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Shopping Mall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의 온라인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몰 특성에 대한 연구: 정보과부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hopping Mall Influencing the Online Consump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 Empirical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on Overload)

  • 송경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137-148
    • /
    • 2020
  • 디지털 시대에 많아진 정보에 따른 소비자 선택의 다양성은 긍정적이지만 여러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쇼핑몰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온라인소비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보과부하가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 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쇼핑몰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로 쇼핑몰의 인지도, 쇼핑몰의 품질, 쇼핑몰의 구성, 그리고 구매 추천서비스 등을 설정하여, 정보과부하가 나타날 때 이러한 변수들이 온라인소비자의 행동에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쇼핑몰의 특성 요인들은 모두 온라인소비자의 행동에 일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정보과부하도 쇼핑몰의 인지도와 쇼핑몰의 품질 및 구조, 구매 추천 서비스 구비 등의 요인에 대해 모두 일정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쇼핑몰의 특성 요인들은 정보과부하 상황에서도 온라인소비자의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특성이 감성적 반응과 지각된 가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revisit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2))

  • 심태용;윤성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74-383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술수용모델(TAM2)를 통해 알아보고,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 기준에 따라 쇼핑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쇼핑몰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1일부터 2019년 1월 31일까지 총 711부의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첫째,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은 모두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감성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시스템 품질, 제품품질 변인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 중, 사회적 실재감은 감성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감성적 반응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제품의 실용재 집단과 쾌락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집단 별로 경로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고, 쇼핑몰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감성적인 부분까지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의 의인화 전략 -사회적 실재감을 중심으로- (Personification of On-line Shopping Mall -Focusing on the Social Presence-)

  • 박주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2호
    • /
    • pp.143-172
    • /
    • 2012
  •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 상거래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나 많은 전문가들은 아직도 그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이유로 온라인 쇼핑환경이 지니는 인간적 사회적 요소의 부재를 들고 있다. 온라인 쇼핑은 전통적인 면대면 상거래에 비해 보다 비인적이며 익명성이 강해 인간적인 온정과 사회성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상거래에 비해 온라인 쇼핑이 가지는 태생적 한계인 면대면 사회적 상호작용을 대신할 수 있는 개념으로 사회적 실재감을 도입하여 사회적 실재감의 선 후행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주제와 관련 있는 마케팅, 심리학, 커뮤니케이션 연구분야의 연구결과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설문의 응답자들은 최소 5회 이상 인터넷 구매를 경험한 소비자들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실재감에 대한 지각은 인터넷 쇼핑몰과의 잦은 접촉이 있어야만 생길 수 있는 지각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쇼핑몰의 맞춤화 노력은 지각된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쇼핑몰의 반응성 역시 지각된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쇼핑몰은 고객의 요구에 다양한 방법으로 신속하고 성실하게 반응함으로써 사회적 실재감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지각된 게시판 활동성은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몰 운영자는 자사 게시판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여 소비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사회적 실재감은 쇼핑몰 신뢰와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몰 신뢰와 즐거움은 쇼핑몰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온라인 쇼핑에 관한 연구의 중심이 되고 있는 쇼핑몰 충성도와 신뢰 형성에 사회적 실재감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쇼핑몰 신뢰와 충성도를 위한 새로운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키덜트 전문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과 온라인 서비스 품질이 신뢰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bsite Characteristics and Online Service Quality of Kidult Online Shopping Mall on The Reliabi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 이상원;김홍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4호
    • /
    • pp.161-178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 쇼핑몰 사이트가 갖추어야 할 특성 요인과 온라인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 요인이 키덜트 전문 쇼핑몰의 신뢰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키덜트 전문 쇼핑몰이 성장하기 위한 주요 대고객 서비스 및 운영 관리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 쇼핑몰로서 갖추어야 할 쇼핑몰 사이트의 특성 요인으로 전문성, 다양성, 유희성, 개인화 요인과 함께 Parasuraman et al.(2005)이 제시한 E-S-QUAL 및 E-Rec-S-QUAL 요인을 독립 변인으로 하고, 사이트 신뢰를 매개 변인으로, 재구매 의도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국내 키덜트 전문 쇼핑몰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덜트 사이트 특성 요인에서 전문성과 개인화, 서비스 품질 요인이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덜트 사이트 특성 요인에서 유희성과 개인화, 서비스 품질 요인이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는 예측 변인(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전문 쇼핑몰이 기본적으로 온라인 서비스 품질을 갖추되, 서비스의 전문성을 강화한 사이트를 통해 개인화를 이룬다면, 사이트에 대한 신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속적인 관계 구축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주요 대고객 서비스 및 운영 관리 전략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Social Shopping 사이트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Online Social Shopping Site)

  • 강유리;박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0
    • /
    • 2011
  • The market structure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changing dynamically according to internet shopping industry developing based on Web 2.0. But, there is absent typical online service after 'Cyworld.' The social shopping sites based on social networking reflect to present phenomenon that collective intellect, information sharing, participate in making information. The social shopping sites are not limited in particular shopping sites but include all of sites in online. So, consumers can copy various products and display on their own blog provided from social shopping sites and make some purchase reviews and any comments about products can lead transactions among social shopping sites. So, it might be a one of meta-shopping mall like 'Naver.' As the social shopping sites are new form, we just applied to TAM theory to figure out acceptance factors using SEM. The perceived enjoyment affect to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ing intensi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lso affect to usefulness and the usefulness affect to using intension positively. But the perceived ease of use was for nothing in using intension. Finally, we provided managerial implications to activate domestic online shopping industry and theoritical meaning using extended TAM.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가상모델 특성이 소비자의 쇼핑경험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rtual Mode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Clothing Shopping Mall on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 and Loyalty)

