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enothera laciniat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 김지영;이정아;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5-259
    • /
    • 2007
  • The solvent extracts of Oenothera laciniata, which were extracted by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prepared for utility as a natural preservative. The O. laciniata extract by 80% ethanol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on were investigated on each strain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O. laciniata extracts.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shown in ethanol,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 of O. laciniata. However n-hexane, dichloromethane and water fraction showed weak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microorganisms. Among the five fractions,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microorganisms tested, such a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 polyphenolic compounds widely occurring in the traditional medicine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high antibacterial activity. The polyphenolic compounds from ethanol,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 were 63.96 mg/g, 8.49 mg/g, 28.11 mg/g, 172.64 mg/g, 114.56 mg/g, and 34.91 mg/g, respectively. There are some relationships between antibacterial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in natural plant. The ethylacetate fraction could b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a food preservative.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Biologic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Onagraceae, Myrtales))

  • 이정아;김지영;윤원종;오대주;정용환;이욱재;박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0-815
    • /
    • 2006
  • 본 실험에서는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를 80% EtOH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극성에 따른 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분리된 분획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superoxide 소거활성 및 nitric oxide 소거활성 및 세포독성 등의 생리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애기달맞이꽃은 산소 유리기의 자유기를 소거할 수 있는 우수한 생리 활성물질을 다수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분획 레벨에서의 활성이 대조구 성분 못지않게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세포독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EtOAc 분획물을 농도별로 HL-60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성장 억제는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이지를 확인하고자, apoptosis 유도에 의하여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인 DNA 단편화 현상을 비롯하여 세포 형태학적 변화 및 유동세포분석기를 통한 DNA content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효과는 apoptosis유도에 의해 세포사멸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rratum: 달맞이순 (Oenothera laciniata) 에탄올 추출물 섭취가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마우스에서 항산화 및 비만억제효과 (Erratum: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oral treatment with ethanol extract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Anti-Melanogenic Effect of Oenothera laciniata Methanol Extract in Melan-a Cells

  • Kim, Su Eun;Lee, Chae Myoung;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55-62
    • /
    • 2017
  •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Oenothera laciniata methanol extract (OLME) in vitro by using melan-a cel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OLME was 66.3 and 19.0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OLME ($500{\mu}g/mL$) were 94.5%, 95.6%, and 63.6%, respectively. OLME and arbutin treatment at $5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melanin content by 35.5% and 14.2%,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OLME and arbutin treatment at $5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by 22.6% and 12.6%,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OLME ($5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 (MITF-M) mRNA expression by 57.1%, 67.3%, 99.0%, and 77.0%,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Arbutin ($5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tyrosinase, TRP-1, and TRP-2 mRNA expression by 24.2%, 42.9%, and 48.5%,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However, arbutin ($50{\mu}g/mL$) did not affect MITF-M mRNA expression. Taken together, OLME showed a good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elanogenic effect in melan-a cells that was superior to that of arbutin, a well-known skin-whitening agent. The potential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OLME was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M mRNA expression.

달맞이순 (Oenothera laciniata) 에탄올 추출물 섭취가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마우스에서 항산화 및 비만억제효과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oral treatment with ethanol extract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곽충실;김미주;김선기;박순영;김인규;강흔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6호
    • /
    • pp.529-5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달맞이순의 항산화 및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달맞이순 50% 에탄올 추출물 (OLE)을 이용하여 4가지 방법으로 in vitro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고, C57BL/6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 (45%Kcal fat)를 14주 동안 섭취시켜 비만을 유도하면서 OLE를 경구 투여하여 항비만효과와 in vivo 항산화효과를 알아보았다. OLE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한 결과 IC50은 각각 26.2 ㎍/mL과 327.6 ㎍/mL이었으며, FRAP 측정 결과 100 ㎍/mL 농도에서 56.7 ㎍ AA eq./mL의 효능을 보였다. 또한, hUC-MSC 세포에 OLE (200 ㎍/mL)를 처리 한 결과 노화로 인하여 감소된 GSH 수준을 65.1% 증가시켰다. 한편,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와 함께 OLE를 저수준 (50 mg/kg BW; OL50)과 고수준 (100 mg/kg BW; OL100)으로 경구 투여한 결과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41.5%와 42.2% 감소하였고, 내장지방량은 각각 40.5%와 45.9% 감소하였으며, 부고환지방세포의 크기는 각각 33.1%와 35.3% 감소하여 매우 우수한 비만억제효과를 보였다 (p < 0.05). OLE의 경구 투여는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렙틴 농도와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특히 OL100군에서는 동맥경화지수 및 혈중 MDA 농도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마우스 지방조직에서 측정한 catalase와 SOD-1의 활성은 고지방식이섭취로 인하여 증가하였으나 OLE 경구 투여 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또한, 부고환 지방에서 지방대사 관련 인자들의 mRNA 발현량을 RT-PCR로 측정한 결과 OLE의 경구 투여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렙틴, PPARγ와 FAS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반면 고지방식이 섭취로 감소되었던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은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 < 0.05).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CPT-1의 발현량은 OLE 투여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REBP-1c의 발현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in vitro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OLE를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하였을 때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낮추고, 지방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체중과 내장 지방량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OLE는 항산화기능식품 또는 비만 및 비만관련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전라남도 일부지역 대규모 절토비탈면의 식물침입 (Plants Invasion in Large-scale Cutting Slopes in the Part of Jeollanamdo)

