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ral and Maxillofacial

검색결과 6,335건 처리시간 0.03초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안면비대칭환자의 측두하악관절원반의 형태와 위치에 관한 연구 (Morphologic and positional assess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k in facial asymmetric patients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 Zou, Bingshuang;Kim, Tae-Woo;Choi, Soon-Chu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98-407
    • /
    • 2005
  •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이 있는 환자의 측두하악관절원반 형태와 위치를 평가하고 악관절내장증과 안면비대칭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남자 10명 및 여자 27명으로 구성된 안면비대칭 환자 37명의 74개의 TMJ MRI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집단의 연령은 12세에서 44세까지의 범위로 평균 21.4세였다. 시상 및 두정 TMJ MRI를 최대감합위 및 최대개구위에서 채득한 후 부분전방변위, 전방변위, 회전 또는 측방원반변위 등 원반변위의 종류를 기록하였으며, 원반의 모양위치, 그리고 원반의 변위 및 회전을 MRI tracing 상에서 판독하였다. 악관절내장증의 증상은 정상, 정복성 전방원반변위(ADDR), 그리고 비정복성 전방원반변위 (ADDNR)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환자는 양측성 정상. 편측 혹은 양측 내장증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약$70\%$의 환자에서 편측성 또는 양측성 내장증을 보였으며. 통계분석 결과 ADD, 특히 회전성 ADD가 변위측에서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반대측에서는 원반의 위치가 정상인 경우가 많았다. (p<0.01). 변위측의 원반은 모양의 변형 및 하전방 변위를 유의하게 더 나타냈다. 그러나 반대쪽은 개구시 원반이 수직방향으로 과운동성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ADD의 종류가 원반의 모양, 경사 변위 각도, 변위의 수직거리 및 회전각도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악하선 암의 치료성적과 예후인자 (A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 임치영;남기현;이잔디;장항석;정웅윤;차인호;이창걸;최은창;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1-207
    • /
    • 2005
  • Purpose: Submandibular gland tumor is rare, less than 6% of head and neck tum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is the clinical experience and treatment outcomes of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suggesting a guideline of manage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26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for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at Severence hospital between 1986 and 2004.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Kaplan-Meier method, log rank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using SPSS v12.0 for Windows. Results: They consisted of 18 males and 8 females whose median age was 47 years(range: 20-71). 10 cases of adenocystic carcinoma, 8 cases of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4 case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1 case each for acinic cell 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adeno carcinoma,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Sialoadenectomy only was performed in 10 cases(36.5%) and sialoadenectomy with neck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in 16 cases(63.5%). Adjuvant radiotherapy was done in 22 cases(84.6%). 10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for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63.1 % and 10 year overall survival rate for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70.1%. In univariate analysis,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of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initially papable lateral neck node in physical examination and metastasis of lateral neck node in pathologic confirmation.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of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tumor size, TNM stage, recurrence and type of recurrence. Conclusion: In this study,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of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initially papable lateral neck node in physical examination and metastasis of lateral neck node in pathologic confirmation.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of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tumor size, TNM stage, recurrence and type of recurrence. To prevent recurrence and to improve survival, early diagnosis and aggressive surgery must be considered.

Cone-beam CT를 이용한 최대교두간접촉위(MIP)에서 과두 위치에 대한 방사선적 평가 (Radiographic Evaluation of Condyle Position at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Using Cone-beam CT)

  • 오상천;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11-120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측두하악관절의 시상 CT 이미지에서 최대교두감합위시 양 과두의 위치와 대칭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재료 및 방법: Cone-bem CT가 각 100명의 남/녀 그리고 증상/무증상으로 분류된 총 200명의 400개 측두하악관절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3명의 독립된 평가자(치과의사)가 전방위(AP), 중앙위(MP), 후방위(PP)으로 분류된 과두 위치와 양 과두의 대칭성을 결정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전방위, 중앙위, 후방위의 평균 퍼센트(%)는 남성에서 48.5, 28.5, 23였고, 여성에서 34, 38, 28였다. 과두의 대칭성은 성별에 관계없이 대칭인 경우가 많았다. 증상과 무증상의 관점에서 보면 전방위, 중앙위, 후방위의 평균 퍼센트(%)는 무증상 그룹에서 44.5, 34, 21.5였고, 증상이 있는 그룹에서는 37, 33.5, 29.5였다. 과두의 대칭성은 무증상 그룹에서는 대칭성이 더 빈번했고, 증상 그룹에서는 비대칭이 더 많았다. 결론: 이 데이터는 Cone-bean CT에 의해서 얻어진 최대교두감합위에서 과두 위치의 임상 평가를 위해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체 유래 골 이식재(OCS-B)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bovine bone-derived bone graft material(OCS-B))

