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Learning

검색결과 1,655건 처리시간 0.029초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Secondary Science Teachers' PCK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Specific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an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 김지수;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472-492
    • /
    • 2022
  •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등과학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설문, 개별 면담, 수업 관찰 자료를 수집하여 PCK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다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그 범주를 정교화하였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본 연구 교사들의 PCK는 요소별로 학습환경 특이성이 다르고 학습환경 특이성에 따라 PCK 요소별 하위요소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 지향으로 '과학 개념 학습' 목표 지향과 '강의식 수업'의 과학 교수-학습 지향이 있었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에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있었으며,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 목표 선정', '교육과정 자료'가 있었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에는 '과학 주제 특이적 전략', '과학 교과 특이적 전략', '상호작용 전략'이 있었다. 코로나 19 이후 오프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에는 '과학 주제 특이적 전략', '상호작용 전략'이 있었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을 위한 선지식', '학습 어려움', '학습 동기 및 흥미', '학습 다양성'이 있었으며, 코로나 19 이후 오프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 어려움'만 있었다. 과학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은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 특이적인 지식과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지식이 있었으며, 각각 '평가 내용'과 '평가 방법'이 있었다.

심층 인터뷰를 통한 대학생들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연구 - 광고홍보 관련 이론 및 실습 수업을 중심으로 (Study o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College Students - Centering Around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Courses)

  • 엄남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57-67
    • /
    • 2021
  •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온라인 수업 만족과 불만족 요인들은 무엇이고, 이론수업과 실습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심층 인터뷰 결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이동시간을 줄이고 장소에 제약 없이 수강 할 수 있는 편의성, 비용 절약, 그리고 코로나 19 전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불만족 또는 단점으로 시스템의 불안정성, 학습자와 교수자와의 상호 인터렉션 부족, 수업 집중력에 방해,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 불가능, 수업의 질적 저하, 시험공정성 유지의 어려움 등을 언급했다. 심층 인터뷰 참여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통한 이론 및 실습 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다고 밝혔으며, 이론수업은 일방향적 강의가 주된 방식으로 온라인 수업에는 적합하지만, 상호 인터렉션과 실시간 피드백이 중요한 실습수업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대학들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대학의 온라인 수업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effect of university's online class support on learning participation through learning presence)

  • 김지효;임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269-27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의 운영 및 시스템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성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수업으로 이루어지는 공통교양과목 중 '대학영어2' 수강생 13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과 경로구조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대학의 운영지원이 학습자의 학습실재감에 정적인 영향을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대학의 운영지원이 학습실재감을 완전매개하여 학습참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환경특성 요인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원, 학습자 특성 요인으로 학습실재감, 학습참여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온라인 학습장면에서 학습참여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교수·학습 설계에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대학생의 수면의 질이 비대면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eep quality on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 고은정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07-1615
    • /
    • 2023
  • purpose: In addition to evaluating the quality of sleep of college students, the effect on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is identified and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emote lectures. Methods: From June 1 to June 24, 2022, a self-entry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enrolled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D University in Daegu. To evaluate the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sleep quality of the study subjects using the l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stress levels and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quality, stress, and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lower the quality of sleep, the higher the stress, resulting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0.001). The higher the quality of sleep, the higher the learning satisfaction, resulting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0.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stress (r=0.591, p<0.01). Conciuss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individual's learning environment and health to relieve stress. Instructors also need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and apply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learners' academic abilities.

L2 Learner's Perspectives of How Personal and Instructional Factors Influence Achievement in Online-incorporated Environment

  • Kim, Jeong-Ye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39-69
    • /
    • 2010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participants in online-incorporated English learning perceive interaction between achievement and factors of learning and personality. Using grounded theory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generate a theoretical model depicting how the factors work with the L2 learners situated in the learning setting. A total of 231 college freshmen participated in online and offline EFL learning programs for the duration of one semester. In addition, all respondent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low- and high-proficiency groups, audio-taped interviews with 20 selected students, 10 from each group, have revealed differences not only in the types of personal and instructional factors, but also, more importantly,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in each group's learning model. These models effectively explain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questionnaire items, such as online learning and contributions of offline class sections to their L2 achievement. These findings entail L2 practitioners' shared understandings of their students' perspectives of learning in the specific L2 learning context.

