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Electric Vehicle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동력분산형 고속열차의 승차감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de Quality Enhancement of the High-speed Electric Multiple Unit)

  • 전창성;김상수;김석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561-567
    • /
    • 2018
  • 본 연구는 동력분산형 고속열차의 승차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동력분산형 고속열차 시제차량의 동역학 해석을 통해 300km/h이상의 임계속도를 갖는 등가 답면구배의 범위는 0.05에서 0.25사이임을 확인하였다. 초기에 적용된 차륜 프로파일 S1002는 4만km이상의 누적주행거리에도 불구하고 등가 답면구배는 0.033 정도였고, 안정적인 운행을 위해서는 등가 답면구배가 0.061이 넘는 XP55가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동력분산형 고속열차의 승차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요댐퍼의 설치 각도를 $7.35^{\circ}$에서 $0^{\circ}$로 변경하고, 민감도 분석과 최적화를 통해 도출된 공기스프링 횡 및 상하방향 강성 30% 감소, 2차 수직댐퍼 및 횡댐퍼 댐핑계수를 50%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적용하면 차체 가속도를 평균 20%정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도출된 승차감 개선 방법의 일부인 요댐퍼 설치각도를 $0^{\circ}$로 변경하고 횡댐퍼의 댐핑계수를 30% 증가시킨 후 경부고속선에서 300km/h 속도로 시운전을 진행하였을 때, 차체 횡가속도는 평균 34.3% 개선되었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추가적인 개선 방안은 향후 시운전 시험 시에 적용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승차감 개선 프로세스는 향후 동력분산형 고속열차의 상업 운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승차감 관련 문제 해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용 소성로의 열화학적 해석 (Thermo-Chemical Analysis of a Calcination Furnace to Produce Cathode Material for the Secondary Batteries)

  • 황민영;김용균;전충환;송주헌;김용태;장윤한
    • 전기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1
    • /
    • 2009
  • 리튬 2차전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의 에너지 저장매체로써 적용으로 인해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양극 활물질은 리튬2차전지의 성능, 수명, 용량을 결정하는 물질이며, 급증하는 시장의 수요에 따라 양극 활물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 실제 양극 활물질($LiCoO_2$) 생산라인에서 가동 중인 소성로를 3D 모델링하였고, 수치적 해석을 통해 소성로 내부의 온도와 유동의 방향, 화학적 거동을 밝혀내었다. 결과로써, 생산량 증가로 인해 소성로에서 생성되는 $CO_2$ 농도가 증가하며 정체되는 지점을 확인하였고, TGA-DSC 실험을 통해 $CO_2$가 몰분율 15%이상에선 $LiCoO_2$의 적절한 형성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성로의 형상변화와 공정조건의 변화를 통해 문제되는 $CO_2$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급곡선 분기기에서 발생한 전동열차 탈선사고의 원인분석 (Cause analysis of the electric train derailment occurred in turnout on a sharp curves.)

  • 이승원;우관제;정찬묵
    •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411-416
    • /
    • 2018
  • 급 곡선상에 분기기를 부설하여 운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열차안전에 바람직하지 않으나, 직선을 확보할 만큼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산악지역이나 차량기지에서는 제한적으로 선로 곡선 부에 분기기를 설치하는 때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 곡선상 분기기에서 실제로 발생한 열차탈선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고가 발생한 위치에서 측정한 선로 데이터와 사고 차량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탈선해석을 수행하였다. 탈선해석결과 곡선 선로의 분기기 시작점에서 탈선계수 값이 최대가 되며 그 크기도 1.37로써 탈선을 유발할 정도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 탈선사고가 발생한 현장조사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인버터 구동 유도전동기에서 과도전압의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ransient Voltage for an Inverter-fed Induction Motor)