  • 박문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2-42
    • /
    • 2005
  • To investigate the plants invasion process and dominant species in large-scale cutting slopes, slopes elapsed one year to thirteen years after construction had been selected in five counties.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pecies of high appearance frequency were Alnus firma, Arundinella hirta, Miscanthus sinensi var. purpurascens, Erigeron cancdensi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Oenothera odorata, Lactuca raddeana, Lactrca indica var. laciniata, Lespedeza bicolor, Youngia sonchifolia, Populus albaglandulosa, and so on. The biological type of identified vascular plants was $Ch-D_1-R_{5-e}$. In time, plant coverage was increased gradually and average of plant coverage was 1.17% in slopes which elapsed one year, 42.44% after six years, 56.67% after eight years, and 69.17% after ten year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surveyed slopes were covered with Alnus firm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rigeron cancdensis, Miscanthus sinensi var. purpurascens, Arundinella hirta, Lactuca raddeana, Oenothera odorata, Boehmeria spicata, Kummerowia striata and Artemisia montana of the 59 species. The conditions of location in large-scale cutting slopes are hard to fix and germinate of seeds, and extend plant roots in the slope soil. Hence, the highly appearance species and dominance species of the area will make plant coverage quick and slope stable.

식물추출물 항산화효능 기전의 일부로서의 활성산소 발생 억제 효과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as a part of antioxidative effect of plant extracts)

  • 송선범;정구준;정희진;장정윤;정해영;김남득;이지현;민경진;박순영;곽충실;황은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06-714
    • /
    • 2021
  • 세포 내에서의 활성산소(ROS) 생성을 억제하는 일은 항산화제의 작동방식으로 기존에 알려진 ROS의 화학적 소거보다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러한 전략은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 거의 검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능이 알려진 식물시료들이 실제로 세포에서 ROS 생성을 제어하여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쇠뜨기, 가죽나무잎, 달맞이순, 그리고 토마토의 에탄올 추출물을 가지고 조사하였다. 이 네 가지 식물 시료들은 모두 비슷하게 세포내 ROS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가죽나무잎, 달맞이순, 그리고 토마토 시료들만이 미토콘드리아 질을 개선하여 미토콘드리아로부터의 ROS 생성을 감소시켰는데, 이들은 또한 세포와 조직내 lipofuscin과 malondialdehyde의 축적을 줄여서 뚜렷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들은 나아가서 초파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도 보였다. 미토콘드리아 질 향상 효과가 거의 없었던 쇠뜨기 시료는 산화적 손상물과 초파리 수명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 시료들의 항산화 효과가 ROS의 화학적 소거와 미토콘드리아 질의 향상을 통해 발현될 수 있는데, 후자의 효과가 실제로 체내에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향후, 식물시료들의 항산화 효능에 대해서 이러한 ROS 발생억제 기전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일은 그 유용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백두대간 도로 절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Selection of Replantation Species in Roadside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 송호경;전기성;김남춘;박관수;권혜진;이지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2-59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roadside. In the cutting-slope area and upper forest area of the cutting-slope area, sample plots of 46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We found total 90 species in the 46 plots. We found Festuca arundinacea in 27 plots of the 46 plots. We also found Lespedeza bicolor in 26 plots, Eragrostis curvula in 22 plo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 19 plots, Erigeron annuus and Pinus densiflora in 15 plots,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in 14 plots, Miscanthus sinensis in 13 plots, Oenothera odorata, Commelina communis, and Humulus japonicus in 11 plots, Lespedeza cuneata in 10 plots, Salix koreensis and Salix hulteni in 9 plots, Festuca rubra, Youngia denticulata, Aster scaber, and Festuca arundinacea in 8 plot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7 plots, Patrinia villosa and Erigeron canadensis in 6 plots, and Setaria viridis, Digitaria sanguinalis, and Dactylis glomerata in 5 plots.The dominancy of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Lespedeza bicolor, Miscanthus sinensis, Pinus densiflora, Festuca arundinacea, Festuca rubr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rigeron annuus, Lespedeza cuneata, Dactylis glomerata, Salix koreensis, Alnus hirsuta, Pueraria thunbergiana, Medicago sativa,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and Digitaria sanguinalis were 13.41% 11.87%, 4.88%, 4.56%, 3.38%, 2.29%, 2.14%, 2.14%, 1.99%, 1.95%, 1.54%, 1.47%, 1.44%, 1.37%, 1.15%, 1.13%, 1.07% in the roadside cutting-slope, respectively. The dominancy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Lindera obtusiloba, Rhus trichocarpa, Quercus mongolica, Lespedeza bicolo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Quercus serrata 22.15%, 13.36%, 13.14%, 12.03%, 11.74%, 11.20%, and 11.14% in shrub layer of the upper forest area, respectively. The specie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Lindera obtusiloba, Rhus trichocarp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Zanthoxylum schinifolium, Weigela subsessilis, Stephanandra incisa, Rhamnus davurica, Ligustrum obtusifolium, Lindera erythrocarpa, Rosa multiflora, Rubus coreanus,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Smilax china, Prunus sargentii, and Staphylea bumalda may be more helpful in stabilizing of the cutting-slope area and making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forest area.

