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Impact

검색결과 1,195건 처리시간 0.028초

혁신 지원정책과 혁신 그리고 성과의 인과구조 분석: 지식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ausal Structure Among Innovation Support Policy, Innovation and Performance: Focusing on Knowledge Service Firms)

  • 백승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24-357
    • /
    • 2016
  • 21세기 지식기반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지식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지식서비스산업이 국가경제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양적 확대를 넘어 생산성이 제고되려면, 혁신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지식서비스기업을 대상으로 혁신유형을 상품 공정 조직 마케팅으로 다원화하고, 혁신 지원정책 등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때 유형별 혁신을 매개변수로 하여 매출 고용 증가까지 연계되는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 혁신역량은 모든 유형별 혁신과 매출 고용 증가에 직 간접적으로 매우 강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독과점 시장구조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혁신이 촉진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의 혁신 지원정책은 공정 조직 마케팅 혁신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상품혁신에는 부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매출 고용 증가에 미치는 총효과도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혁신은 궁극적으로 기업의 매출 고용 증가까지 귀결되어야 하며, 정부의 지원정책도 종착점까지의 이러한 인과구조를 고려하여 치밀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A Systematic Approach Of Construction Management Based On Last Planner System And Its Implement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Hussain, SM Abdul Mannan;Sekhar, Dr.T.Seshadri;Fatima, Asra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5권2호
    • /
    • pp.11-15
    • /
    • 2015
  • The Last PlannerSystem (LPS) has been implemented on construction projects to increase work flow reliability, a precondition for project performance againstproductivity and progress targets. The LPS encompasses four tiers of planning processes:master scheduling, phase scheduling, lookahead planning, and commitment / weeklywork planning. This research highlights deficiencies in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LPS including poor lookahead planning which results in poor linkage between weeklywork plans and the master schedule. This poor linkage undetermines the ability of theweekly work planning process to select for execution tasks that are critical to projectsuccess. As a result, percent plan complete (PPC) becomes a weak indicator of project progr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lookahead planning (the bridgebetween weekly work planning and master scheduling), improve PPC, and improve theselection of tasks that are critical to project success by increasing the link betweenShould, Can, Will, and Did (components of the LPS), thereby rendering PPC a betterindicator of project progress. The research employs the case study research method to describe deficiencies in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he LPS and suggest guidelines for a better application ofLPS in general and lookahead planning in particular. It then introduces an analyticalsimulation model to analyze the lookahead planning process. This is done by examining the impact on PPC of increasing two lookahead planning performance metrics: tasksanticipated (TA) and tasks made ready (TMR). Finall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importance of the lookahead planning functions: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constraints, task breakdown, and operations design.The research findings confirm the positive impact of improving lookaheadplanning (i.e., TA and TMR) on PPC. It also recognizes the need to perform lookaheadplanning differently for three types of work involving different levels of uncertainty:stable work, medium uncertainty work, and highly emergent work.The research confirms the LPS rules for practice and specifically the need to planin greater detail as time gets closer to performing the work. It highlights the role of LPSas a production system that incorporates deliberate planning (predetermined andoptimized) and situated planning (flexible and adaptive). Finally, the research presents recommendations for production planningimprovements in three areas: process related, (suggesting guidelines for practice),technical, (highlighting issues with current software programs and advocating theinclusion of collaborative planning capability), and organizational improvements(suggesting transitional steps when applying the LPS).

사회복지기관의 '숨은 규칙' 확인 및 그 영향력 측정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내실화 방안 (Organizational 'Rules' that Impede or Promote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e: How Social Workers Are Affected by the Rules)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171-200
    • /
    • 2003
  •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인력들의 행동은 기관의 공식적 지침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공식적으로 명문화되어 있지 않은 숨은 규칙, 불문율, 또는 관행들에 의해서도 실질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실제적인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복지기관 내 "숨은 규칙" 존재의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해 보고, 그 규칙들이 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 인력들의 기관헌신도, 만족도, 소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또한, 복지 기관 종사자들이 기관에 존재하는 숨은 규칙들을 따르지 않았을 경우 받게 되는 개인적 피해, 숨은 규칙의 존재 정도에 따른 기관의 이익/피해 상황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리 사회의 사회복지기관에는 숨은 규칙이 심각한 정도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숨은 규칙의 미 준수로 인한 개인피해도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숨은 규칙이 많이 존재할수록 기관은 여러 가지 피해를 입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숨은 규칙이 많이 존재할수록 사회복지사들의 기관에 대한 헌신 및 만족도가 낮아지고, 소진의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숨은 규칙들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내용은 사회복지사는 전문적 업무수행보다는 무슨 일이든 다하도록 요구받고 있다는 것과 근무시간 외 근무를 당연시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명시적 규칙이 있는 그대로 잘 지켜지고 있는 부분은 사회복지실천 윤리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영향력 있는 숨은 규칙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내실화 방안이 간략히 제시되었다.

