약간 미달하였으나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임플란트의 식립과정을 3D 유한요소법으로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에 의해 피질골에 발생하는 스트레인 크기는 생리적인 골개형을 저해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정용 마이크로 임플란트의 나사산 디자인 최적화 (Optimization of orthodontic microimplant thread design)

  • 김광덕;유원재;박효상;경희문;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5-35
    • /
    • 2011
  • 교정용 마이크로 임플란트는 나사산을 매개수단으로 한 인접골 압박으로 골내 고정력을 얻는다. 그러므로 충분한 고정력을 얻기 위해서는 나사산이 크면 유리하다. 그러나 몸체에서 차지하는 나사산의 부피비율이 과도하면 이는 코어(core) 직경을 감소시켜 파절위험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식립 시 나사산이 골을 지나치게 압박, 인접골에 골개형 장애를 일으켜 임플란트를 이완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임플란트의 안정성은 그 나사산 디자인이 치밀골 특성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bsoanchor^{(R)}$ SH1312-7 (Dentos Inc., Daegu, Korea) 모델을 비교모델로 선택, 몸체와 나사산 사이즈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최적화 해석을 실행하였다. 나사산의 높이(h)와 피치(p)를 디자인 변수로 하여 임플란트 안정성 증대, 식립 시 골 과부하 감소, 파절강도 증대를 목표로 목적함수 SQ(Stability Quotient)를 설정, 해석함으로써 4가지의 다른 h, p 조합을 갖는 나사산을 디자인하였다. 4종의 실험모델과 비교모델에 대해 3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모사 해석으로, 식립 시 예상되는 골 과부하 영역을 비교하였으며(self tapping과 self drilling의 두 식립 방식에 대해), 또한 실험모델의 실물(prototype)을 가공, 토오크 파절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실험모델은 비교모델에 비해 식립 시 인접골 과부하 영역을 덜 발생시켰으며, 파절강도는 더 높게 관찰되었으며, 이로써 나사산 디자인 최적화에 사용된 SQ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fluence of late removal after treatment on the removal torque of microimplants

  • Kim, Ho-Jin;Park, Hyo-Sa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01-209
    • /
    • 2022
  • Objective: To compare the removal torque of microimplants upon post-use removal and post-retention removal and to assess the influencing factors. Methods: The sample group included 241 patients (age, 30.25 ± 12.2 years) with 568 microimplan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post-use (microimplants removed immediately after use or treatment) and post-retention (microimplants removed during the retention period) removal groups. The removal torque in both groups was assessed according to sex, age, placement site and method, and microimplant size.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evaluating variables influencing the removal torque. Results: The mean period of total in-bone stay of microimplants in the post-retention removal group (1,237 days) was approximately two times longer than that in the post-use removal group (656.28 days). The removal torques in the post-retention removal group (range, 4-5 N cm) were also higher than those in the post-use removal group. The mandible and pre-drilling groups demonstrated higher placement and removal torques than did the maxilla and no-drilling groups, respectively. In the no-drilling post-use removal group, the placement torque and microimplant leng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moval torque. In the post-retention removal group, unloading in-bone stay period and microimplant diameter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moval torque in the no-drilling and pre-drilling method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moval torques differed according to the orthodontic loading and removal time of microimplants. With prolonged retention of microimplants inserted using the no-drilling method, the removal torque was clinically acceptable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unloading in-bone stay period.

Pattern of microimplant displacement during maxillary skeletal expander treatment: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Ney Paredes;Ausama Gargoum;Ramon Dominguez-Mompell;Ozge Colak;Joseph Bui;Tam Duong;Maya Giannetti;Fernanda Silva;Kendra Brooks;Won M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289-297
    • /
    • 2023
  • Objective: To analyze the microimplant (MI) displacement pattern on treatment with a maxillary skeletal expander (MSE)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Thirty-nine participants (12 males and 27 females; mean age, 18.2 ± 4.2 year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the MSE II appliance. Their pre- and post-expansion CBCT data were superimposed. The pre- and post-expansion anterior and posterior inter-MI angles, neck and apical inter-MI distance, plate angle, palatal bone thickness at the MI positions, and suture opening at the MI positions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The jackscrew plate was slightly bent in both anterior and posterior a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suture opening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MIs (P > 0.05). The posterior MI to hemiplate line was greater than that anteriorly (P < 0.05). The apical distance between the posterior MIs was greater than that anteriorly (P < 0.05). The palatal thickness at the anterior MI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posteriorly (P > 0.01). Conclusions: In the coronal plane, the angulation between the anterior MIs in relation to the jackscrew plate was greater than that between the posterior MIs owing to the differential palatal bone thickness.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 rate of orthodontic microimplants using panoramic radiographs

  • Park, Jae Hyun;Chae, Jong-Moon;Bay, R. Curtis;Kim, Mi-Jung;Lee, Keun-Young;Chang, Na-Yo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0-3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 rate of orthodontic microimplants (OMIs) using panoramic radiographs (PRs). Methods: We examined 160 OMIs inserted bilaterally in the maxillary buccal alveolar bone between the second premolars and first molars of 80 patients (51 women, 29 men; mean age, $18.0{\pm}6.1years$) undergoing treatment for malocclusion. The angulation and position of OMIs, as well as other parameters, were measured on PRs.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measurement and the OMI success rate was then evaluated. Results: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85.0% (136/160). Ag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implant success (p < 0.05), while sex, side of placement, extraction, and position of the OMI tip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p > 0.05). The highest success rate was observed for OMIs with tips positioned on the interradicular midline (IRML; central position). Un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the OMI success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OMI length and placement height of OMI (p = 0.001). However, in simultaneous analyses, only length remained significant (p = 0.027). Root proximity, distance between the OMI tip and IRML, interradicular distance, alveolar crest width, distance between the OMI head and IRML, and placement angle were not factors for success. Correlations between the placement angle and all other measurements except root proxim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OMIs positioned more apically with a lesser angulation, as observed on PRs, exhibit high success r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