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Site Select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16초

AHP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웹사이트 선정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Web Site Selection and Quality Evaluation Using AHP)

  • 오기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381-386
    • /
    • 2004
  •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로 여러 종류의 인기 웹사이트들이 생겨나고 있으나, 웹사이트의 품질을 사용자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비교 및 평가하는 선정기법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품질을 평가하는 관점은 블랙박스, 화이트박스, 그레이박스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웹사이트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장에서 블랙박스 관점으로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였고, 웹사이트의 품질은 국제표준 IS0/1EC 9126에서 규정하고 있는 6가지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중에서 효율성, 사용성, 호환성을 고려하였다. 현재 인터넷상에서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들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웹사이트 선정기법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가 최적의 웹사이트를 선택하는데 적용 가능한 것임을 보여준다

LNG 특성을 고려한 저장기지 입지선정 모델 개발 (Model development for site sele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NG receiving terminal)

  • 정남훈;유안기;황건욱;장우식;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2-91
    • /
    • 2015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및 저탄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표적인 친환경연료인 천연가스의 사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산업용, 발전용,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천연가스 수요증가에 대비하여 도입 물량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LNG 저장용량의 확보를 위해 저장기지 증설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LNG 저장기지의 입지선정은 기업의 내부적인 절차나 용역을 통해 수행되어 LNG 및 LNG 저장기지의 특성을 반영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또한 해외에서도 LNG 저장기지의 입지선정과 관련하여 주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프로세스 및 모델 등 체계적인 분석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NG 저장기지의 특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기업의 과거 사례를 분석하여 저장기지 입지선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요인들과 기존에 연구되어온 플랜트시설, 공장, 산업단지, 관청청사 등의 입지선정에 대한 요인들을 취합하여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47개의 입지선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기 수행된 5개 지역(PT지역, IC지역, TY지역, SC지역, BR지역)의 사례에 대한 설문을 기반으로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지역별 입지선정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LNG 저장기지 후보지에 대한 입지선정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향후 LNG 저장기지의 추가 건설과정에서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서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입지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pplication of Parameters-Free Adaptive Clonal Selection in Optimization of Construction Site Utilization Planning

  • Wang, Xi;Deshpande, Abhijeet S.;Dadi, Gabriel B.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7권2호
    • /
    • pp.1-10
    • /
    • 2017
  • The Clonal Selection Algorithm (CSA) is an algorithm inspired by the human immune system mechanism. In CSA, several parameters needs to be optimized by large amount of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optimal results. They limit the accuracy of the results due to the uncertainty and subjectivity. Adaptive Clonal Selection (ACS), a modified version of CSA, is developed as an algorithm without controls by pre-defined parameters in terms of selection process and mutation strength.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ACS in detail and present its implementation in construction site utilization planning (CSUP). When applied to a developed model published in research literature, it proves that the ACS are capable of searching the optimal layout of temporary facilities on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result of objective function, especially when the parameterization process is considered. Although the ACS still needs some improvements, obtaining a promising result when working on a same case study computed by Genetic Algorithm and Electimze algorithm prove its potential in solving more complex construction optimization problems in the future.

건축 공사현장 유형별 최적 거푸집 공법선정을 위한 정량적 의사결정 지원모델 개발 (Development of Quantitative Decision Support Model for Optimal Form-Work Based on Construction Site Type)