  • 박호남;한상혁;김경화;이상철;박윤정;이상훈;김태일;설양조;구영;류인철;한수부;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335-343
    • /
    • 2005
  • Inorganic bovine bone mineral has been widely researched as bone substitution materials in orthopedic and oral and maxillofacial application. OCS-B(NIBEC, Korea) is newly-developed inorganic bovine bone minera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bovine bone-derived bone graft material(OCS-B). Micro-structure of newly-developed inorganic bovine bone mineral(OCS-B) was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Round cranial defects with eight mm diameter were made and filled with OCS-B in rabbits. OCS-B was inserted into femoral quadrant muscle in mouse.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CS-B was equal to natural hydroxyapatite. Rabbits were sacrificed at 2 weeks and 4 weeks after surgery and mice were sacrificed at 1 week and 2 weeks after surgery. 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and observed by microscope. In calvarial defects, osteoid and new bone were formed in the neighborhood of OCS-B at 2 weeks after surgery. And at 4 weeks after surgery osteoid and new bone bridge formed flourishingly. No inflammatory cells were seen on the surface of OCS-B at 1 week and 2 weeks in mouse experimental group. It is concluded that newly-developed inorganic bovine bone mineral(OCS-B) is a flourishing bone-forming material and biocompatible material.

사랑니 길이 측정을 통한 파노라마와 CBCT의 정확도 연구 (Study on accuracy of panorama and CBCT through length measurement of wisdom teeth)

  • 정천수;김종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31-136
    • /
    • 2013
  • 치과 방사선 발생장치 중 파노라마는 구강악안면의 넓은 해부학적 구조물을 관찰할 수 있으나, 길이나 각도, 형태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CBCT는 3차원적 영상진단을 할 수 있으며, 해부학적 구조물 사이의 중첩과 간섭에 의한 오차가 현저히 적은 영상을 얻을 수가 있으나, 시간이 길어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해 상의 질이 저하될 수 있고 구강 내에 금속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체가 존재하면 그 물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방사선 불투과성 선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노라마와 CBCT로 측정된 사랑니 길이와 실제 발치된 치아를 비교하여 치아의 왜곡을 분석함으로써 파노라마와 CBCT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치과 치료시 해부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실험결과 파노라마와 Digital Vernier Caliper의 오차는 크게는 110.7%, 작게는 103.9%로 평균적으로 파노라마가 평균 7.3%로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CBCT와 Digital Vernier Caliper에서 측정된 사랑니의 길이는 오차범위 1.3%로 나타났고, 파노라마와 Digital Vernier Caliper에서 측정된 사랑니의 길이는 오차범위 7.3%를 나타냄으로써 CBCT가 파노라마보다 약 6% 정확한 영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CBCT가 파노라마보다 정확한 영상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CBCT는 파노라마보다 검사비용이 비싸고 피폭선량 또한 많아서 검사 시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Monolithic zirconia framework으로 제작된 fixed detachable prostheses를 이용한 심미적인 임플란트 전악 수복 증례 (Esthetic Full Zirconia Fixed Detachable Implant-Retained Restorations Manufactured from Monolithic Zirconia : Clinical Report)

  • 홍준태;최유성;한세진;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253-268
    • /
    • 2012
  • 수직적, 수평적 골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수복의 경우 경조직과 연조직 이식을 통해서 임플란트를 원하는 위치에 식립할 수도 있지만, 치은과 치아의 기능과 심미를 회복할 수 있는 fixed detachable prostheses를 대체 술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증례에서 다양한 재료가 수복물의 제작에 사용 가능하지만, metal/acrylic 보철물에서는 레진치아의 파절 및 탈락이 일어날 수 있고, metal/ceramic 혹은 zirconia/ceramic 보철물에서는 도재의 chipping이나 파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 심미적이면서도 기능적인 보철수복을 위해 zirconia에 도재를 축성하지 않고 임상적으로 적용가능한 monolithic zirconia framework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임상 증례는 심미적인 요구도가 높은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chipping이나 파절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monolithic zirconia framework을 이용해 만들어진 complete fixed detachable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이번 증례에서 보철물은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웠으며, 2년 간의 정기검사에서 임상적인 합병증은 보고되지 않았다.

이동형 구내방사선촬영기와 벽걸이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촬영에서 환자의 흡수선량과 유효선량 평가 (Absorbed and effective dose for periapical radiography using portable and wall type dental X-ray machines)

  • 한원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4-190
    • /
    • 2012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상악 전치부와 하악 구치부 치근단 방사선촬영시 이동형 구내방사선촬영기와 벽걸이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경우에서 환자의 방사선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방사선량 측정은 선량 측정용 두경부 마네킨의 23부위에 열형광선량계 소자를 위치시키고 해당 치근단 방사선촬영을 하였다. 열형광선량계 판독기로 흡수선량을 구하였고 방사선 조사된 조직의 비율을 곱하여 방사선 가중선량을 구하였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에서 2007년에 공지한 조직 가중계수를 이용하여 각 방사선촬영의 유효선량을 구하였다. 결과: 환자의 흡수선량은 이동형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상악 전치부와 이동형 및 벽걸이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하악 구치부 치근단방사선촬영의 경우 하악체에서 가장 높았다. 유효선량은 상악 전치부 치근단 방사선촬영에서는 이동형 촬영기로 촬영한 경우 $4{\mu}Sv$, 벽걸이 촬영기로 촬영한 경우 $2{\mu}Sv$였고 우측 하악 구치부 치근단 방사선촬영에서는 각각 $6{\mu}Sv$, $2{\mu}Sv$였다. 결론: 벽걸이 구내방사선촬영기보다 이동형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촬영에서의 유효선량이 더 많기 때문에 술자는 구내방사선촬영기에 따른 방사선 노출 정도를 충분히 인지하고 이를 사용하여야 한다.

