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board Training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상선 위탁실습생의 업무실태 및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ing Status and Onboard Training Satisfaction Level of Merchant Ship's Cadets)

  • 김득봉;이창현;이홍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09-716
    • /
    • 2018
  • 2017년 승선실습 중이던 위탁실습생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 실습생은 1일 12시간씩 작업을 했다고 한다. 실습생에 대한 업무시간과 휴식시간을 규정하는 법령은 아직까지 없다. 이 연구는 상선에서 승선실습을 하는 위탁실습생의 업무실태 파악과 위탁실습생의 처우 개선을 위해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수행했다. 설문은 상선에서 위탁실습을 다녀온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종에 관계없이 1일 평균 10시간씩 업무했다는 의견이 43.0 %를 차지했고, 휴식시간은 평균 8시간이었다는 의견이 35.2 %를 차지했다. 응답자의 15.6 %가 12시간 이상 업무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라면 끓이기, 휴식 중에 작업, 사적인 심부름 등 부당한 지시 사례가 있었다. 둘째, 선종별 교육만족도에 대해 LNG운반선에서 실습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던 반면, 산적화물선과 컨테이너운반선의 교육만족도는 낮았다. 선박의 크기와 선령, 업무시간, 휴식시간, 실습지원비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함을 확인했다. 끝으로, 위탁실습생의 근로자성 판단에 대해 56.8 %가 '근로에 해당된다'고 응답했다. 설문결과를 통해 위탁실습의 열악성과 위탁실습생이 근로와 휴식에 대한 법령의 사각지대에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업무시간과 휴식시간의 법령 마련, 폭력 및 성희롱에 피해방지시스템 구축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이 연구는 위탁실습생의 업무와 휴식에 논문의 초점을 맞춰 선박의 종류와 크기, 선령별로 실습만족도를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해양계대학교 실습해기사들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Toxic Chemicals of Maritime University Cadets)

  • 임명환;신호식;김홍렬;임긍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36
    • /
    • 2013
  • 해양계대학교 실습해기사들은 승선하기 전 필요한 안전교육을 충분히 이수하고 승선해야 되지만 기초안전교육만 이수하고 승선을 하며 승선실습을 마치고 졸업 전까지 남은 학기 중 상급안전 교육과 탱커선 교육을 이수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대학교 실습해기사들은 선박회사 승선실습 과정 중에 위험에 노출되는 많은 작업들을 하게 된다. 이처럼 대부분의 상선들은 ISM관리 하에서 선박회사 및 승선하는 선박에서 각종 점검표에 의해 사전 교육을 행하고 작업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조사 결과 선박회사와 승선하는 선박 및 해양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유해화학 물질의 취급'은 승선 경험이 없는 실습해기사들에게 상당한 위험이 되고 있다. 또한 승선실습 해기사들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에 관한 개인안전과 취급에 관한 사전교육이 없이 승선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실습해기사들이 승선실습 중 유해화학물질 취급 부주의와 무지로 인해 신체적 손상을 입고 하선을 하거나 승선에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승선 실습 전에 해양대학교에서 이 부분의 철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선박회사에서는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안전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화가 체계적으로 갖추어져야하며, 각 선박에 맞는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을 위한 온라인 켄텐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선박회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안전점검일지를 만들어 관리감독하고, 선박에서는 이에 관한 교육을 이수한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안전교육과 관리를 하여야 할 것을 제안한다.

