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Climate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2초

조직의 보안 분위기가 개인의 기회주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An Effect of Organizational Security Climate on Individual's Opportunistic Security Behavior: An Empirical Study)

  • 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31-46
    • /
    • 2012
  • 보안 분위기에 대한 연구를 위해 안전 분위기에 관한 선행연구와 성과모델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정보보안 분위기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모델은 정보보안 분위기, 보안 정책 준수 태도, 그리고 기회주의적 보안 행위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조직의 보안 분위기는 보안정책 준수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태도는 기회주의적 보안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안 분위기는 기회주의적 보안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보안 정책 준수태도를 통해 간접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계산 오류예방을 위한 간호사의 역량과 투약안전과 관련된 병원조직풍토간의 정준상관관계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Drug Dosage Calculation Error Prevention Competence of Nurses and Medication Safety Organizational Climate)

  • 김명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69-579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rug dosage calculation error prevention competence and medication safety organizational climate. Methods: We surveyed 207 nurses from 15 hospitals. An assessment survey was designed to assess the medication safety organizational climate which consisted of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medication safety cultures, medication safety initiatives, medication error communication, and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ompetence. The drug dosage calculation error prevention competence contains two subcategories; Dosage calculation habits and 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11.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artial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anonical correlation were used. Results: Organizational climate was related to dosage calculation error prevention competence with two significant canonical variables. The first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53 (Wilks' ${\lambda}$=0.71, df=8, p<.001) and that of the second was .21 (Wilks' ${\lambda}$=0.96, df=3, p=.027). The first variate indicated higher perception of medication safety cultures, safety initiatives, error communication and error management competence were related to better dosage calculation habits. The second variate showed higher perception of medication safety cultures and lower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ompetence were related to higher calculation ability. Conclusion: Continuous supporting strategies for medication safety organizational climate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drug dosage calculation habits.

조직의 안전 분위기가 근로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afety climate on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turnove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이경아;이재희;오세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9-317
    • /
    • 2011
  •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N=155) working in manufacturing industry to assess the impact of safety climat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tention to turnover. Subordinate dimensions of the safety climate measured in our study were management value, immediate supervisor, safety communication, safety training, and safety practice. The results show that management value and immediate supervisor, of safety climate's dimensions,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tention to turnover was influenced by only immediate supervisor.

  • PDF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 내 윤리풍토와 윤리적 민감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thical Climate and Ethical Sensitiv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mall and Middle-sized Hospital Nurses)

  • 강인숙;김원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4-36
    • /
    • 2019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윤리풍토와 윤리적 민감성 정도를 확인하고 조직의 목표달성 정도를 의미하는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년 이상 근무한 155명의 중소병원 간호사로 편의 추출하였고, SPSS/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소병원 간호조직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2년이내 간호윤리교육 경험이 있고, 윤리풍토가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설명력은 60.6%였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부서 조직유효성을 위해 구성원들이 다양한 업무와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윤리적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올바른 행동과 그 문제들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조직 내 공유되는 인식들이 필요하다. 이를 공유하고 확산할 수 있는 문화적 배경과 함께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간호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행사에서의 윤리적 풍토와 이직의도 -신뢰와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 (Ethical Climate and Turnover Intentions in Travel Agency -Mediating of Trus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김용순;권문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96-505
    • /
    • 2011
  • 본 연구는 여행사 종사원을 대상으로 하여 윤리적 풍토, 신뢰, 조직 동일시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윤리적 풍토는 윤리적 내용에 대한 전형적인 조직관행과 절차에 있어서의 지배적인 인식이다. 즉 조직 작업환경 내에서의 옳고 그름에 대한 지각과 기업 내에서 수용하거나 수용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한 규범을 세우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윤리적 풍토에 대한 인식이 신뢰와 조직 동일시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문헌연구와 더불어 여행사의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231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윤리적 풍토는 신뢰와 조직 동일시 및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와 이직의도는 유의성이 없는 반면, 조직 동일시와 이직의도는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풍토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만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윤리적 풍토의 측면에서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근무환경 분위기,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Korean dental hygienists)