  • PDF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n the Job burnout -Trustworthi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 김진욱;장영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185-211
    • /
    • 2016
  • 본 논문은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의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독립변수인 학습조직활동 중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학습 조직화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말해 질문하고, 피드백을 주며 다양한 학습방법을 실험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조직의 노력과 팀의 효과적인 활용을 강화할 수 있는 협력적인 학습이 직무소진의 핵심적 차원으로 간주되는 정서적 탈진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서적 탈진으로 인하여 자신의 고객, 동료, 직무 등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냉소적이며, 형식적으로 처리하여 더 이상의 정서적 탈진을 막으려고 하는 비인격화도 낮춰주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 학습 조직화은 직무상에서 성취도 부족으로 생기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인 개인성취감감소 또한 낮춰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 분석의 결과, 독립변수 가운데 전략적 학습리더십과 직무소진 중 비인격화와 정서적탈진과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성(정직성, 호의, 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상사가 가지고 있는 신뢰성은 리더들이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학습이 조직구성원들의 정서적탈진과 비인격화를 완화시키는데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AI(Appreciative Inquiry)와 같이 긍정적 탐구를 위한 질문법과 강점을 발견하기 위한 피드백분석과 같은 학습차원에서 의사소통이 직무소진을 완화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리더의 개인의 역량으로 볼 수 있는 전략적 학습리더십이 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사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다.

  • PDF

시장특성과 기술특성이 기술보호성과에 미치는 영향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rket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y)

  • 김경선;조근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7-105
    • /
    • 2015
  •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기술유출 사고로 인하여 기업의 금전적 손실, 기업 이미지 훼손, 거래처 단절 등 기업의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면서 기술보호에 대한 기업들의 노력정도와 경영층의 기술보호 투자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나 기술보호 투자에 대한 성과 특히, 경제적 또는 기술적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기술보호에 따른 효과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기술보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의 시장특성 및 기술특성이 기술보호 노력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기술보호활동이 기업의 경제적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시장의 경쟁강도, 시장진입 수월성, 기술우수성이 기술보호 노력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시장의 경쟁강도와 기술우수성은 기술보호 노력정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반면, 시장진입 수월성이 높아지면 기업은 기술보호 노력을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규모가 크거나 작은 것과는 관계없이 기술보호 노력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보호 노력정도가 기술유출위험도를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경비원이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Special guards that interpersonal skills to communicate your organization's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through the effect parameter impact)

  • 양문승;오세연;윤경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45호
    • /
    • pp.87-106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특수경비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의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교육시설 공항 교통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경비원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20일부터 2015년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대인관계 능력 매개 효과 분석모형도는 포화모형도이며,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직무몰입)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대인관계에서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SMC에서는 직무만족이 23.9%, 직무몰입이 11.6%, 대인관계는 19.3% 설명한다. 또한, 직무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분석의 결과는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인관계가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의사소통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 유의도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수경비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hop Selection Attributes, Lifestyl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Orientation of Franchise Beauty Shop Users

  • HWANG, Yean-Hwa;KIM, Moon-Ju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2권3호
    • /
    • pp.7-19
    • /
    • 2021
  • Purpose: The hotel industry needs a leader who can actively demonstrate leadership to respond to and accept changes in the organization in a highly competitive and fast-chang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role of leaders who instill clear vision and goals of the organization in their members, listen to their opinions, and empathize is paramount. Leaders should encourage successful organizational activities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by employees and create the best environment for working with a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as a result variable of team cohesion in the hotel culinary department and conduct empirical studies on the role of empathy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ho work in culinary department at a five-star franchise hotel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duct a survey through face-to-face contact with employe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February 28, 2020.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were distributed and 268 employees completed the survey, yielding a response rate of 81%. Of the 268 returned responses, 27 responses were not usable due to missing information. Thus, a total of 241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empathy leadership of culinary department in hotel compan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job engagemen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job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 team cohesiveness. Third, empathy leadership of hotel companies' culinary depart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members' team cohesiveness. Fourth, job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leadership and team cohesiveness in culinary department.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e theory that an emotional and empathic leader's behavior or ability can change the effectiveness or atmosphere of a rapidly changing hotel culinary team organization by presenting a research model on the effect of empathic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and team cohesiveness. And hotel chef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mpathic leadership and make them a human resource of the organization throug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with culinary employees.