해사고 2+1 교육 승선실습 제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ystem of Onboard Training, Two plus One Education of The Maritime High School)

  • 김동근;임상우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1-89
    • /
    • 2008
  • 국토해양부의 정책 개발의 일환으로 해사고 졸업생의 승선율을 놀이기 위하여 해사고 2+1 승선실습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제도는 학교에서 2년간 좌학을 하고 1년간은 연수원 실습선에서 승선 실습을 수료한 자에 대하여 해기사 면허시험의 필기 시험을 면제해 주고 면접시험으로만 해기사 면허를 취득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갈수록 승선생활을 기피하는 해사고 졸업생들에 대해 좀 더 장기간 승선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이 제도 시행 4년이 지난 시점에서 학생들의 승선 실습에 대한 문제점을 설문으로 조사하여 앞으로 좀 더 내실 있는 실습으로 실습생들의 장기 승선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termination of Optimal Route Based on AIS and Planned Route Information

  • Tamaru, Hitoi;Hagiwara, Hideki;Ohtsu, Kohei;Shoji, Ruri;Takahashi, Hironao;Nakaba, Akira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167-176
    • /
    • 2004
  • The authors have newly developed the “Port Traffic Management System (PTMS)”. The PTMS provides each ship with the detailed planned routes of all the ships entering/leaving the port. This system also has a function to predict the encounter situations between own ship and other ships in the future. Based 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positions, speeds and planned routes of the own ship and other ships,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n and where the own ship will have dangerous encounters with other ships in the future. The software of PTMS was developed from 2001. Then onboard experiments using small training ships equipped with actual AIS were performed in June 2003. From the results of these onboard experiments, the usefulness of PTMS was clarified. In addition to these onboard experiments, the effectiveness of PTMS was confirmed by comprehensive simulator experiments. In the simulator experiments, captains/pilot maneuvered a training ship/container ship in congested waters using PTMS. [t was assumed that all ships have PTMS and send their planned routes. After the simulator experiments, captains/pilot suggested that it is very beneficial if the optimal route of own ship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In response to this suggestion, software to calculate the optimal route of own ship using Dynamic Programming was developed. This software calculates the minimum time route from the present position to the destination keeping the danger of collision against other ships under predetermined level. From the result of calculations for multi-encounter situ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software can provide safe and time-saving route.

  • PDF

밀폐공간진입을 위한 가상현실(VR) 훈련의 효과 (Effect of Virtual Reality Training for the Enclosed Space Entry)

  • 채종주;이진우;정진기;안영중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2-237
    • /
    • 2018
  • 국제해양사고조사포럼(MAIIF)의 조사에 따르면 1998~2009까지 밀폐공간진입 시 발생한 101건의 사고에서 93명의 사망자와 96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MO)는 밀폐공간진입을 위한 지침과 SOLAS 1974 협약 제3장 규칙 19를 개정하여 주기적으로 선박에서 밀폐공간진입 훈련을 시행하도록 강제화 하였다. 밀폐공간진입 훈련은 실제적이고 진입 시의 위험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실시되어야 하며, 훈련 중 훈련참가자나 교육생들의 안전도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교육 및 훈련효과의 향상을 위해 가상현실(VR) 교육 컨텐츠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장소의 제한 없이 실제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R을 이용한 밀폐공간진입 훈련이 강의형 교육훈련과 비교하여 어떤 효과와 특징 및 차별성이 있는지 훈련참가자들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평가 및 설문분석을 통해 VR을 이용한 밀폐공간진입 훈련 참가자들의 학습요소에 대한 숙지도가 강의형 교육훈련 참가자들보다 우수하였고, 교육방식에 대한 참가자들의 주관적 선호도도 VR을 이용한 훈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VR을 이용한 훈련의 학습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VR을 이용한 선상훈련은 동영상 및 시뮬레이터와 같이 효과적인 교육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ight Person for the Right Job: a Study on the Need for Enhancing Collaboration between Shipping Companies & Maritime Academies

  • Davy, James G.;Noh, Chang-Ky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1-298
    • /
    • 2012
  • Working onboard large ocean-going vessels is one of many industries that is by its very nature extremely error-provoking. In industries such as aviation, nuclear power, healthcare and transport, the need for mental preparedness and professionalism are amongst the qualities essential for the management of complex hazardous systems. Recruiting, training, and more importantly retaining the right people to work in these industries is of paramount importance if safety is to be continuously improved and economic benefits realized. Through consideration of extant empirical literature this paper will explore the need for enhancing collaboration between shipping companies and maritime training insitutes in order to provide the industry with those most capable for the job. It will be concluded that by providing a strong maritime foundation from the outset of training, maritime academies in South Korea can provide shipping companies with a wealth of highly qualified, motivated officers who will contribute to safety and remain valuable assets within the industry for years to come.

