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Learning Content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8초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서의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Learners' Class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 한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73-178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진행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C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 말에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18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진행한 결과, 학습자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으며, 온라인 수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수업내용이며, 그 다음으로 수업 운영, 플랫폼 순이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가 만족하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수업내용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수업내용을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수자는 체계적이고 충실한 수업 설계를 통해 학습자가 수업에 사용되는 플랫폼에 익숙해져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여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해, 학습자의 요구와 어려움을 파악하여 학습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 개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한정된 변수만을 측정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Perception of University Instructors for Designing Online Interactions: Findings from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LIM, Ji Young;KIM, Seyoung;CHO, Mi Kyung;LIM, Eugen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2권2호
    • /
    • pp.199-225
    • /
    • 2021
  •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suggest priorities needed to be considered by university instructors when designing online learning. Based on three types of interactions (learner-content, learner-instructor,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s)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Moore, 1989), draft questionnaires representing each type of interaction were written. After examining content validity by two Ph.D. experts, the survey was constructed with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form. Data of 133 university instructors were collected online. Results showed that support for designing learner-learner interaction was the priority for improving online learning. In terms of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instructors needed to provide social-emotional support to learners so that learners could have a sense of belonging. For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supporting instructors to monitor the level of understanding was the most highly demanding strategy for online learning.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온라인 학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검색 및 평가방법 (How to Search and Evaluate Video Content for Online Learning)

  • 용성중;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38-244
    • /
    • 2020
  • 스마트 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스마트폰을 전 국민이 사용하는 상황으로 봐도 무방할 정도로 빠른 발전과 보급이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 사용으로 국내 미디어 콘텐츠 이용을 위한 필수 매체로 자리 잡아 성별, 연령, 지역 등에 상관없이 수많은 사람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온라인에서 학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학습자들이 온라인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에 활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콘텐츠 유형에 따른 만족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학습 콘텐츠 자체를 평가하여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아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식 동향과 양질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학습 콘텐츠 자체의 평가와 리뷰를 통해 시스템을 제안하려고 한다.

비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블렌디드 러닝 적용이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line Blended Learning Application o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on-Face-to-Face Classes)

  • 박주영;김훈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3-61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blended learning(asynchronous online learning class 1+synchronous online learning class 2) method and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online blended learning.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differences in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and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es, and discuss the strengths, weaknesses, and satisfactions of online blended learning.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of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ho took the 'child development' course.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class was applied for 1-6 weeks and online blended learning was applied for 9~14 weeks. The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 consisted of 1 hours synchronous online learning and 2 hours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For the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e screen recording program of OBS Studio was used, and for the 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e Zoom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lecture were compar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of online blended learning.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A class: t=-4.19, p=.001, B class: t=-7.94, p=.00) with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Second, when applying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 academic achievement(t=-10.58, p=.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ird, the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improving the interest in the subject, and it was found to be helpful in online class manage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content understanding. Conclusion : We have found that online blended learning ca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online lectur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the lectures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application of online blended learning should be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I hope that blended online teaching methods can be developed based on new ideas in the future.

Prospects of Dual Form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Realitie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ost-pandemicPeriod

  • Bratitsel, Maryna;Kravchuk, Olena;Tishko, Liliya;Osiievskyi, Valerii;Bellie, Victor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483-490
    • /
    • 2021
  • The COVID-19 pandemic has posed significant community challenges towards higher education around the world. The urgent and unexpected request for full-time university courses to switch over to online teaching was a particular challenge. Online learning and learning imply a certain pedagogical knowledge content (PKC), mainly related to the design and organization for better learning and the creation of unique learning environments using digital technologies. With the help of the present academic paper, we provide some expert opinion on the PKC connected with online learning with the aim of helping non-university professionals (that is, those with lack of online learning experience) navigate these challenging times. Our findings point to the planning of learning activities with certain features, a combination of three types of presence (social, cognitive and facilitative) and the need to adapt the assessment system to new learning requirements. We will conclude by contemplating on how responding to a crisis can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in the post-digital era.

