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Impact Profil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47초

치과내원 환자들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삶의 질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Care to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of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 윤현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94-602
    • /
    • 2015
  • 본 연구는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7개월간 일부지역의 치과병 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84명을 분석하였다. OHIP-14는 일반진료를 받은 환자에서 가장 높았고, 하위영역으로 기능제한 교정치료 8.27점, 신체적 동통 7.24점, 정신적 불편감 7.90점, 신체적 능력저하 7.79점, 정신적 능력저하 8.14점, 사회적 능력저하 8.24점 모두 일반진료에서 높았고, 사회적 불리에서는 교정치료(8.7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서는 모두 남자에서 높았고, 연령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나빠졌으며, 직업은 주부에서 대부분 낮게 나타났고, 전신질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리 행태에서는 정기검진을 받지 않고, 통증 시 치과내원이 가능한 경우 삶의 질이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실란트 시술을 받은 치아, 충전치료를 받은 치아와 상실치아, 보철치료를 받은 치아, 임플란트 식립 치아가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구강건강관리 시스템구축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예방진료와 구강보건교육을 바탕으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연치아를 오래 보존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s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신민우;이영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00-511
    • /
    • 2016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기능(ADL, IADL), 정신적 기능(CES-D, MMSE-K) 및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있는 노인 60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4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정신적 기능(CES-D, MMSE-K)은 신체적 기능(ADL, IADL)이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보다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기능과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을수록, 정신적 기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부지역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s to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of the Pregnant Women)

  • 허아롱;송귀숙;차은종;김경아;손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81-89
    • /
    • 2016
  • 본 연구는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조사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6월23일~7월30일까지 전라북도 일부지역 임신부 12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주요 측정변수에 대한 Shapiro-Wilk 정규성을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심도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46.5%가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51.2%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응답했고, 57.5%가 자신의 구강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삶의 질은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칫솔질 횟수가 3회 이하인 경우,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 치석제거 경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OHIP-14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임신 기간이 길수록, 분만경험이 없고,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행태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노인의 자가보고 치주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the self-reported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Koreans)

  • 장문성;김혜영;심연수;류인철;한수부;정종평;구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591-60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 of self-reported periodontal health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Koreans. Methods: Four hundred twenty one elderly Koreans in Seoul and suburban areas were selected with a cluster (institution) sampling method, and were requested to take oral examinations and finish questionnaires on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14(OHIP-14). and self-reported periodontal health status, such as periodontal symptoms, self-rated periodontal health and periodontal treatment need. As the dependent variable, OHIP-14 showed a positive skewed distribution (skewness: 1.17), we transformed to square-root form to apply parametric analyses. Bivariate analysis by t-test and AN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with the two-level regression model accounting clusters were implemented. Results: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4.6 years and 66.5% were women. Fourteen items of OHIP-14 were summarized to one factor explaining 78.6% of total variance and produced the Chronbach alpha coefficient of 0.92. Results from the multivariate model, adjusting for age, sex, type of institutions, ability to pay, and number of teeth pres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OHIP-14 with reporting less than 3 periodontal symptoms (p(O.OOO1), rating their own periodontal health as above average level (p=O.0144), and thinking they don't need any periodontal treatments in the near future (p=O.0148), than their counterparts. The intraclass-corrrelation estimated by the final model was 0.028.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의 구성개념 타당성 검증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validated for constituent concepts validity using OHIP)

  • 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41-453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831 industrial workers in Gumi City in Gyung-Sang-Buk Do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knowledge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ough industrial workers' oral health promotion. Oral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ing were used to evaluate workers' oral health state and subjective health state and analyze their effect on quality of life. At the same time, the scales used in measuring the subjects' health state and quality of life-OHIP and WHOQOL-BREF-were validated for their constituent concepts and their relation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stituent concepts of OHIP and QOL factor structural models were validated since they were all in the range of appropriateness, as shown in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Indices of Fit-GFI, CFL, TLI and RMSEA. The result of analysis of constituent concepts to identitify the relations between OHIP and QOL confirmed that OHIP influences QOL.

