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급곡선 분기기에서 발생한 전동열차 탈선사고의 원인분석

Cause analysis of the electric train derailment occurred in turnout on a sharp curves.

  • 이승원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
  • 우관제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
  • 정찬묵 (우송대학교 철도시스템학과)
  • 투고 : 2018.11.23
  • 심사 : 2018.12.28
  • 발행 : 2018.12.30

초록

급 곡선상에 분기기를 부설하여 운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열차안전에 바람직하지 않으나, 직선을 확보할 만큼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산악지역이나 차량기지에서는 제한적으로 선로 곡선 부에 분기기를 설치하는 때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 곡선상 분기기에서 실제로 발생한 열차탈선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고가 발생한 위치에서 측정한 선로 데이터와 사고 차량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탈선해석을 수행하였다. 탈선해석결과 곡선 선로의 분기기 시작점에서 탈선계수 값이 최대가 되며 그 크기도 1.37로써 탈선을 유발할 정도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 탈선사고가 발생한 현장조사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It is generally not preferable to install a turnout on a sharp curves but it is not desirable for the safety of a train. However, in a mountainous area or a depot where a sufficient space can not be secured to secure a straight lin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of train derailment accident that occurred in the place where turnout is installed in a sharp curves, we performed derailment analysis using line data and accident vehicle data measured at the location where the accident occurred. This derailment coefficient maximum turnout at the start of the track and derailment curve analysis showed that even big enough to cause a derailment as 1.37 in size, which was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 actual site survey results derailment occurred.

키워드

참고문헌

  1. 철도건설규칙 (국토교통부령 제1호, 2013. 3.23.) 제10조
  2.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 2014.10.15. 개정) 제6조, (3)항
  3. 도시철도건설규칙 (국토교통부, 2014. 07. 08. 개정) 제2절, 제10조
  4.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건설기준에 관한 규칙. (서울특별시, 2011.11.10. 개정)[별표1] 선로의 최소곡선반경
  5. 함영상, (2010), 철도차량의 탈선메카니즘, 철도저널, v.13 no.1 p18-19
  6. 철도차량기술기준 (국토교통부 고시2016 - 102호, 2016.6.3. 개정)KRTS-VE-Part51-2016, 223-225p
  7. UIC CODE 518:Testing and approval of railway vehicl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ir dynamic behaviour - Safety - Track fatigue - Running behaviour, 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
  8. UNIVERSAL MECHANISM ver. 7.0. UM Simulation Program User' s manual,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