  • 길경석;류길수;박대원;조영진;천상규;최수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50-654
    • /
    • 2007
  • 유도전동기는 전기차량의 주요 동력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에 펄스변조 방식을 이용한 인버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전동기의 인버터 구동시 발생하는 과도전압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원 케이블의 길이에 따른 과도전압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시간변화율과 운전주파수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과도전압의 최대값이 증가하였으며 50m 케이블에서 과도전압의 크기는 최대 3.3PU까지 측정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진행파의 반사와 투과에 의해 발생하며, 유도전동기의 인버터 구동시 케이블의 길이에 따른 과도전압의 영향을 고려하여 유도전동기의 절연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비 정현파 역기전압을 가지는 EV용 IPMSM의 전향보상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edforward Compensation Method of IPMSM for EV with Non-sinusoidal BEMF)

  • 박귀열;박정우;안원일;신덕용;정문선;문채주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73-578
    • /
    • 2013
  • In the case of the Back EMF voltage contains the harmonics, the motor torque ripple and vibration is occurred by the current pulsation, because IPMSM control algorithm is the model which is assumed that it contains a sinusoidal Back EMF voltage. To improve ride quality, in the case of IPMSM for EV, improving the torque control characteristics is necessar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harmonics. In this paper, the investigation to decrease the current distortion factor has been performed for improving torque control characteristics by applying the non-sinusoidal Back EMF to IPMSM model.

소방차량 정밀점검 분석에 따른 차종별 결함 발생에 관한 연구 (On the Occurrence of Defects by Vehicle Type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Vehicle Detailed Inspection)

  • 이장원;한용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2-119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선 소방관서에 사용되고 있는 소방용 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 화학차 및 펌프차의 최근 6년간의 정밀점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종별로 시·도별 실시현황, 결함 발생률 및 연도별 결함 발생 사항 등을 파악하여 소방차량의 기술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소방용의 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 펌프차 및 화학차의 최근 6년간 정밀점검 기준에 따라 실시한 정밀점검 데이터를 통하여 차종별, 시·도별 실시현황 및 결함발생률, 연도별 결함사항을 분석하여 사용 연수에 따른 결함 발생 등의 현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230대 이상의 정밀점검 차량을 신청한 2012년에서 2017년도까지 시·도별 결과, 약간의 변동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노후 소방차량 교체사업과 소방차량 제조업체의 대응 등으로 결함 발생 건수가 점차 감소 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소방고가사다리차의 경우 결함발생율은 승강기장치, 전기장치, 사다리장치, 공압공급 장치의 순서로 결함의 발생률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소방굴절사다리차의 경우 굴절사다리, 유압실린더, 유압오일, 공압공급 장치의 순서로 결함의 발생률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방화학차의 경우는 분말소화장치, 소방펌프, 진공펌프, 공압공급 장치의 부분에서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방펌프차의 경우는 물탱크, 소방펌프, 진공펌프 및 공압공급 장치의 부분에서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심지 유형별 공동구 설치 타당성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assessment system for utility tunnel by urban patterns)

  • 이성원;심영종;나귀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27
    • /
    • 2017
  • 서울시 등의 국내 주요 도심은 지역적 팽창에 따라 도로망 체계가 급격하게 발전하였고 도시민이 안락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전력, 통신, 상수도, 하수도, 냉 난방관로, 가스관 등이 무분별하게 개별 매설되었으며 비효율적으로 개별 관리되고 있다. 국토계획법에서는 Life-Line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로의 반복 굴착을 줄이고 도시 미관의 개선, 포장 내구성 향상에 따른 주행성능 향상 그리고 원활한 교통소통 등을 기대하는 도시계획 시설물로 공동구를 정의하고 있다. 최근 기존 도심지의 재정비 측면에서 쾌적한 도시공간 조성, 지하공간 이용 효율과 도로관리 효율 향상, 지진 및 도로함몰에 대한 재난안전성, 스마트 그리드와 전기자동차 보급과 같은 미래 생활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기존 도심지의 공동구 설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 설치된 모든 공동구는 신도시 개발에 따라 계획된 Life-Line을 모두 수용하도록 설치한 개착식 공동구 형태이다. 기존 도심지에서는 현재 가동중인 모든 Life-line을 모두 수용할 수 없으므로 도심지 유형별 공동구 설치 타당성 평가시스템을 활용한 설계용량 최적화 등의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도시 공동구를 탈피하고 기존 도심지를 대상으로 평가지표에 의한 정량적 평가모델을 제시 하는 등 유형별 타당성 평가시스템을 세분화하며 정량적 평가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궁극적으로 도심지 공동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PSTN/전용선을 이용한 ATM통신방식의 RF IC전자 지불프로토콜과 모니터링시스템 설계연구 (A Study of design ATM communication RF IC electric reserve protoc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PSTN / leased line)