  • 김오형;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6-68
    • /
    • 2019
  • 거푸집 공사는 전체 건축공사의 공사기간 및 공사비 측면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구조물공사의 품질, 마감 및 설비 등 후속공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현장에서의 거푸집 공법선정은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현장 실무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다수의 현장에서 공기단축, 비용절감 등의 효과가 큰 신공법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절차의 부재로 인해 최적 공법선정 시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의사결정으로 인해 공기지연, 비용증대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 공법선정과 관련한 다양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현장조건이라는 중요한 요인을 고려하지 못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여 활용하기에 다소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 유형별 조건을 고려한 정량적 거푸집 선정 의사결정 지원 모델 개발을 그 최종 목적으로 한다. 개발된 의사결정 지원 모델은 공사현장에서 거푸집 선정 의사결정시 정량적인 평가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경험에 의존하여 결정하던 의사결정 방법보다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최적의 거푸집 공사를 선정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엔지니어도 본 연구의 의사결정 지원모델을 활용하여 현장의 조건을 고려한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형공간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적지 선정 방안 (A Method of Site Selection for the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water Using Geospatial Data)

  • 이재원;서민호;한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27-436
    • /
    • 2015
  • 본 연구는 건기에 1일 50ton 규모의 지하수 양수를 목적으로 하는 소규모 인공함양(Artificial Recharge) 지하저수지 설치를 위한 적지선정 기법을 모색한다. 먼저 수리모델 실험결과 다양한 인자에 부응하는 적지 후보지 형상을 정의하고, 주입과 양수모델링 실험을 수행하여 적합한 양수효율을 산정하였다. 다음으로는 최적 후보지 선정을 위하여 각종 지형공간정보를 처리하여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B를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5m 격자의 DEM(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유역분할 영상을 생성하여 적지의 최소단위로 정의하며 경사도를 이용하여 일정기간의 대수층 저류 기간을 확보하기 위한 적정 수두구배를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유역 분할 영상과 경사도, 정사영상 및 DEM 자료 등을 종합 이용하여 최적 형상에 준하는 영역을 인공함양의 최종 후보지로 선정한다.

Adaboost 최적 특징점을 이용한 차량 검출 (Vehicle Detection Using Optimal Features for Adaboost)

  • 김규영;이근후;김재호;박장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29-113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최적 특징점 선택기법를 적용한 다중 최적 Adaboost 분류기를 기반으로 새로운 차량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2 가지 주요 모듈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설치된 카메라의 사이트 모델링을 이용한 영상 스케일링을 기반으로 하는 이론적 DDISF(Distance Dependent Image Scaling Factor) 모듈이며, 두 번째는 차량과 카메라의 거리에 대응하는 최적 Haar-like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인식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96.43% 의 인식률과 약 3.77%의 오검출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성능은 기존의 표준 Adabooost 알고리즘에 비하여 각각 3.69%와 1.28% 의 성능을 개선한 것이다.

서남해 연안 해상풍력 발전단지 지리적 적합지 선정 및 최적배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Site Selection by Constraint Mapping and Park Optimization for Offshore Wind Farm in the Southwest Coastal Area )

  • 김중호;류건화;손홍철;김영곤;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145-1156
    • /
    • 2022
  •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위한 입지 적합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발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적·생태적·경제적 핵심가치에 대한 편익 상충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또한 해양공간계획상 타 용도구역과 충돌하지 않도록 입지 적정성에 대한 사전검토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추가로 전남 해역 인근의 풍력자원을 포함한 국지적인 기상 특성 분석도 사업타당성 조사 이전에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영광군 안마도 인근 왕등여에 설치된 기상탑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풍력자원분석을 수행하였고, 해상풍력 단지 입지 관련 지리적 제약조건을 배제한 후 최적 입지구역을 선정하였다. 또한, 국지적 풍력자원 특성에 적합한 풍력단지 최적배치 결과를 WindSim 기반으로 도출하여 연간발전량을 산출하였으며, 향후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입지발굴 및 적합지 선정에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계통안정화를 위한 SMES의 모델링과 적정위치 선정 (A Modeling and Optimal Site of SMES for Power System Stabilization)