저산소 환경에 대한 전체 유전자 발현 반응에서 미토콘드리아 호흡계의 연루 (Whole-genome Transcriptional Responses to Hypoxia in Respiration-proficient and Respiration-deficient Yeasts: Implication of the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in Oxygen-regulated Gene Expression)

  • 이보영;이종환;변준호;우동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37-1152
    • /
    • 2016
  • 세포는 다양한 인체 질환에 관련되어 있는 저산소 환경을 인지하고 반응하며 적응한다. 저산소 상태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hypoxic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aerobic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유전자 발현 조절이 필요하다. 최근 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 호흡계가 이러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됨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이 가능한 곰팡이(Saccharomyces cerevisiae)와 호흡이 불가능한 돌연변이 곰팡이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미토콘드리아 호흡계가 저산소 환경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됨을 DNA microarray 기법을 이용하여 전체 유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산소 농도가 감소함에 반응하여 많은 유전자의 발현에 변화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별적인 발현 양상을 보이는 유전자는 여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hypoxic 그리고 aerobic 유전자는 저산소 상태에 적응하는 발현 양상을 위해서는 미토콘드리아 호흡계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일부 hypoxic 그리고 aerobic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 호흡계와 무관하게 저산소 상태에 적응하는 발현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토콘드리아 호흡계가 저산소 환경에 적응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에 필요하며, 또한 여러 기전을 통하여 이러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함을 제시한다. 또한 microarray 실험 결과에서 도출된 산소 농도에 대해 차별적인 발현을 보이는 유전자에 대하여 gene ontology 및 promoter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러한 추가 분석 결과는 산소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와 함께 세포가 저산소 환경에 적응하는 기작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극산화에 의한 티타늄 산화피막의 전기화학적 거동과 형상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Morphology of Anodic Titanium Oxide Films)

  • 변기정;김진수;;김교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3-277
    • /
    • 2000
  • 순 티타늄(공업용 순 티타늄, 2급)의 0.5M에서 0.7M 농도의 $H_3PO_4$ 용액에서 $0.3\~l.0 A/dm^2$의 정전류 밀도변화에 따른 anodizing 거동을 관찰하였다. 이때 형성된 산화피막을 SEM과 XRD로 관찰,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0.05M $H_3PO_4$ 용액의 조건에서 전압-시간 (V-T)곡선의 초기에는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고,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물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V-T곡선의 형태는 전해질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지만, 최종적인 전압은 감소하였다. 티타늄의 산화피막은 전해질 농도와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미세한 입자 형태에서 눈꽃과 같고 층을 이룬 입자들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내었다. 산화막과 전해질의 계면에서의 방전에 의해 산화피막의 국소적인 침착과 용해를 동반하였다. 산화피막의 결정성은 anodizing 전압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전해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Adjuvant therapy with 1% alendronate gel for experimental periodontitis treatment in rats

  • de Campos Kajimoto, Natalia;de Paiva Buischi, Yvonne;Loomer, Peter Michael;Bromage, Timothy G.;Ervolino, Edilson;Fucini, Stephen Enrico;Pola, Natalia Marcumini;Pirovani, Beatriz Ommati;Morabito, Maria Juliana Sismeiro;de Almeida, Juliano Milanezi;Furlaneto, Flavia Aparecida Chaves;Nagata, Maria Jose Hitomi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6호
    • /
    • pp.374-385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cally delivered 1% alendronate (ALN) gel used as an adjunct to non-invasive periodontal therapy. Methods: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was performed in 96 rats. The ligature was tied in the cervical area of the mandibular left first molar.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1) NT, no treatment; 2) SRP, scaling and root planning; 3) SRP/PLA, SRP followed by filling the periodontal pocket with placebo gel (PLA); and 4) SRP/ALN, SRP followed by filling the periodontal pockets with 1% ALN gel. Histomorphometric (percentage of bone in the furcation region [PBF]) and immunohistochemica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osteoprotegerin, an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analyses were perform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threshold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et at P≤0.05. Results: The SRP, SRP/PLA, and SRP/ALN groups presented a higher PBF than the NT group (P≤0.01) at 7, 15, and 30 days. The SRP/ALN group presented a higher PBF than the SRP/PLA group in all experimental periods, as well as a higher PBF than the SRP group at 15 and 30 day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P>0.05 for all). Conclusions: Locally delivered 1% ALN gel used as an adjunct to SRP enhanced bone regeneration in the furcation region in a rat model of experimental periodon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