온라인 수업에서 치기공과 학생의 학습동기 및 학습동기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affect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demotivation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in online classes)

  • 이선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97-10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motivation and demotivation in online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30, 2021, on 188 dental technolog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IBM SPSS IBM SPSS Statistics ver. 22.0 statistical program (IBM), and frequency, factor, and one-way ANOVA analyses were performed, for which the significance was set at 0.05.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ain online learning motivation factors were the usefulness of the learning content,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 activities, the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and friends, the feedback,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factors that reduced the students' online learning motivation were interaction difficulties, maladaptation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the inadequate number of learning activities, and activity difficulty. Conclusion: Based on the identified online class motivation and demotivation factors, better systematic management and increased research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우수 온라인 강의콘텐츠에 대한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별 인식 (Perceptions of Distance University Learners' Satisfaction on Online Lecture Content by Age Group)

  • 정혜령;우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29-43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의 온라인 강의콘텐츠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만족 요소 및 불만족 요소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들은 우수한 온라인 강의콘텐츠 요소로 지적 자극을 제공하는 내용, 이해하기 쉬운 교수자의 설명, 열정적이고 학생을 존중하는 교수자의 태도, 길지 않은 강의시간을 전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령대별 차이를 보였는데 20, 30대는 실무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강의내용, 시청각에 민감한 화면구성, 최근 강의 영상인지에 대한 여부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반면, 40대 이상은 교수자의 열정과 태도, 이해를 돕는 교수자의 설명을 우수한 온라인 강의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강의콘텐츠가 우수하다는 인식이 학습자의 연령대로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최근 코로나19로 확대되고 있는 온라인 강의콘텐츠 제작시 학습자의 연령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효과적 이러닝 실습전략을 위한 온라인 시뮬레이션 구현방법 및 학습활동 분류 (Classification of Online Simulation Content for Effective Engineering E-Learning Courses)

  • 황석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77-83
    • /
    • 2010
  • 공학교육에서의 이러닝 실습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온라인 시뮬레이션이 포함된 콘텐츠의 내용 구성방법과 완료된 콘텐츠의 활용방법이다. 공학분야에서 실습을 온라인으로 구현하려는 교수자는 실습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온라인 실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다양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실습을 지도하는 교수자도 온라인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담보하는 교수학습활동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즉, 공학교육의 모든 교수자는 이러닝 콘텐츠에서 온라인 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어떠한 교수학습 활동 및 전략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실습의 개발 유형을 구분하며 이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활동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교수학습활동을 교육 이론과 비교, 검토하여 온라인 실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수방법 및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Mobilizing Learning: Using Moodle and Online Tools via Smartphones

  • Al-Kindi, Salim Said;Al-Suqri, Mohammed Nasser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67-86
    • /
    • 2017
  • The emergence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e.g., iPhone) and tablets (e.g., iPad) may enhance e-learning by increas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These devices also facilitate the use of online technologies such as Facebook. However, the adaptation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services to mobile devices took longer than social networks or online tool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have already been long used via smartphone.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students' skill levels of LMS (Moodle) and their knowledge of online tools or technologies and then examine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use and using of online tools and Moodle in learning. The study conducted among 173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Studies (DIS) in Oman, using online survey. The study found that most students demonstrated high levels of accessing course/subject materials and regularly engaging with studies of using LMSs. YouTube, Wikipedia and Facebook were clearly recorded as the most popular sites among students while LinkedIn and Academia.edu were two online tools that had never been heard of by over half of the 142 participants. Emailing and searching are recorded the most popular online learning activities among students. The study concluded that students prefer to use smartphone for accessing these tools rather than using it to access LMSs, whil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use of these tools and smartphone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s and using LMSs.

온라인 공예 학습 플랫폼 UI디자인 개선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I Design for Online Craft Learning Platform)

  • 장희수;남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45-156
    • /
    • 2020
  •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사회 전반적으로 중요해짐에 따라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줄 취미와 여가 활동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온라인으로 취미를 즐기고 배울 수 있는 플랫폼의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공예 관련 콘텐츠가 급성장하고 있는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던 교육이 온라인으로 전환됨에 따라 온라인에서는 학습 몰입도가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온·오프라인 공예 학습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UI 디자인 개선 방향에 관해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 플랫폼과 온라인 공예 학습 플랫폼, UI 디자인에 대한 문헌조사를 했고, 이를 바탕으로 사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해 온라인 공예 학습 플랫폼의 학습 과정 3단계를 도출했다.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적으로 온라인 공예 학습 플랫폼은 콘텐츠 탐색 과정의 차별화, 공예 진행 단계의 시각화, 동영상 도구의 작업 편리성, 원활한 피드백 제공의 측면에서 개선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추가적으로 능동적 학습을 위한 장치가 필요함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온라인 공예 학습 플랫폼 UI 디자인 발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