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33초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ental hygienists)

  • 권아름;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09-1017
    • /
    • 2015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48 dental hygienis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from November 1 to 30,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4 items), job characteristics(10 items), communication competence(49 items), organizational commitment(15 items), job satisfaction(16 items), and turnover intention(5 items). The instrument f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done by Likert 5 points scale.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one 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and post-hoc Scheffe test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3.49(${\pm}0.28$). Of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retational competence had the highest score of 3.65(${\pm}0.33$) followed by self-presentation 3.50(${\pm}0.49$), message conversion 3.50(${\pm}0.47$), role performance 3.44(${\pm}0.37$), and goal setting competence 3.28(${\pm}0.60$).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luding workplace(dental clinic=1, ${\beta}$=-0.254), weekly average working hours($${\leq_-}40$$ hours=1, ${\beta}$=0.182), role performance(${\beta}$=0.163), self-presentation(${\beta}$=0.144), goal setting competence(${\beta}$=0.130), and position(head=1, ${\beta}$=0.137). There were significants effects in the job satisfaction including position(head=1, ${\beta}$=0.217), weekly average working hours($${\leq_-}40$$ hours=1, ${\beta}$=0.204), education level(graduate school=1, ${\beta}$=0.184), job career(3~6 years=1, ${\beta}$=-0.181), goal setting competence(${\beta}$=0.194), and interpretational competence(${\beta}$=0.124). Conclusions: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the dental hygienists showed a partial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a variety of efforts must be taken and focused on goal setting competence, role performance, self-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al competence.

비정규직이 인식한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Recognized by Irregular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최재원;이석기;천성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101-111
    • /
    • 2021
  • 최근 다양한 사회경제적 이슈 및 갈등을 야기하고 있는 비정규직은 대체로 고용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조직에 대한 충성도나 직무만족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는 비정규직의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제 7차 인적자본기업 패널조사 자료 중 비정규직 설문데이터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규직이 인식한 조직커뮤니케이션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비정규직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비정규직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이 매개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서비스업 위주의 연구에서 연구대상을 비정규직으로 확대하였으며, 보다 다양한 업종을 아울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정규직의 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해 미션 및 비젼 공유,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제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Distribution of Six Major Factors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Didit DARMAWAN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47-58
    • /
    • 2024
  • Purpose: Achie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the ultimate goal that every business entity or institution targets. To achieve this, organizations need to consider various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their performance. This article analyzes the distribution influence of six main elements that have a central role in shaping sustainab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are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alent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research uses a quantitative approach, focusing on manufacturing companies located in Surabaya as the main object, involving twenty manufacturing companies as research targets, and 10 employees in each company. The sample selec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pplication of random sampling techniques. The analysis in this research uses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and uses SPSS version 26 software. Results: Distribution of six major factors used in this research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overal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lusion: Organizations that can combine the distribution of a positive culture, prioritize employee satisfaction, encourage effective communication, manage talent and knowledge efficiently, and utilize information technology wisely will have greater potential to achieve their goals and survive in the intensely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AL AND COMMUNICATION ISSUES FOR MANAGING DESIGN-BUILD HIGHWAY PROJECTS

  • G. Edward Jr. Gibson;James T. O'Connor;Giovanni C. Migliaccio;Pramen P. Shresth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74-979
    • /
    • 2005
  • Effective communication flow is a fundamental for the success of any construction projects. The key role of communications among project parties is even more critical in the case of Design-Build (DB) project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these projects have an environment where integration between different project team members and schedule constraints increase channels of communication, and require faster communication flows. This paper summarizes the findings from research analyzing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Texas State Highway 130 (SH130) project. Awarded in 2002, the SH130 project, totaling $1.3 billion USD, constitutes the "pilot" application for the DB approach in the state of Texas. A set of observations pertaining to team 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issues in the design-build environment is included.

  • PDF

외식업체 종사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자기효능감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Foodservice Employees Communication Type on Self-Effici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임현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62-870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ype of food service employees on the self-effici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employees of food service companies located in Seoul, from August 5, 2013 to August 25, 2013 as a method of empiric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and statistical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square of regression result for 'communication typ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iency' was .220. Also,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consideration (Beta=.286, t=5.622), instruction (Beta=.303, t=5.970) and business (Beta=.214, t=4.217)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iency. Values for factors of consideration and instruction were higher than business. Second, the R-square of regression result for 'communication typ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429. Also,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consideration (Beta=.453, t=10.428), instruction (Beta=.380, t=8.749) and business (Beta=.282, t=6.477)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Values for factors of instruction and business were high but value of consideration factor turned out the highest. Third, the R-square of regression result for 'self-efficienc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34. Also, it was found that out of the factors of positivity (Beta=.369, t=8.423), confidence (Beta=.415, t=8.833) and negativity (Beta=-.072, t=-1.536), positivity and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nly positivity and confidence showed high values in organization commitment. Upon analyzing the effect of factors of self-efficiency (positivity, confidence, negativ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positivity and confidence showed high relevance but the negativity factor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ositivity and Family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Them among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 김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81-290
    • /
    • 2016
  •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국방부의 승인을 거친 직업군인들에 대한 연구에 대해 육 해 공 해병대 부대의 협조를 구하여 장기복무 직업군인 241명에게 설문조사를 거쳤으며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은 긍정성, 가족의사소통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에 대해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을 위한 효과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ships between the Hairdressing Business Work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on Job Satisfaction)

  • 우미옥;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04-1015
    • /
    • 2017
  • 이 연구는 미용실 직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조직 성과로서 직무 만족에 대한 조직 의사 소통의 효과를 결정하려고 연구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경남의 뷰티 살롱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의 의사 소통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다른 요인에 비해 의사 소통 능력이 직업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40 세 이상과 고졸 이하와 결혼 한 그룹에서 조직 간 의사 전달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 산업에서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는 등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개인의 특성과 조직 의사 소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적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간호사의 감성지능이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 한상영;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493-5499
    • /
    • 2011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감성지능이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소재의 대학병원 간호사 150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감성지능 정도는 자신의 감성이해, 타인의 감성이해, 감성의 활용, 감성의 조절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감성지능,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고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지능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을 높이는 전략을 수립하여야 하며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교육 훈련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양면성 혁신의 매개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mployee Train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Ambidexterity Innov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 박영용;권상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73-384
    • /
    • 2020
  • 본 연구는 양면성 혁신이 교육 훈련과 조직 몰입 간의 흐름을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추가적으로 교육 훈련과 양면성 혁신 간의 관계에 관해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제공하는 2017년 인적자본기업패널 데이터를 토대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 분석을 통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면성 혁신은 교육 훈련과 조직 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의 첫 번째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둘째,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교육 훈련이 양면성 혁신에 미치는 흐름을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 역시 지지되었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문 및 실무적 영역에 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금융업 종업원들의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on Job Satisfaction for Employees in Korea's Financial Industry: Focus on the Mediating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김혜나;윤경희;엄재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8-73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금융 산업에서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이 조직 몰입 및 직무 만족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특별히 조직몰입에 대한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직몰입이 직무만족과,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매개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 금융 산업에서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 조직 몰입 및 직무 만족간에는 서로 관계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조직몰입이 교육훈련, 인재개발, 커뮤니케이션과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금융산업에서 조직몰입을 위한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특히 포스트코로나 시대 변화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성과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 프로그램 구축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조직내 신뢰 문화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앞으로 질적연구를 통한 금융기업 종업원들과 관련한 요인을 도출하는 한편 다른 업종에 속한 기업들과의 분석 결과와의 비교 등을 통하여 보다 심도있는 관련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