The Effect of Five-Star Franchise Hotel Chef's Empathy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and Team Cohesiveness

  • LEE, Dong-cheul;KOO, Dong-Woo;SHIN, Dong-Jin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2권3호
    • /
    • pp.35-46
    • /
    • 2021
  • Purpose: The hotel industry needs a leader who can actively demonstrate leadership to respond to and accept changes in the organization in a highly competitive and fast-chang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role of leaders who instill clear vision and goals of the organization in their members, listen to their opinions, and empathize is paramount. Leaders should encourage successful organizational activities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by employees and create the best environment for working with a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as a result variable of team cohesion in the hotel culinary department and conduct empirical studies on the role of empathy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ho work in culinary department at a five-star franchise hotel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duct a survey through face-to-face contact with employe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February 28, 2020.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were distributed and 268 employees completed the survey, yielding a response rate of 81%. Of the 268 returned responses, 27 responses were not usable due to missing information. Thus, a total of 241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empathy leadership of culinary department in hotel compan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job engagemen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job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 team cohesiveness. Third, empathy leadership of hotel companies' culinary depart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members' team cohesiveness. Fourth, job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leadership and team cohesiveness in culinary department.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e theory that an emotional and empathic leader's behavior or ability can change the effectiveness or atmosphere of a rapidly changing hotel culinary team organization by presenting a research model on the effect of empathic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and team cohesiveness. And hotel chef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mpathic leadership and make them a human resource of the organization throug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with culinary employees.

성직자 노후복지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 대순진리회를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Welfare of Retired Clergy in Daesoon Jinrihoe)

  • 김진영;이영준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115-153
    • /
    • 2022
  • 한국 사회에서 고령화는 국민 일반에게서만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니라 성직자에게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성직자 노후복지는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그것의 중요성을 인식한 종교 교단들은 자체의 규정을 통해 성직자에게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대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종교조직의 특성에 따라 성직자 노후복지는 상당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가톨릭이나 원불교와 같은 위계적인 중앙집중적 조직체계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노후복지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반면에 불교나 기독교의 여러 종단 또는 교단들처럼 자율적 조직체계에서는 불안정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 신종교를 대표하는 대순진리회 역시 고령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에서 성직자의 노후복지는 중요한 현안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순진리회는 중앙집중적 조직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방면의 자율성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 성직자 복지가 모호해지고 이에 따라 현재로는 노후의 안정적 삶을 기약하는 복지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먼저 성직자 노후복지의 측면에서 종교조직의 형태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후 한국 종교 교단들의 복지실태를 분석할 것이며, 이것을 기초로 대순진리회 성직자 노후복지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언할 것이다.

Pedagogical Conditions for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of Qualified Workers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 Slipchyshyn, Lidiia;Honcharuk, Oksana;Anikina, Inessa;Yakymenko, Polina;Breslavska, Hanna;Yakymenko, Svitlana;Opria, Iho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79-88
    • /
    • 2022
  • Modern production requires production staff who have design competence, experience and skills to work in various types of work integrated into professional activities. Possession of digital design methods significantly expands th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activities of qualified worker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study the impact of pedagogical conditions on the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of future qualified workers in a group work. We have identified a set of pedagogical conditions that promot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ly oriented artistic and technical creativity of workers in the conditions of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ch include motivational-target, procedural-semantic, organizational-technological, and subject-oriented. It is shown that the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is determined by motivational, informational-active and reflection criteria, which are aimed at motivational-value, cognitive, operational-active, creative, social and emotional components of this competence.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highlighted, which includes the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determination of the personality's motivational sphere in order to identify strong and weak motives of students activity; multiple intelligence to identify students talents in the direction of practical intelligence, which is important for design competence; determining the level of creative activity to identify manifestations of students creative abilities; identifying the type of students innovative thinking in order to develop motivation for success; factor-criterion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a qualimetric approach, which is used to identify the level of design competence formation in accordance with its compon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reation of separate pedagogical conditions in the institu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competence, which shows the potential of artistic and technical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reativity of future qualified workers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al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