  • 김정훈;임재윤;이종필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8권5호
    • /
    • pp.494-501
    • /
    • 1999
  • In this research, ANN modeling method of SMES unit is developed for stability analysis, and the optimal site is selected to maximize stabilization effect of SMES unit. The ANN is trained by learning data which is obtain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mplex test function into the traditional mathematical mode.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proposed modeling method, fault data of sample power system is applied to both the traditional and the ANN models. When the response of traditional and proposed models are compared, the average error for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are 2.51[%], and 0.24[%], respectively. From the comparison, the relevance of proposed method is validated. For the transient stability analysis, an application method of the proposed model is presented, and the transient stability performance index, which describes system stabilization effect of SMES at disturbance, is also suggested, and optimal site selection method of SMES is presented. In the viewpoint of the voltage stability, system stabilization criterion of local bus is presented from P­V curve, and then optimal site which can maximize the voltage stabilization of the whole power system, is decided from the proposed voltage stability performance index.

  • PDF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적정위치 선정 연구 - 호남·제주 권역을 대상으로 (A Study on Optimal Site Selection for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the Case of Honam and Jeju Areas)

  • 윤석희;원명수;장근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08-220
    • /
    • 2016
  • 본 연구는 매년 발생하고 있는 산불, 산사태 등의 산림 재해방지를 위해 호남과 제주의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입지를 선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적정위치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항목들을 공간자료화한 후 공간 분석을 통해서 후보지를 선정하고 현장 조사를 통해 정량적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인 적정위치를 선정하였다. 공간자료는 과거 10년간의 산불발생 정보와 과거 7년간의 산사태위험등급 정보, 산림청의 국사경계도, 국유지의 임도와 등산로 그리고 기상청의 자동기상관측소(AWS)와 산림청의 산악기상관측소 위치정보, 30m 해상도의 수치표고모델(DEM)을 사용하였다. 공간분석은 산불과 산사태의 1-2등급의 위험지에 대한 추출 및 중첩 분석, 산림청 국유지 내에 100m 버퍼를 준 임도와 등산로의 접근성 분석, 기상관측소의 2.5km 버퍼를 준 중복성 분석, 산악기상관측 입지 환경 조성을 위한 고도 200m 이상의 지형특성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중첩분석을 수행하였다. 공간분석 결과, 총 159개의 중첩 폴리곤이 추출되었고 구글어스 등을 활용하여 능선과 정상부에 총 64개의 적정위치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후보지는 기상관측환경, 접근성, 통신 및 전력공급 환경, 기상관측소의 중복성에 대한 정량적인 현장 평가를 통해서 총점이 70점 이상인 지점을 '적합'으로 판정하여 고득점 순으로 산악기상관측망의 적정위치 26개소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적정위치 선정 기법에 의해 구축된 산악기상관측망의 기상정보는 향후 산불, 산사태 등과 같은 산림재해위험 예측력의 향상과 산림 복잡 지형에 대한 미기상 연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유휴농경지의 습지 복원 적지선정에 관한 연구 - 군포시 반월천 유역 사례로 - (Wetland Restoration Site Selection for Promoting Biodiversity in Abandoned Rice Paddy Fields - Focusing on Gounpo Ban-wol Stream Watershed -)

  • 임유라;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66
    • /
    • 2009
  • The increase of rice productivity, the decrease of rice demand, aging farmers, and the market-opening of rice along wi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changes have been led to the increase of the abandoned rice paddy fields. Such abandoned rice paddy fields have been left in many areas and most of them have become wetl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thodology of selection to the wetland for development in the abandoned rice paddy fields along with surroundings. The selec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assessment study to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was done through hydrology, wild animals habitation, wetland vegetation, outside disturbance, and natural purification capacity assessment. In addition, the same method was applied to assessment items and standards for both the restoration site selection and the type of restoration. Both assessment items and standards were applied to the sites, drawn on the maps, and overlayer for the comprehensive map, and then the wetland suitability index was applied to the suitable site. The development technique was applied to 10 sites near the Banwol Stream watershed in Gunpo, Gyeonggi province. The selection of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the optimal sites can lead to not only the biodiveristy increase in agricultural or semi natural areas but also to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networks in nat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