  • 정다이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13-82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Korean dental hygienists. Methods: A total of 806 dental hygienis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the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organizational climate, job involve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subject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for Windows (version 23.0) and p-values < 0.05 were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Highly chronic exposure to emotional labor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especially in the sub-scales of "over-load and conflict in customer service" (OR: 1.64; CI: 1.01-2.64), "organizational surveillance and monitoring" (OR: 1.76; 95% CI: 1.21-2.57), and "lack of a supportive and protective system in the organization" (OR: 1.76; 95% CI: 1.36-2.46). Job involvement (OR: 0.91; 95% CI: 0.86-0.96) and organizational climate (OR: 0.82; 95% CI: 0.75-0.90)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Conclusions: Exposure to chronic and excessive emotional labor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for turnover intention, and job involvement and a positive organizational climate contribute to protecting the negative impacts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s.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ecting Variabl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Librarians)

  • 심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7-33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조직몰입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 개인적 상황요인, 역할요인. 직무요인, 조직풍토 등 네 가지로 설정하고, 이들 네 요인의 각각 세부적 요인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와 그 중 어느 요인이 조직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상황요인, 역할요인, 직무요인, 조직풍토 네 요인 중에서 직무요인이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조직몰입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 다음은 조직풍토, 개인적 상황요인 순으로 분석되었고, 역할요인은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조직몰입도에 가장 영향을 적게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체육계열 학과에서 윤리적 리더십, 윤리적 풍토, 비윤리적 행동, 조직 몰입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Ethical Leadership, Ethical Climate, Unethical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451-460
    • /
    • 2018
  • 본 연구는 체육계열학과 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수들의 윤리적 리더십 행동과 학과의 윤리적 풍토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학생들의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몰입의 결과를 밝히고자 한다. 서울, 인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5개 대학교의 체육계열학과 26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설 1, 윤리적 리더십은 비윤리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설 2, 윤리적 리더십은 윤리적 풍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설 3,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설 4, 윤리적 풍토는 비윤리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설 5, 윤리적 풍토는 조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설 6, 윤리적 풍토는 윤리적 리더십과 비윤리적 행동사이에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가설 7, 윤리적 풍토는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사이에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스포츠 현장으로 진출하는 스포츠 사회인의 윤리성을 교육시키고 윤리적 행동을 고취시키기 위한 기초단계의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수출제조기업의 리더십 스타일이 정서분위기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adership Style on Affect Climat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n Export Manufacturing Enterprises)

  • 김대곤;김학민
    • 무역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03-226
    • /
    • 2019
  • This study incorpor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styles (LS), affect climate (AC),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P) in Korean export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three or more overseas subsidiaries. A theoretical model is suggested with the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the positive effect of engaging leadership (EL)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s well as of engaging leadership, involving leadership (IL), and goal-oriented leadership (GL) on team performance (TP), proved to be significant. Second, both engaging leadership and goal-oriented leadership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ptimism, while involving leadership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essimism. Third, only optimism has a positive (+) effect on OCB and TP. The mediating effect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in two paths: one in EL->optimism->OCB and the other in EL->optimism->TP. Finally, in responding to rapid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exporting companies, the engaging leadership is a key sourc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forming a favorable affect climate. Therefore, top management should recognize the role of team leaders and strengthen their leadership train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leader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that can respond to the affects of members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forming an optimistic climate in Korea export manufacturing enterprises with foreign subsidiaries.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erioperative Nurses)

  • 윤계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6-10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operative nurs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0 perioperative nurses from 11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Sep. 19 to Sep. 27, 2009.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five variables. The analyses of covariance of these five variables revealed overall significant (p<.05). Stepwise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se five variabl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variables for verbal abuse (p<.01), workplace climate (p<.01), internal marketing (p<.001), and job transfer (p<.001)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job satisfaction (adjusted R square=.426), while the verbal abuse (p<.01), internal marketing (p<.01), leadership style (p<.001) and workplace climate (p<.001) did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djusted R square=.351). Canonical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internal marketing and workplace climate contributed most significantly both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all these five nursing managerial factors were important influential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operative nurses. Addressing these factors with further research will surely improve the commitment of these nurses and ultimately lead to better perioperative nursing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