  • PDF

자기결정이론 기반 온라인 학습 참여도 향상에 관한 연구: 심리적 욕구충족 및 디지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Research on Improving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Focusing on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Digital Interaction)

  • 하금택;왕강;민대환;이한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3-114
    • /
    • 2023
  • In the post-pandemic era, colleges and students keep passion for learning online sine its unique advantages. This study explores how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drawn from self-determination theory, connect to inter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online learning. While prior research explored students' intentions, digital interactions, and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united conceptual model drawing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teraction and their effects on learning engagement. 178 respons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using PLS-SEM. Findings indicate that online learning interaction enhances intrinsic motivation, leading to higher learning engagement. Autonomy emerges as the most influential psychological need on learning engagement. This study integrates self-determination theory with online learning interactions and engagement and offers practical insight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long-term outcomes and diverse student populations.

일반고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온라인 수업 환경 및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class environ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진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1-27
    • /
    • 2022
  • 본 연구목적은 일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온라인 수업 환경, 그리고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세종 B고교 3학년의 219명이며,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과 온라인 수업 환경 및 학습만족도 간에는 중간 이상의 상관관계를 있었다. 둘째로, 측정변인들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도 양호했다. 자기주도 학습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 영향을 주고, 온라인 수업환경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은 없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교사의 훌륭한 수업환경의 조성이 이루어질 때 시너지 효과를 얻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대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개인, 가정 및 학교요소를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분석할 것을 제안했다.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온라인 학습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 홍주영;김현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7-44
    • /
    • 2022
  • 본 연구는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이 온라인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는 2020년 12월부터 2개월간 일개대학 4학년 간호대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온라인 학습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으로는 사회적 실재감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62.9%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과목에서 온라인 토론활동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며 향후 실재감 향상 프로그램 중재 관련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온라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가정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The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 최성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187-209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The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lass using online problem-based learning(PBL)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HE) teachers. The aim was to enable teachers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classroom, and to prepare operational strategies for online PBL on this basis. In order to achieve this, online PBL was applied to 31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The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t the Department of HE in a university in Seoul, and the results were collected from the learning process. This also involved a reflective journal, a survey on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impacts was conducted. Moreover, analysis was undertaken on the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accessed Webex, an online video conferencing program, and performed two PBL tasks: 'Making Home Economics Promotion Materials' and 'Presenting Teaching Strategies to Improve Learner's Immersion in Online Classes'. Secondly, learners established their own identity of HE learned about the HE class plans themselves. They also encountered realistic experience as HE teachers and learne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Furthermore, they acquired creative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mmunity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attitude of consideration and respect. Thirdly, students lacked knowledge of learning content and encountered difficulty in solving data research, analysis processes, and unstructured problems. They were affected by a lack of time and encountered problem in communicating with other team members in an online environment. As an improvement in online class operation, it was considrered necessary to reduce the learning burden by securing time and reducing the number of assignments, as well as to explain active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and PBL.

파이썬을 활용한 온라인 기반 프로젝트의 집중학기제 운영사례 : S 여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Intensive Semester Operation of Online-based Project Learning Using Python : Focusing on S Women's University)

  • 권선아;장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3-14
    • /
    • 2021
  • This study deals with the case of online-based project learning, which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al innovation and enhancing learners' competencies required by society, oper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course was applied Python programming language, team-based project learning, and intensive course system, which is required by our society and compan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it was operated as a non-face-to-face online class, which would have been operated in an offline class if it had not been for Covid 19 pandemic,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educational effects of online learning. To do this, 3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based project learning during 8 weeks, and then conducted a survey.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in terms of i)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ii) team-based project learning, and iii) application of the intensive course system. Results say that most of the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online learning, team-based project learning, and the intensive semester system applied in this course at a high level, and also they clearly presented the reasons. Thereb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learners were already well aware of the pros and cons of each learning metho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