  • 서용한;오희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7
    • /
    • 2006
  • Motivations to engage in internet shopping as well as traditional off-line shopping include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dimensions. It is important that online fashion retailers offer the sense of the real shopping experience that offline fashion retailers do. This article is to assess empirically virtual model impact on consumer's online shopping experience. To test hypothesis, an experiment was executed a field study on foreign internet shopping(www.landsend.com). Prior to administering the experiment, a pilot test was conduct among 20 undergraduate students to pre-test for computer system trouble and delay probl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90 studetns.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answer all the questons based on their experience when using that particular internet shopping mall. The LISREL 8.5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virtual model characteristics such as vividness, customization, and interactivity are important factors in affecting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 Online shopping experience have a strong positive effect on shopping mall loyalty.

디지털세대 남성의 인터넷 쇼핑행동에 관한 연구 (Intention to Return to Online Shopping Malls by Men of Digital Generation)

  • 성희원;전양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618-1625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dimensions of fashion lifestyles of men of digital generation and online shopping mall service attributes, and 2) to find factors affecting gener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urchase at online shopping malls. Data were obtained from 632 men aged between 15 and 39 who were using the internet. Fashion lifestyles produced five factors, fashion leadership, shopping enjoyment, brand pursuit, personality pursuit, and practicality pursuit. Internet service attributes included three factors, check-out service, after delivery service, and product presentation servic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general satisfaction were after delivery service, check-out service, product presentation service, and purchase experience in order. For intention to buy, after delivery service, check-out service, product presentation service, purchase experience, practicality, and household income level in order were significant. Finally, general satisfaction of purchase was a useful determinant of intention to buy. Implications were given for improving internet shopping mall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online fashion mall marketers.

인터넷 쇼핑몰 품절 경험 후 인지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Response on Behavioral Response of Consumers to Sold Out Products On-line Shopping Malls)

  • 김주현;이진화
    • 복식
    • /
    • 제66권4호
    • /
    • pp.32-4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gnitive responses and the corresponding behavior responses of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s in not being able to buy a product in an online shopping mall due to it being sold-out. Responses were gathered from 526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to 40 years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Each person surveyed had experienced a situation in which a product that they wanted to purchase from an online shopping mall was sold-out. SPSS 18.0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rst set of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positive responses of quality, discernment, scarcity, but also negative cognitive responses of careless management, manipulation of shopping mall management, and common taste. In negative cognitive responses, sold-out situations caused consumers inconvenience. The second set of results revealed that quality, discernment, and careless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replacement (Substitute, S); likewise, factors such as quality, discernment, careless management, manipulation by shopping mall designers, and common tas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lay of purchasing decisions (Delay, D). Scarcity, careless management, manipulation by shopping mall designers, and common taste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complete leaving of stores (Incomplete Leave, L1), while discernment, scarcity, careless management, manipulation by shopping mall designers, and common tast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plete leaving of stores (Complete Leave, L2).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behavioral response topics of substitute, delay, and leave.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at product sellouts at online shopping malls did not have a solely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It actually had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discernment, scarcity, and the perception of quality of sold-out products. Furthermo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gnitive responses had various effects on behavioral responses.

패션소비자의 판매촉진 흥미도에 따른 e-충성도예측요인 (Predicting Variables of E-loyalty for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E-promotion Interests)

  • 박은주;최주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2-309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ether the e-promotion interest was an influencing variable on promotion-acceptance attitudes, brows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e-loyalty, an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for e-loyalty of shopping mall according to e-promotion interest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Data were obtained from 555 adult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online shopping. Data were analyzed using b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t-test and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ith high e-promotion interests were more likely to accept e-promotions affectively and behaviorally, to have hedonic and utilitarian browsing, to satisfy the online shopping, and to make e-loyalty compared to them with low e-promotion interests. For high interested group in e-promotion, the more cognitive and affective attitudes toward promotion acceptance they were the greater e-loyalty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Additionally, the more hedonic browsing and satisfy the online shopping they were the greater e-loyalty of shopping mall at Internet. However, for low interested group in e-promotion interests, the more utilitarian browsing and satisfy the online shopping they were the greater e-loyalty of online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It implies that consumer' e-promotion interest was an influencing variable on promotion-acceptance attitudes, brows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e-loyalty in online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Consumer satisfa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making e-loyalty of fashion shopping malls.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insights for developing the strategies of encouraging to make the loyalty of shopping mall in the context of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t Internet.

온라인쇼핑몰에서 상품착장사진 배경에 대한 감성반응이 쇼핑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ibility Responses on Backgrounds of Product Photos on Consumer Attitude of Online Shopping Malls)

  • 전민정;여은아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2호
    • /
    • pp.29-41
    • /
    • 2014
  • As the online shopping mall market faces severe competition, marketers have focused on visual factors that generate positive consumer responses in order to induce more consumers. Although product photos are crucial in the communication of product information as well as in the development of positive images of online shopping mall, there was little intention the effect of diverse types of product photo.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backgrounds (i.e., no background, indoor background, street background) are compared in order to explore whether consumer sensibility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photo backgrounds. Moreover, it investigates the effect of sensibility toward photo backgrounds on consumer attitude. A total of 222 consum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As a result, six sensibility factors were generated from online model photos, including structure, upscale, uniqueness, interest, simpleness, and easiness factors. Among these factors, simpleness and structure showed the highest means; simpleness was the factor indicat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hoto backgrounds. Sensibility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ward online shopping malls were uniqueness in the case of no background, interest in the case of indoor background, and upscale in the case of street background ph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