  • 김휘영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369-382
    • /
    • 2002
  • 교통정체의 증가로 의하여 지불수단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전자화폐 지불에 대한 수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교통시스템은 정보처리, 통신, 제어, 전자 등 다양한 첨단기술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기술들을 교통관련에 접목함으로서 더욱 안전한 인명구조 및 시간과 경비절감을 더욱 효율적으로 추구할 수가 있다. 특히, 운전자의 차량소통을 위해 접촉식으로 제공하는 시스템과 이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어에 관련된 전자화폐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전자지불 개념을 ATM방식으로 도입하여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 동전투입방식을 재구성하여 전체 통합하여 새로운 ITS개발에 사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기존방식보다 차량대기속도 및 평균주행속도가 15%에서 40% 가량 개선됨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특히 이런 개념은 국내ITS 개발의 특수상황에 적용하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유/무기하이브리드 코팅액에 의한 Al6061-T6의 내식 특성 (Corrosion Resistance of Al6061-T6 by Organic/Inorganic Hybrid Coating Solution)

  • 박미향;신기항;최병철;안병현;이금화;남기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4_2호
    • /
    • pp.591-598
    • /
    • 2023
  • In this study, the corrosion resistance by salt spray was evaluated using A6061-T6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case coated with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ution. The lowest curing temperature of 190 ℃ resulted in significant corrosion and pitting. Meanwhile, no corrosion was observed in the coated specimens at 210 ℃ and 230 ℃ except at 210 ℃ - 6 min and 8 min. The surface of the as-received coating specimen observed by FE-SEM exhibited streaks and dents in the rolling direction, but the coating surface was clean. On the 190 ℃ - 6 min coating specimen, which had a lot of corrosion, rolling streaks spread, and dents were caused by corrosion. The 200 ℃ - 12 min coating specimen did not show corrosion, but it showed an etched surface. In the line profile, Si, the main component of the coating solution, was detected the most, and Ti was also detected. In the coating specimens with salt spray, O increased and Si decreased, regardless of corrosion. The peeling rate by adhesion evaluation was 26 - 87% for the 190 ℃ coating specimen, 4 - 83% for the 210 ℃ coating specimen, and 94 - 100% for the 230 ℃ coating specimen. The optimal curing conditions for the coating solution used in this study were 210 ℃ for 10 min.

ITS용 2층형 전파 흡수체(유전체/자성체) 설계 및 경사 입사 흡수 특성 해석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wo-Layered Microwave Absorbers(Dielectric/Magnetic) for Wide Oblique Incidence Angles Used for ITS)

  • 김재웅;김성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217-1223
    • /
    • 2007
  • 5.8 GHz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시스템을 사용하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전자파 환경 문제가 발생하면서 광각 경사 입사 대책용 전파 흡수체의 사용이 요구된다. 5.8 GHz 주파수에서 경사 입사된 전파에 대해 낮은 반사 손실을 보이는 2층형의 전파 흡수체(유전 복합 재료/자성 복합 재료)를 설계하였다. 흡수층에는 iron flake를 filler로 사용하였다. 임피던스 정합 기능의 표면층에는 유전상수가 낮은 carbon black을 사용하였다. 각 층의 sheet는 일반적인 세라믹 혼합물 제조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고, 지지재로는 가황고무를 사용하였다. 전송 선로 이론에 근거하여 TE(Transverse Electric)와 TM(Transverse Magnetic) 편파에 대해 입사각을 변화시키며 반사 손실을 계산하였고, 자유공간법에 의해 반사 전력을 실측하였다. 입사각 $55^{\circ}$까지 낮은 반사 손실(-10 dB 이하)을 갖는 2층형 흡수체가 설계되었다. 자유공간법에 의한 반사 전력의 실측치가 이론적 계산치와 비슷한 값을 보여 설계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