이안천의 식생분포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Ian Stream)

  • 김호준;이혜근;최광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74-1279
    • /
    • 2005
  • The complex vegetation and plant species distributions within riparian corridors influence plant species diversity patterns at both local and regional scales and further reflect both natural and anthropogenic disturbance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riparian zones are often the ecosystem level component that are most sensitive to chang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y provide early indications of environmental change and can be viewed as the important source in the watersh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wo concepts: first, document the composition and dominance of plant communities of riparian areas in the stream, second, compare species composition and temporal diversity between stations in riparian areas of the Ian Stream. The flora was composed to total 158 kinds of the vascular plants as 49 family, 54 genera, 145 species, 12 varieties, 1 forma When the naturalized plant were applied to the recent classification system 280 kinds, the naturalization rate was $10.8\% higher than that of mean value($10.3\%$) of the Korean mountain district. Furthermore, urbanization index (UI) was $6.1\%$. The dominant vegetation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in the habitats of three compartment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e vegetations were included Phragmites japonica, Salix gracilistyla, S. hulteni and Robinia pseudo-acacia in the riparian area, and Persicaria sieboldii,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Draba nemorosa var. hebecarpa, Capsella bursa-pastoris, Lepidium apetalum, Bidens frondosa, Trigonotis peduncularis and Hemistepta lyrata in the sandbank or the riparian area, and Equisetum arvense,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perfoliata, Trifolium rep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Avena fatua, Agropyron yesoense, Oenothera odorata, Viola mandshurica, Rumex crispus in banksides, respectively.

  • PDF

달맞이순과 다래순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효과 및 항염증효과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and Gooseberry (Actinidia arguta))

  • 곽충실;이지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7-215
    • /
    • 2014
  • 예로부터 봄에 채취하여 즐겨 섭취하던 달맞이순과 다래순을 전라북도 진안지역에서 건나물 상품으로 구입하여 항산화효과 및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였다. 달맞이순과 다래순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60.4와 33.0 mg tannin acid/g dry wt였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1.9와 29.3 mg rutin/g dry wt였다. 항산화효과의 지표로 에탄올 추출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달맞이순과 다래순의 DPPH 라디칼에 대한 $IC_{50}$은 각각 58.2와 $122.1{\mu}g/mL$였고, 환원력은 $500{\mu}g/mL$의 처리농도에서 각각 52.1과 45.3 ascorbate eq./mL로 2 시료 모두 우수하였지만 상대적으로 달맞이순이 더 우수하였다. 한편 항염증 효과의 지표로 5-LOX와 COX-2 활성에 대한 억제율을 측정하였는데 달맞이순과 다래순 에탄올 추출 시료 $250{\mu}g/mL$ 처리 시 5-LOX 활성 억제율은 각각 29.5%와 11.5%였으며, COX-2 활성 억제율은 각각 79.5%와 39.1%로 달맞이순이 더 우수하였다. 이어서 달맞이순의 항염증효과의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 시료를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 범위에서 RAW 264.7 대식세포에 처리하고 LPS($1{\mu}g/mL$)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결과,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NO, PGE2, IL-6 생성량은 점차 감소하였지만 TNF-${\alpha}$의 생성량은 변화가 없었다. 본 실험 결과 달맞이순과 다래순은 나물류 중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비교적 높은 편으로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달맞이순은 항염증효과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달맞이순의 항염증효과 및 활성 유효성분 분석 등의 심도 있는 후속연구와 함께 다양한 섭취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중노년기에 증가하기 쉬운 산화적 스트레스와 만성적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