The Right Person for the Right Job: a Study on the Need for Enhancing Collaboration between Shipping Companies & Maritime Academies

  • Davy, James G.;Noh, Chang-Kyu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37
    • /
    • 2012
  • Working onboard large ocean-going vessels is one of many industries that is by its very nature extremely errorprovoking. In industries such as aviation, nuclear power, healthcare and transport, the need for mental preparedness and professionalism are amongst the qualities essential for the management of complex hazardous systems. Recruiting, training, and more importantly retaining the right people to work in these industries is of paramount importance if safety is to be continuously improved and economic benefits realized. Through consideration of extant empirical literature this paper will explore the need for enhancing collaboration between shipping companies and maritime training institutes in order to provide the industry with those most capable for the job. It will be concluded that by providing a strong maritime foundation from the outset of training, maritime academies in South Korea can provide shipping companies with a wealth of highly qualified, motivated officers who will contribute to safety and remain valuable assets within the industry for years to come.

  • PDF

선원법상 상급안전 재교육 이수자의 기초안전 재교육 면제 규정의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ndment of regulation of Korean Seamen's Act to exempt the seafarers who have completed advanced safety refresher training from basic safety refresher training)

  • 한세현;조장원;이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925-935
    • /
    • 2016
  • It is provided that seafarers qualified in accordance with STCW(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convention and code in safety training shall be required, every five years, to provide evidence of having maintained the required standard of competence, to undertake the tasks, duties and responsibilities listed in Chapter VI, section A-VI/1 of the STCW Code A. Every party to the STCW Convention has amended the relevant national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above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code. These amended Seaman's Act require the updating safety training which is only five years valid for existing seafarers serving onboard ship on international voyage. And above specified existing seafarers must, as of the 1st January 2017, have documentary evidence of either having completed the training course or updated their training within the last 5 years. In relation to the above international trend, the Korea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so has completed an amendment to its Seaman's Act. But, the Korean Seaman's Act has a supplementary provision to exempt the seafarers who have completed STCW advanced safety training from basic safety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roblems of above mentioned exemption provisions and to make better policies for improvement.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 the research team has conducted an in-depth survey of various foreign cases on STCW safety training. Moreover, the team has suggested an improvement scheme in consonance with Korean shipping industry and society through out this report.

부선 승선 선두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제언 (Method for Improving the Safety of the Bargemen)

  • 양진영;김주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46-954
    • /
    • 2022
  • 부선의 50퍼센트 이상은 선박검사를 '무인부선'으로 받고 있다. 무인부선의 두드러진 이점은 유인부선에 비해 약 25퍼센트의 건현에 해당되는 화물을 더 적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무인부선에도 항해 중에 선석 접안과 이안, 투묘와 양묘, 항해등화의 점등과 소등 등과 같은 업무를 담당할 선원이 필요하다. 피상적인 인식은 예인선이 부선 운항에 대한 책임을 진다는 것이지만, 부선 운항자가 예선을 용선하는 경우처럼 다른 사례들도 다수 있다. 특정 계약관계에서는 예선이 부선의 운송인에 불과할지라도 예선 선장은 그 운송계약(항해)을 완성하여야 하는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상당수의 예선 선장은 부선 제원과 선두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선장의 권한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며 관련 법령을 의도하지 않게 위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책적 접근을 통해 무인부선을 유인부선화하고, 승무정원증서를 발급받도록 하며, 부선과 선두의 정보를 예선 선장에게 제공하는 등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제안을 통하여 선두의 권리를 개선하고, 법령(최대승선인원) 위반 부담을 해소하며, 예선 선장의 권한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