  • PDF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Correlation factors to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 박정현;유병철;박민경;조미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11-518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factors to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nese students studyng in Korea.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31 students from November, 2012 to January, 2013.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and Duncan post-hoc test using SPSS version 19.0. Results : Male students and short period staying students tended to have a higher quality of life. Smokers and large city dwellers tended to have a low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p<0.05).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nese students in Korea was closely related to necessity of dental treatment and past experience of dental treatment services(p<0.05). Conclusions : To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oreign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arly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through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dental health care delivery program for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강릉시 노인의 임상지표를 이용한 OHIP 14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의 타당도 연구 (The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OHIP 14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Using Health Index on Elderly Population, Gangneung City)

  • 이지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75-483
    • /
    • 2009
  •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외국에서 비교적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OHIP 14)를 한국의 문화적 특성이나 사고방식에 맞게 번역하여 강릉시에 거주하는 노인 만 65세 이상 668명을 대상으로 2005년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간 OHIP 14 지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Kappa index, Cronbach's alpha Correlation & Spearman ranked correlation coefficient)하고, OHIP 14와(구강)건강인식도, 구강건강상태, 전신건강 상태와의 차이를 검증(Kruskal Wallis test, Mann-Whitney U-test)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노인 구강건강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1. (구강)건강인식도와 OHIP 14는 전신건강인식도, 구강건강인식도, 치과치료필요도, 구강건강만족도, 통증에 대한 시각적 정도, 틀니만족도, 구강건강상태와 OHIP 14는 무치악 여부, 현존 자연치아의 개수, 치아치료필요, 전신건강상태와 OHIP 14는 질병의 개수, 치매, 눈, 귀, 호흡기, 심혈관, 소화기, 비뇨생식기, 근골격계, 신경계, 심리상태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구강)건강인식도에 따른 OHIP 14는 전신건강인식도, 구강건강인식도, 치과치료필요도, 구강건강만족도, 통증에 대한 시각적 정도, 틀니만족도,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OHIP 14는 무치악 여부, 치아치료필요, 현존 자연치아의 개수, 전신건강상태에 따른 OHIP 14는 치매, 귀, 호흡기, 심혈관, 소화기, 근골격계, 신경계, 심리상태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일부 노인에서 임상지표를 이용한 OHIP 14에서 (구강)건강인식도, 구강건강상태, 전신건강상태가 OHIP 14와의 타당도와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일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향후 한국노인의 구강건강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하는데 전통적인 구강건강 상태검사, 전신건강상태검사와 더불어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지표인 OHIP 14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부양부담감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Caregiver Burden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t Home)

  • 성기월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9-44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caregiver burden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5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registered at dementia safety centers in five health center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hrough December in 2019, using questionnaire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49) and Burden Interview (B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Result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aregiver burden (r=-37, p<.001). The caregiver burden (β=-.28,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β=.39, p<.001), and dental clinic visit (β=-.25, p=.002) explained 33.0% of the variance i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care for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will be needed to reduce the caregiver burden and enh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ntal clinic visit, which influenc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pouse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t home.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Which Affect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rkers)

  • 이다인;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80-486
    • /
    • 2013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위와 구강 자각증상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을 조사하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근로자 구강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39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위 및 구강자각증상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변수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OHIP-14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자각증상이었고, 구강보건행위는 간접효과가 있었다. 구강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보건행위였고, 구강보건지식과 태도는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였고, 구강보건지식은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구강자각증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해 간접효과가 확인된 구강보건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근로자의 구강자각증상을 줄이기 위한 구강검진 및 진료사업과 구강보건행위 향상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사업이 포함된 근로자 구강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Effect of malocclusion or orthodontic treatment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 Kang, Jang-Mi;Kang, Kyung-Hw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304-311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alocclusion or orthodontic treatment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in adult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860 adults (378 men and 482 women, aged 18-39 years) who were clinically evaluated for malocclusion or orthodontic treatment experienc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s follows: normal occlusion, malocclusion, fixed treatment, and retention. OHRQoL was assessed with the short form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and Psychosocial Impact of Dental Aesthetics Questionnaire (PIDAQ). Results: The malocclusion group and the fixed treatm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OHIP-14 scores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 and the retention group (p < 0.001). The malocclusion group had the highest PIDAQ score, while the normal occlusion group and the retention group had the lowest PIDAQ score (p < 0.001). Women had higher OHIP-14 and PIDAQ scores than me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HIP-14 and PIDAQ scores (p < 0.01). Conclusions: Malocclusion has a negative impact on OHRQoL, but this could be improved in adults through orthodontic treatment. These OHRQoL questionnaires can provide additional useful information on specific aspects of orthodontic patients' psychological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